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제 늦은 밤 참터짐*위가 열렸다. 산만하면서도 불안하기도 하다. 활동력은 높아진 듯하지만 내내 조바심이 난다. 특히 회원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려는 자리가 부족한 듯하다. 별도의 구성을 하여 집행력을 높여야 될 듯하다. 회원확보와 참터를 통한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일들이 있는 듯하다.
- 참터과제, 참여자 모집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느낌: 활동게시판 개선/지역언론 홍보
- 지인 회원가입 독려 기사 파워포인트 작성 및 연락
1.1. 회원마당:(기획): 소위구성(운영위원,사무차장) - 회원포지셔닝(필요하면 설문자료를 만든다) - 참터마당 기획(안) -
1.2 포커스그룹(과*노*)
1.2 포커스그룹(과*노*) : 조합원과 간부 그리고 그 간격, 여러 시도 가운데 늘 한켠에 드는 느낌은 일반 연구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룹별로 그 인식과 친밀도는 어떻게 다른지? 다양한 차이가 궁금해진다. 양적인 설문조사도 좋겠지만, 현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적 조사가 필요하지 않을까? 그룹별로 심층 면접을 한다면, 그리고 그 가운데 유의미한 점은 찾을 수 없을까? 비정규직연구원-연구원-행정원-시설원-연단주부-대의원-간부-활동가그룹-시민단체그룹 등 연구단지와 과*노*의 골은 없을까? 상식이라고 여기지만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은 없을까? 마케팅에서 포지셔닝을 하여 판매정보를 얻듯, 정교해지는 조사를 너무 남의 일이라고 여기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10-20년 묶은 낡은 틀로 계속 바라보려 하는 것은 아닐까?
1.3 과기활동지*서(안) :
○ 개요: (농촌활동) 80년대초 시작한 활동은 학교 봉사학점으로 인정받으면서도 초기의 의미가 많은 부분 퇴색함. 오히려 전공과 현장감을 살릴 수 있는 (과학기술활동)(보기- 대화공단 주민대책회 참여 등) 현장의 구조적 문제와 해결책을 동시에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과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 진행방향과 구성: 과학기술위원회(과기대)-참터 외 농촌활동 지침, 대학생의 수요조사를 토대로 기존 농*활동지*서를 참고하여 주민과 대면할 때, 조사시, 활동프로그램, 활동결과, 활동 보고서 등 유의미한 지침서(초안) 작성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