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문학기행 행사로 부여에 있는 신동엽문학관을 다녀왔다. 좀 더 시간이 있어 하나하나 읽고 음미해보면 좋겠지만... 아쉬운대로 좋았다. 한겨울 눈 내리는 날 조용히 홀로 오고 싶어지는 곳이다.

 

 

 담장 안쪽이 신동엽시인의 생가이고, 저 너머에 있는 사각형 건물이 문학관이다. 내 키 때문에...

 

 

 시인의 부인인 인병선의 글

 

 

시인의 방

 

 

 시의 깃발.  겨울에 눈이 내리면 볼 만 하단다. 보고 싶다.

 

 

임옥상 작품

 

 

 건축가 승효상이 지은 문학관은, 제대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시 같은 건물이다. 살아있는 생물체로 숨 쉬고, 생각하고, 말을 건네고, 시간과 공간을 음미하는 건물? 이런 느낌이다. 사람들이 왜 승효상이라는 이름을 거론하는지 조금 알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집'이라는 걸 느끼게 한다.

 

 

문학관 옥상. 한 건물의 꼭대기인데 다시 땅이 된 공간.

 

 

바닥에 쓰인 네모난 돌모양이 같으면서도 조금씩 다르다. 미묘한 차이에 숨어 있는 숨결이 보일 듯 말 듯. 내부도 그렇다.

 

 

저 글 중 '내 인생을 혁명으로 불질러 봤으면'에 눈이 꽂힌다. 시는 조심스럽고, 사랑은 겁나고, 혁명은...불지르면 되니까. 39세에 요절한 시인이 '서둘고 싶진 않다.'고 한다. 왜 서둘러 가셨나요?

 

 

육필 시. 비록 복제품이긴 하지만 시인의 내밀한 이야기를 엿보는 듯하다.

 

 

 

외모도 참으로 시인답다.

 

 

지난번 이쾌대 전시회도 그렇지만 신동엽 문학관도 가족의 노력이 이루에 낸 결실이다. 특히 신동엽 시인의 부인인 인병선의 '내조'가 있었기에 시인이 사후에 더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닐까싶다. 유물을 일일이 살펴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90년대 초에 역사문제연구소 주최로 역사기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데 일행중에 시인의 부인인 인병선씨가 있었다. 이야기를 몇마디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시인의 부인답게 인생을 뜻있게 살고 계시는구나, 하는 인상을 받았었다. 존경스러운 분이었다.

 

짧은 나들이였지만 나름 의미있는 시간을 보낸 것 같아 좋다. 다시 가보고 싶은 곳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근길

 

 

 

퇴근길1

 

 

 

퇴근길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5-10-08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와...진짜 에펠탑 같아요!

nama 2015-10-08 07:20   좋아요 0 | URL
에펠탑 같다고 생각하면서 밀양이 떠올랐어요. 희망버스 한번 타보고 싶었는데 늘 후회가 남네요.
 

 

고종이 커피 마시던 곳. 이름하여 고종's cafe

 

1970년대 쯤. 단체관광을 다녀오신 아버지가 사온 그림엽서는 대개 이런 모양이었다. 어설프고 색도 선명하지 않은데 기억에 오래 남아 있다. 부족하고 부실한 그림엽서였지만 어린 마음을 채우고 미지의 곳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시절이 있었다.

 

고종은 에스프레소를 즐겼을까, 아메리카노를 즐겼을까? 아마도 에스프레소가 아니었을까?

 

사진보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냥 찍어봤다. 고종 때 찍은 사진 같다.

 

이렇게 못 찍기도 쉽지 않겠다. 요즘 세상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편의 노력이 들어간 메모꽂이. 누군가에게 나눠주면 사진만 남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