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ㄱ ㄴ ㄷ 비룡소 창작그림책 7
박은영 글.그림 / 비룡소 / 199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자 놀이를 해 보세요.

ㄱ~ㅎ까지 글자 공부를 해 봅시다.

기차, 나무, 다리, 랄랄랄, 마을, 비바람, 숲속, 언덕, 자동차, 창문, 컴컴, 터널, 풀밭, 해를 이용하여 재미있는 이야기를 지어 보아요. 이 책이 바로 이 단어 하나하나를 연결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낸 그런 책이랍니다. 왼쪽 페이지에서는 커다란 글자를 만날 수 있고, 오른쪽 페이지에서는 그림을 만날 수 있어요.

기차가 지나가는 길을 따라 글자 여행을 해 보세요.

*사실 이 책은 아이에게 글자를 가르칠 욕심으로 일찌감치 구입을 했어요. 그런데, 아이는 자꾸 책을 들이미는 엄마 맘과 달리 이 책을 썩 좋아하진 않았어요. 시기가 아니었던 거지요. 이 책을 통해서 글자를 익혀 나가야겠다는 욕심만 버리면, 아이는 글자를 익히고 난 후 혼자서 책을 가져다 읽는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붕어의 숨바꼭질
기타무라 사토시 지음 / 사계절 / 1998년 1월
평점 :
절판


책이 절판이 되었네. ㅜㅜ

5살, 찬이의눈을 사로잡았다.

내용은 크게 특이하지 않다. 2마리의 금붕어가 숨바꼭질 하는데 술래가 찾다찾다 못 찾아서 어항 밖으로 나가고, 그곳에서 고양이를 ‘덜컥’ 만나고 만다. 놀란 금붕어, 고양이에게 춤추기를 제안하고. 고양이는 춤을 추면서도(?) 금붕어를 잡으려다 하지만, 놓치고 만다. 금붕어는 다시 어항 속으로! 다시 만난 두 친구는 숨바꼭질보다 함께 춤추는 것이 더 좋겠다고 결정한다.

도서관에 갔다가, 엄마 맘에 드는 책으로 주르르 고르는 동안 아이보고 책을 읽으라고 했다. 그리고 책을 반납하고 돌아서는데, 왜 물고기 책은 빌리지 않냐고 자꾸 따지는 바람에 빌린 책 한 권 반납하고 다시 빌려 온 책이다.

수많은 물고기를 만나면서 아이는 신나게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비룡소의 그림동화 5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의 세계와 어른들의 세계는 무언가 다른 듯하다.

기차놀이를 하다가 그만 자라는 엄마 말에 강아지 잠옷 집을 안고 잠이 든 소년은 꿈나라에서 강아지와 함께 기차를 타고 어딘가로 가고 있다. 가다가 만난 동물들에게 외치는 말.

"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동물들은 나름의 사정을 이야기 하는데...

코끼리는 사람들이 상아를 자꾸 잘라 가려고 해서 걱정이고, 물개는 사람들이 물을 더럽히고 물고기를 많이 잡아 가서 굶어 죽을까 걱정이고, 두루미는 사람들이 늪의 ㅁ루을 다 퍼 버려 살기가 어렵고, 호랑이는 사람들이 숲에 있는 나무를 마구 베어 가는 바람에 살기가 어렵다고 한다. 또, 북극곰은 사람들이 잡아다가 털옷을 만들려고 하는 바람에 살아남기가 힘이 든다고 한다. 소년과 먼저 탄 동물 친구는 어려움에 처한 친구를 매정하게 내쫓을 수 없어 동행을 하는데... 눈이 계속 내려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을 때 동물 친구들 덕에 눈을 치우고 기차여행을 계속 할 수 있게 된다.

신나는 기차 여행과 함께 꿈나라 여행도 마치게 되는데...

아이들은 잘 정돈된 모습에 기쁨을 느끼는 어른들과 달리 여기저기 늘여놓은 장난감들 속에서 꿈속나라 친구들을 만나기도 하는구나 하는 것과, 어려움을 겪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함께 만날 수 있고, 우리의 삶을 반성해 볼 수 있게 하는 그런 동화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 버닝햄 - 나의 그림책 이야기
존 버닝햄 지음,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존 버닝햄. 지각대장 존으로 처음 그를 만났다. 그리고 온 국민이 다 읽는 -아니, 초등 저학년들이라면 반드시 읽고 넘어가는 책이라는 느낌이 드는- 그 책을 읽으면서 나는 그의 그림책이 조금 어려웠다.

지각대장 존-그래서 뭐 어쨌다고? 도대체 뭘 말하는 거지? 한참 헤매다가 글에 대한 해설을 읽거나, 다른 사람의 설명을 듣고는 '그렇구나.'하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의 그림책이 어렵다고 하면 고개를 갸우뚱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내게는 그랬다. 그러면서도 자꾸 그의 그림책을 사 모으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작가에 대한 글을 읽다가 그가 자유의 학교 '섬머힐'출신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렇구나... 하면서 또 책을 읽었다.

그리고 이 책을 만났다. 무척 고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책을 사고야 말았다. 작가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주리라 믿으면서(파헤쳐서 내가 득 볼 것도 없으면서...) 사서 읽었다. 두꺼운 책, 비싼 가격에 비해 책 내용이 복잡하고 많지는 않았다. 하지만, 다양한 그의 그림을 칼라로 만나 볼 수 있다는 잇점이 있었다.

요즘 우리 작은 아이는 그림책을 보면서 가끔 이런 말을 한다. "엄마, 이렇게 어려운 그림을 아저씨는 어떻게 그렸을까?" 그러면 나는 "그러게. 아저씨는 정말 대단하지?!" 하고 답해준다. 아이들에게 그림책은 내용도 내용이지만, 그 그림만 쳐다 보아도 예술적인 감각을 키워 주진 않을까 하고 나는 요즘 기대한다. 그림책의 화려한 색채들을 전혀 만나지 못하고 자란 나와는 달리 우리 아이들은 내가 경험하지 못한 그 세계를 아주 어린 나이부터 경험함으로써 나와는 다른 무엇인가를 하나 얻으면서 자라리라 믿는다. 존 버닝햄의 그림책도 그런 점에서 내게는 무척 의미있는 책이다.

최근에는 아이가 <<지각대장 존>>을 무척 갖고 싶어 해서, 하나를 마련했다. (공짜로 책 얻을 기회가 생겨서 얻은 거지만.) 그리고 항상 존 버닝햄의 책을 읽을 때면 "이 책은 지각대장 존을 쓴 존 버닝햄이라는 분이 그리신 거야."하고 말해준다. 그러면 아이는 "나도 알아."라고 이야기 한다. (정말 잘 안다는 식으로.) 그렇다면 이 작가는 우리 아이가 최초로 이름을 외운 작가가 되는 셈이다.

이런 책으로 작가를 만나는 것도 색다르고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과 독서에 관해서 지혜를 주는 책 추천

'소설처럼' 다니엘 페나크
'호모 부커스' 이권우
'내 아이가 책을 읽는다.' 박영숙
'책, 세상을 탐하다.' 성석제
'서재 결혼시키기' 앤 패디먼
'너희가 책이다' 허병두
'만보객 책 속을 거닐다.' 장석주
'인디고 서원에서 행복한 책읽기' 인디고 아이들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잭 캔필드
'책, 그 유혹에 빠진 사람들' 젠틀 매드니스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강명관
'도서관에서 생긴 일' 귀뒬
'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 다니엘페나크의 소설처럼에서 10가지 재미있는 독서의 권리를 말하고 있는데 그 첫번째 권리가 '책을 읽지 않을 권리'이며 마지막 열 번째가 '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이다. 두 가지 모두 행복한 책 읽기로 나아가는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 인천교사 신문 제 84호
이성희 선생님(인천예일고)글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