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이 책은 현실적인 것의 우위성이라는 이 명료하고 단순한 독트린을 논박하기 위해 쓰여졌다. 순탄치 않을 이 지반 위에서, 나는 "창조적" 상상력의 원초적이며 심리적으로 근원적인 성격, 그것의 긍정을 시도하고자 한다. 내가 보기에, 인지된 이미지와 창조된 이미지는 두 개의 아주 다른 심리적 현상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상된" 이미지를 가리킬 새롭고 특별한 범주가 요구된다. 교과서에서 "반복(재생) 상상력 reiterative imagination"이라 기술되는 그것은 인지, 그리고 기억의 영역으로 귀속되어야 한다. 창조적 상상력은 과거 인지의 재생산에 의지하는 상상력과 아주 다르게 기능하는데, 이것이, 심리적으로 말할 때, 심리학자들이 개인의 "현실"에의 -- 사회적 승인을 누리는 그 무엇이든 -- 순응을 말하기 위해 자주 거론하는 "현실 원칙"과 비교할 때 어떤 점에서든 그만큼 강력한 "비현실 원칙"에 의해 관장되기 때문이다. 고독의 가치를 재수립하는 것이 이 비현실 원칙이며, 평범한 몽상은 고독의 가장 기본적인 면모에 속한다. 상상된 이미지를 모색하는 상상하는 상상력을 좇아가고자 한다면, 창조적 상상력의 활동이 갖는 수많은 예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대지 그리고 의지의 몽상> "서문" 2쪽에 있는 문단. 

아도르노가 가고 싶었지만 가지 못한 (여러 이유에서) 곳들에 

바슐라르는 단호하고 자유롭게 간다고, 그렇게 생각하는데 이 문단에서 특히 밑줄 친 부분도 그 예. 

내가 번역한 한국어 문장은 조금 꼬여 있지만 ("convoluted" 영어권에서도 이 말로 복잡하게 길어지는 문장들을 규탄할 때 많다) 그런데 그게 영어 번역문도 그렇다. Creative imagination functions very differently than imagination which relies on the reproduction of past perceptions, because it is governed by an unreality principle every bit as powerful, psychologically speaking, as that reality principle so frequently invoked by psychologists to characterize an individual's adjustment to whatever "reality" enjoys social sanction. 흐으 (한숨). 이런 문장. 


전체는 비진리고 

사회는 사악한데, 그러나 (그래서) 개인은 겨우 존재하고 

그것도 언제나 그 전체와 그 사회 속에서. : 아도르노에게 비관주의가 있다면, 이것이지 않을까. 

<미니마 모랄리아>에는, 사회적 승인이나 현실원칙(그것에 순응함), 이것들이 부재하는 영역도 인간 정신에 

있다고 말하려다 마는 것 같은... 대목들이 있다. 바슐라르가 그의 책들, 수많은 대목들에서 가는 곳이 그 영역. 





In Our Time, "고독의 철학" 에피소드가 

위의 소로우의 말 인용으로 시작하던데, 사실 소로우의 말도 좀 진부하지 않나. 

고독이 주제일 때 바슐라르도 가끔 (아주 가끔. 한 두 번) 상투적인 말도 하는데, 그런데 

들여다보고 생각할수록, 심오하고 강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질에 대한 우리의 체험적 의식에서 -- 그리고 그에 대응하여, 우리 자신의 존재의 역동적 속성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서 -- 우선 "단단한"과 "부드러운"을 적용하지 않는 한 무엇도 이해될 수 없다. 더 풍요하고 더 미묘한 인상들이, 둘 사이에 존재하는 감각의 광대한 영역이, 이를 뒤따른다. 하지만 물질의 언어에서, "yes"와 "no"는 "부드러운"과 "단단한"으로 번역된다. 물질의 어떤 이미지도 초대와 배제의 이 변증법 바깥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In our experiential awareness of matter -- and correspondingly, in our knowledge of the dynamic attributes of our own being -- nothing can be understood unless we first apply the terms hard and soft. Thereupon follow richer and more subtle impressions, the vast realm of intermediate sensation. But in the language of matter, yes and no are translated as soft and hard



<대지 그리고 의지의 몽상> 1장 첫문단에 나오는 문장들이다. 

정말 이 책 전체, 바슐라르의 시학서들 전체가 아도르노가 철학에게 다루라고 주문했던 

비개념적인 것, 개별적인 것 특수한 것 사소한 것. 그런 것들의 탐구. 혹은 해석되어야 했으나 해석된 바 없는 것들의 해석. 


처음 읽을 때, 이 문장들이 알게 하는 바, 아니 심지어 "yes"와 "no"도 한국어로 번역불가다. 

"예"와 "아니오"는 위와 같은 문장들에서, yes (oui), no (non)을 대신할 수 없지 않나. 둘 중 "아니오"는 그래도 

"no"일 수 있는데, "예"는 "yes (oui)"가 되지 못하는 이것 말고도 수많은 사례들을 들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 사례들에선, "예"가 아니라 "응"(.......) 혹은 "네"를 써도 마찬가지지 않을까. : 이런 생각 했었다. 


얼마 전 <불의 정신분석> 끝내고 요즘 매일 읽는 바슐라르는 이 책인데, 다시 읽으면서 

같은 생각 하게 된다. 한국어의 "예"와 "네"는 지배와 복종을 배경에 두고 있는 말. 불평등이 번역불가의 이유. 

그렇지 않나?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몰리 2016-12-09 14: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영어 문장들을 ˝영어-한국어˝ 구글 번역해 보았다.

˝경험에 대한 물질적 인 인식 - 이에 상응하여, 우리 자신의 존재의 역동적 인 속성에 대한 지식 - 우리가 처음에 단단하고 연약한 용어를 적용하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더 풍부하고 미묘한 인상, 즉 중급 감각의 광대 한 영역을 따라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의 언어에서 예와 아니오는 부드럽고 열심히 번역됩니다.˝

˝영어-일본어-한국어˝ 순으로 해보니
˝私たちの体験的意識 - それに応じて、私たち自身の存在のダイナミックな属性に関する私たちの知識の中で - 最初にハードとソフトという言葉を適用しない限り、何も理解できません。 そこで、より豊かでより微妙な印象、中間感覚の広大な領域に従ってください。 しかし、問題の言葉では、「はい」「いいえ」は柔らかくて難しいと解釈されます。

우리의 체험 적 의식 - 이에 따라 우리 자신의 존재의 역동적 인 특성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서 - 먼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라는 말을 적용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더 풍부하고 더 미묘한 인상 중간 감각의 광대 한 영역에 따릅니다. 그러나 문제의 말은 ‘예‘ ‘아니오‘는 부드럽고 어렵다고 해석됩니다.˝

예전과 비교하면 놀랍도록 개선되긴 했지만
그래도 아직 갈 길 먼 듯. 멀 듯.

syo 2016-12-09 17: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대학 입학하고 이제 나도 철학책이라는 것을 좀 읽어볼까, 아는 척 하기 좋게- 하는 마음으로 이 책 저 책 기웃거리다가 ˝불의 시학의 단편들˝을 뽑아들었는데 5분만에 울기 직전까지 갔었어요.... 전 비전공자지만 일반적인 기준에서 보면 책을 많이 읽고 글을 잘 읽는 편인데도 위에 인용된 글은 도대체 무슨 말인지,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어요...... 구글 번역이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셨지만 어차피 사람이 한 번역도 이해가 안되는 입장에서는 뭔가 슬프네요ㅠ

몰리 2016-12-10 16:48   좋아요 1 | URL
처음부터 (책 ˝서문˝, 그리고 위의 대목 앞의 문장들) 보시면 이해될 거에요.
바슐라르가 정말, 아무도 관심 갖지 않았던 (어쨌든 ˝학문적으로˝ ˝철학적으로˝는요) 현상, 주제들을 아주 개성적으로 탐구하신 분이라서 부분 인용하면 아주 이상하게 보일 것 같아요. 전체와 함께 보면, 훨씬 덜 그래집니다. 이 책 진짜 독창적이고 재미있는 책인데, 예전 삼성출판사던가에서 나온 사상전집에 포함되었던 것말고는 한국어판 번역이 없고 그 한국어판 번역으로는 바슐라르의 개성, 독창성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다고 그 번역 보면서 생각했던 기억도 있는데, <불의 시학의 단편들>도 아마 한국어판에 비슷한 문제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사물들의 내적 본성을 우리가 상상하고자 할 때, 부드러움과 단단함의 변증법이 모든 이미지들을 관장한다˝ 이런 문장으로 1장이 시작하고, 단단한 물질(울프 소설 Orlando에서 올란도가 등을 기대 앉는 장엄한 참나무가 있는데, 그 참나무가 대표적 예), 그리고 부드러운 물질(Moby-Dick에서 선원들이 손을 넣어 휘젓는 고래 정액 등의 예)이 어떻게 인간의 상상력에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내용이에요. 밀가루 반죽, 찰흙, 모래의 세계... 칼로 썰면 파르르 떨리는 젤리와 편육이 자극하는 공격성. 이런 것들도 등장하고, 아마 모두가 내밀하게 체험했던 일들이지만 말할 수 없었고 말하지 않았던 일들.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은 (이 책은 다행히도 번역이 그보다 더 좋을 수가 없을 굉장히 좋은 번역이고요) 정말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구석까지 가고 있고 그래서 본원적인 난해함이 있는데, 그에 비하면 <대지 그리고 의지의 몽상>은 재미있고 그냥 대놓고 명백히 괴작. 앞으로 꾸준히 이 책에 등장하는 이상한, 이상하고 매혹적인 문장들 올려보겠습니다.
 



19:10 지점. 


손혜원: 문화창조융합본부는 이제 그러면 해체되어야 하는 거 아닙니까? 

여명숙: 그건 좀 고민을 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생각을 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해체가 된다면 절대 안되는 이유가 있는데, 하나는 목욕물 버리면서 애까지 버리는 상황이 될까봐 그런 거고

또 하나 더 중요한 것은, 증거가 인멸됩니다.



<미니마 모랄리아>의 22번 단장. "목욕물 버리면서 아기도 버리는." 

이 책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많이 인용되는 단장. 문화비평이 (야만이 문화의 기원이고 본질이라며, 야만 편에 섬으로써) 수행하는 야만에 대한 단장. 


여명숙 위원장이 저 말할 때 순간 반함. 

정말, 다름 아니라 아도르노의 인유였을까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yo 2016-12-09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여자친구도 이번 국조청문회를 보더니 여명숙을 존경하는 인물로 삼겠다고 선언하더라구요. 검색하다보니 ˝대구맘˝이나 ˝파주맘˝같은 지역 여성까페 몇군데에서도 비슷한 글들을 읽을수 있었어요. 저도 보고 참 멋있는 사람에다 말도 잘한다 생각하긴 했지만 어쩐지 여명숙에 대한 호감은 여성들 사이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 같아요. 시사하는 바가 있을까요?

몰리 2016-12-09 10:09   좋아요 1 | URL
제 경우엔 전혀 모르던 분이다가 국조청문회도 실시간으로는 못보고
하이라이트 클립들 보다가 처음 뵈었던 분인데요, 저 대목에서 사실 좀 놀랐습니다.
목욕물 버리려다 애도 버리는. : 이건 우리 사회 cultural literacy에 속하지 않지 않나. 이러면서요.
문화비평에서 가끔 보긴 했지만, 언제나 겉도는 표현 같았거든요. 그런데 아무렇지 않게, 그리고 아주 적절한 문맥에서, 말로 (글로 아니고요) 하는 걸 들으니까 굉장히 신선했어요. 이어지는 말도 (˝재갈을 물렸기 때문에 일을 못한다는 말을 하는데 그런 시스템은 이제 버려도 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알아서 재갈을 버려도 될 때가 아닌가 합니다˝) 빠르고, 빠른데 강한 실체가 있어서 놀라운 말.

왜 영화 <마션>에서 보면 NASA가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 똑똑하게 일하는 조직임을 알 수 있다던가 그러잖아요, 여명숙 같은 분들이 주축이고 주류인 조직이라면 한국에서도 그럴 수 있겠다. 그런 생각도 들고, 그야말로 그 흔히들 말하던 ˝현대적 개인˝ 아니신가 ; 싶기도 하고요. 몇 분 동영상 클립으로 무려 이렇게 알게 하는 것만으로도 비범한 분일 것 같긴 해요.

매국노나 보수 쪽은 언제나 그렇지만
진보, 좌파, 지식인...... 이 쪽도 무슨 얘길 하든 실은 ‘사전승인‘된 내용인 경우가 정말 많은데, 이 분은 전혀 그렇지 않게 느껴졌어요. 아주 원칙적인 얘기를 하고 있음에도요. 그렇긴 한데 학자형이기보다 행정가형. 이 점이, 여성들 사이에서 더 호감 요인일 수도요.
 



11월부터 지금까지 

그 전엔 없었던 일인데, 이 사진에 대해서 수업에서 얘기하는 일이 있었다. 

정치... 에 대해서 (거의 언제나, 수업 주제와 직접 만나지는 않는 주제고) 아무 얘기도 하지 않는 편인데 

11월부터 지금까지는, 거의 저절로 얘기를 하게 됨. 그리고 아무도 싫어하지 않는다. 


지금 참 신기한 기억 하나가 뭐냐면. 

나는 02년에 미국에 가서 11년까지 있었고, 그러니 노무현 당선을 미국에서 (놀라며) 기뻐하고 

참여정부 시기 전부를 미국에서, 그리고 mb 정권의 거의 전부도 미국에서 보냈다. 한국 소식은 전부 

인터넷으로 접함. 참여정부 시기에서 기억하는 건 신정아와 황우석. 신정아는, 한국 남자가 그렇지 뭐. 

황우석은, 한국 사회가 아직은. : 이런 소감이었던 것 같다. 뭐 그냥. 에효. 정도. 그러다 mb 집권 후 사대강... 

등등 나라 말아먹는 소리, 쓸쓸히 늙어가는 박사과정 학생에게도 들려오는데.. 


우리가 어떤 사람들인데, 집권 세력이 나라 망치게 그냥 둘 리가. 

이것은 재고의 여지 없이 명확한 팩트며 그러니 mb가 좌절만을 겪으리라 예상하던 일. 


그래서 mb 과소평가하고 다시 책상 위 펴 둔 아도르노로 돌아가던, 어느 날 내 방의 그 순간이 보이는 것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불어책은 10월 마이페이퍼에 당선(!) 되어 받은 적립금 2만원으로 구입한 책이다. 

이달의 당선작에 선택되기는 언감생심. 그랬는데, 그래도 서재 본격 시작한 첫 해에 

이런 좋은 일도 일어나서, 감사히 적립금을 장학금처럼; 잘 쓰기로 하고 궁리하다가 이 책 선택. 


나는 그가 쓴 그 언어를 알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저자들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번역이 아무리 좋다 해도 번역으로는, 로버트 훌롯-켄터가 자기가 했던 <미학이론> 영어번역에 대해 했던 말, 


"코 대신 당근을, 눈 대신 전구를, 수염 대신 깃털을, 써야 했던 번역이었다. 멀리 석양 속에 앉아 있으면 살아 있는 듯 보이겠지만, 툭 치면 쓰러질 허수아비 번역이다" : 이 점 기억하면서 읽어야 하는 저자들. 울프의 <파도> 같은 책, 조이스의 Ulysses 같은 책들. 이들이 "원어로가 아니면 사실 이해불가"의 한쪽 극단이면, 다른 극단에 ("어느 언어로든 사실 상관없음") 애거서 크리스티 같은 분들이 있는 건가. 이렇게 구분하고 보니, 이 구분에서 윗점은 "사실"에 찍어야 하나. "사실"은 여기서 무슨 뜻인가. "(이해의 가상이 있지만) 실은" "(물론 크게 상관 있지만 그래도) 결국" 이런 의미인가. 그래서 이 둘은 실은 그리 서로 멀리 있는 게 아니게 되는 건가. 


바슐라르의 경우엔 

영어로만 읽을 때엔 이 분도 번역불가에 속하실 거라든가 

훌롯-켄터의 위의 말을 기억해야 하는 때 많지 않고, 아니 거의 없을 것 같다. 이해되지 않는 문장도 없고 

그의 개성, 스타일 그대로 다 역문에도 담겨 있다 느낄 수 있다. 그런데 그러다가 불어 공부를 시작하고 불어 원문들도 보기 시작하면, 조금 놀라면서 다시 보게 되는 지점들이 많고... 역시 인문학의 기초는 (토대는, 반쯤은, 어쩌면 거의 전부가) 언어, 언어능력이구나.. 같은 생각이 아마도 들 듯. 내 경우엔 그랬다. 불어 실력이 그토록 짧음에도 알아보이던, 불어 세계와 영어 세계의 차이. 때로, (작든 크든, 말바꿈으로는) 이어줄 수 없는 차이. 





이 니체 책은 29쪽까지 해독. 

불어사전의 16년 단어장에 16년이 가기 전에 1천단어 넘게 입력하기, 이 목표도 있고 

니체 철학에 대한 논의를 (확신할 수 없지만, 새롭다고 여겨지는 주장도 가끔 있었고) 보는 재미도 있긴 해서 

조금씩 꾸준히 페이지가 넘겨지긴 한다. 외국어 공부는, 천천히 궁리하며 읽기... 이러지 않을 수가 없다는 점에서도

그 자체, 역시 인문학적인 무엇이 아닐 수가 없을 것임 앞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