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탱자나무'
지켜야하는 할 몫이 있어 가시를 달았다. 무시무시한 가시를 달았지만 그 가시로는 다 지키지 못함을 알기에 어쩌면 극과 극을 달리는 순박한 꽃잎을 달았는지도 모르겠다. 하얀 꽃잎에서 노오란 탱자향이 난다.


바람앞에 연약한 꽃잎이다. 강인한 나무지만 작은 바람에도 쉴새없이 흔들리며 쏟아지는 햇볕을 온 몸으로 받아낸다. 하얀 꽃잎과 연초록의 어울림이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날카로운 가시가 특징이어서 귀양 온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하는 산울타리로 사용했고, 민속에서는 저승의 사자를 출입 못하게 막기 위해 울타리에 심기도 했다. 재질이 단단하여 북채로 만들기도 한다.


둥글고 노란색의 열매는 향기가 좋으나 먹지 못하지만, 차로 만들어 음용하며, 한방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약재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약용식물이다.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져 찾아보기 힘든 나무가 되었다. '추억'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구술붕이'
딱히 대상을 정해두고 길을 나선 것은 아니다. 숲에 들어 그 때에 맞는 만남이면 좋다. 그것이 풀이건 나무건 특별히 구분은 하지 않는다. 오래전부터 들어가고 싶었던 숲에 들어 걸음을 멈추고 숲의 공기와 소리, 색과 빛에 내 눈과 귀가 익숙해지는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보이는 것들에 주목하면 되는 것이다.


볕이 잘드는 땅 가까이에서 하늘 향해 속내를 마음껏 풀어냈다. 과하지 않은 보라색의 꽃잎에 햇볕을 품에 제 본연의 색을 발한다. 여리디여린 꽃대에 어찌 저렇게 큰 꽃잎을 달고 있을까. 땅에 바짝 붙은 이유가 여기에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구슬처럼 자줏빛 꽃이 뭉쳐 피어 구슬이 송송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모습에서 붙여진 이름일까. 구슬붕이에 비해 크다고 해서 큰구슬붕이라고 한다. 비슷한 모양으로 꽃을 피우는 것으로 구슬붕이, 봄구슬붕이 등이 있는데 구분이 쉽지 않다.


숲으로 깊숙하게 내려않은 햇볕이 봄 숲에 기쁜 소식을 던해주듯 큰구슬붕이는 보는이에게 꽃말 처럼 봄의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수꽃다리'
참으로 이쁜 이름이다. '꽃이 마치 수수 꽃처럼 피어 있다'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핀 꽃을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꽃과 향기에 반해 이 나무를 구하기 위해 애를 쓰던 중 어느 농장 뒷켠에 자라던 나무를 데려왔다. 이 나무가 토종 '수수꽃다리'인지 수입종 '라일락'인지는 모른다. 그냥 수수꽃다리가 맞을 것이라고 그렇게 믿는다.


"라일락 꽃향기 맡으면
잊을 수 없는 기억에
햇살 가득 눈부신 슬픔 안고
버스 창가에 기대 우네"


이문세의 '가로수 그늘아래 서면'이라는 노래 일부다. 라일락이라고 하면 우선 이 노래가 생각나지만 왠지 안쓰러운 마음이 앞선다. 잊을 수 없는 기억에 눈부신 슬픔이라 노래하는 것이 꼭 이 나무의 슬픈 사연을 담은 듯하다.


미 군정청에 근무하던 엘윈 M. 미더는 북한산에서 우리 토종식물인 '털개회나무' 씨앗을 받아 본국으로 가져갔고, 이후 싹을 틔워 '미스킴라일락'이라 이름 짓고 개량하여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시장에 퍼져나갔다. 그 나무가 우리나라에도 수입되었다. 우리 것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아픈 현실이다.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실린 남효온의 '금강산 유람기'에는 "정향 꽃 꺾어 말안장에 꽂고 그 향내를 맡으며 면암을 지나 30리를 갔다"라는 구절이 나온다고 한다. 수수꽃다리 형제나무로 개회나무, 털개회나무 등이 있는데 구분이 쉽지않아 꽃을 좋아한 옛사람들은 따로 구분하지 않고 중국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향丁香이라 불렀다고 한다.


내 뜰에 들어와 자리잡아 이제 내 키보다 크고 튼실하다. 올해도 이쁜 꽃과 향기로 함께하고 있다. 라일락의 '첫사랑', '젊은 날의 추억', '사랑의 싹이 트다', 수수꽃다리는 '우애'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나물'
왜 자꾸 마음이 그곳으로 가는 것일까. 몇 년 전 어느 시인의 억울한 영혼들이 묻힌 곳에는 어김없이 피어난다는 피나물에 대한 이야기와 그곳 피나물 사진을 보고난 후 기회만 엿보다 얼레지 필 때 찾아갔다. 지천으로 핀 얼레지 보다는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피나물 곁에서 더 오랫동안 머물르다 떨어지지 않은 발걸음을 더디게 옮겼다. 그 후로 눈에 밟히는 그곳의 피나물 모습에 기어이 다시 찾아갔다.


샛노랗다. 꽃잎도 꽃술도 온통 노랑색이어서 더 강한 울림이 전해지는 것일까. 과한듯 하면서도 한없이 포근한 온기를 전해주는 것이 할 수만 있다면 저 무리 속에 누워 한동안 안겨있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피나물'이라는 이름은 연한 줄기와 잎을 꺾으면 피血와 비슷한 적황색의 유액이 나와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여름이 되면 잎과 줄기는 없어지고 무 열매를 닮은 열매를 맺는다. 유사한 종류로 '애기똥풀'과 '매미꽃'이 있다. 주의깊게 관찰하면 구분이 어렵지 않다.


노랑매미꽃, 선매미꽃으로도 부른다. 홀로서도 빛나지만 무리지어 그 빛남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숲에서 마주하면 나비가 날아가는 듯한 연상이 되는데 '봄나비'라는 꽃말이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창초'
겨우내 웅크리고 있던 땅에 풀들이 나서 파릇해질 무렵 땅바닥에 바짝 엎드린 보라색 꽃들이 여기저기 뭉쳐있다. 초록색의 풀들 사이에 있으니 더 빛난다. 어느덧 제 자리를 잡아가는 나무 사이사이 빈 공간에 민들레, 제비꽃, 광대나물들 틈 사이에 자리잡았다. 유독 작은 키지만 금방 눈에 띈다.


서리가 이슬로 바뀐 봄날 아침 털어내지 못한 이슬을 쓰고 피었다. 이슬방울과 어울어져 더 짙은 색으로 싱그럽게 다가온다. 무리지어 있기에 더 주목하게 된다. 하나하나 뜯어봐도 개성이 살아있지만 모여 그 특별함을 돋보이게 한다. 나약하고 여린 생명들이 사는 방법이다.


가지조개나물, 금란초, 섬자란초라고도 부르는 금창초金瘡草는 쇠붙이로 된 창, 화살, 칼 등으로 입은 상처가 난 곳에 이 풀을 뜯어 발라 치료 했다고 한다. 이름은 여기에서 연유한 듯 싶다.


특별히 가꾸지 않아도 때가되면 피고진다. 지금 내 뜰에 지천으로 깔렸다. 땅과 붙어서 자라는 쓰임새가 다양한 금창초는 '참사랑', '희생'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