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가
가난과 투옥과 핍박과 한 몸이 되었다면
오늘날의 교회는
풍요와 개성과 인기와 한 몸이 되었습니다.
-레오나드 라벤힐
 

The early church was married to
poverty, prisons and persecutions.
Today, the church is married to
prosperity, personality, and popularity.
– Leonard Ravenhil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처럼 끊임없이 잉여 생산물을 늘리겠다는 신념이

구조적으로는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경제적 영역이 다른 모든 영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사회가 경제화된 것이다.

정부, 교육 등 모든 것이 경제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왜곡되었다.

사회 질서도 철두철미하게 시장에서의 이윤에 의해 좌우된다.

암세포가 자라는 것처럼,

경제가 ‘영역들의 주권’을 침해한 것이다.

 

-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사람들이 신을 멀리하게 된 이후로

과연 이 세상은 그만큼 더 밝고 즐겁고 자유로운 곳이 되었는가?

오히려 인간들은 그 품위를 박탈당하고

공허한 자유에 내맡겨지는 저주를 받는

끔찍한 일이 벌어지게 되었다.

 

- 베네딕토 16세, 『미래의 도전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전거 탄 소년 - The Kid with A Bike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줄거리 。。。。。。。                  

 

     보육원에서 살고 있는 시릴. 한 달만 있으면 찾으러 오겠다는 아버지는 좀처럼 연락이 없고, 집으로 건 전화 건너편에서는 아버지가 이사를 갔다는 이야기만 반복한다. 보육원을 빠져나와 결국 집까지 찾아가지만 이미 빈 집. 그런 그를 우연찮게 만나게 된 사만다는 왠지 모르게 그 아이에게 끌리게 되고 일주일에 한 번씩 시릴을 데려와 집에 머물게 하는 위탁부모가 되기로 한다. 그러나 아버지가 자신을 버렸다는 사실에 삐뚤어지기만 하는 시릴은 동네 형의 꼬임에 빠져 강도짓을 준비하고, 사만다는 그런 시릴을 염려하며 기다린다.

 

 

  

 

2. 감상평 。。。。。。。                    

 

     영화 속 주인공 시릴의 주변에는 세 사람이 등장한다. 먼저 상황이 어렵다는 이유로 시리를 보육원에 맡기고는 찾아오는 것도 허락하지 않는 그의 아빠 기. 그리고 시릴에게 잘해주는 척 하며 결국은 그를 이용해 잇속을 챙기려는 동네 형. 마지막으로 어떤 이기심도 없이 시릴을 품어주며 용납하는 사만다. 영화는 이 세 사람 속에서 갈팡질팡 고민하는 시릴의 모습을 따라가며, 사람을 변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가를 말해준다.

 

 

 

 

     전통적인 배경에서 혈연이란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무엇이다. 아무리 미워도, 나쁜 짓을 해도 결국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와 용서를 구하면 받아진다는 것이 주요 주제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혈연은 시릴을 세상에 태어나게 해준 것 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심지어 시릴이 처한 불안한 상황을 초래한 원인이 바로 그의 아빠였다. 그는 가장으로서의 아무런 책임감도, 능력도, 의지도 보여주지 못하고 결국 아들을 버리고 상처 주는 존재로만 그려진다.

 

     친구(라고 하기엔 나이차가 좀 나긴 하지만)의 존재도 비슷하다. 역시 전통적인 이미지는 종종 가족들보다도 더 끈끈한 정을 쌓으며 서로를 위해 모든 것을 내어줄 수 있는 특별한 관계로 묘사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시릴을 이용하려는 모습으로만 그려지고 있다.

 

     결국 시릴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만다의 기다림과 받아줌이었다. 사실 영화 속 그녀의 모습은 쉽게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용서하고 이해하며, 수용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왜 그녀는 처음 만난 소년을 그토록 열심히 사랑하려 애를 쓰는지 영화가 끝날 때까지 명확하게 설명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좀 아쉽지만, 아무튼 시릴을 변화시킨 게 그녀의 온유함과 오래 참음이라는 이라는 건 가족과 친구조차 믿을 수 없게 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다.

 

 

 

     사람을 믿는 건 참 중요한 일이다. 누구도 믿을 수 없는 고독한 사회에서는 그저 삐뚤어진 인간 군상들만이 늘어날 테니까. 사람을 길러내는 것마저도 컨베이어 벨트 위의 제품처럼 철저하게 기능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은 그래서 조마조마하다. 하나를 받으면 똑같이 되돌려주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공동체 안에서는 시릴처럼 변하는 이를 찾기란 좀처럼 쉽지 않은 게 당연하다. 당장은 그냥 잡아 가두고 통제하는 것이 편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는 사회 전체의 손해가 결코 작지 않은데도, 왜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을 이루지 못하는 걸까.

 

     주연배우들의 연기는 딱히 튀지 않고 잘 녹아들어갔다. 주인공 시릴 역의 아역 배우 토마 도레의 경우 첫 연기라고 하는데 놀랍다. 또, 벨기에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한 영상은 무난했다. 전반적으로 약간 느슨한 감이 없진 않지만, 강한 메시지는 다른 것들을 압도하고 남음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들은 너무도 자주
 
창문이 되어 바깥 세상에 다른 길을 제시하기 보다는,

거울처럼 주변 세상의 모습들을 반사 시키기만 합니다.
 
- 필립 얀시
 


All too often the church
holds up a mirror reflecting back the society around it,
rather than a window revealing a different way.
– Philip Yance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