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철의 영화평론집 <정확한 사랑의 실험>(마음산책)을 책장에서 찾다가 못 찾고 적는 페이퍼라 제목을 그렇게 붙였다. 갑작스레 찾은 건 연휴에 스파이크 존즈의 영화 <그녀>를 인상적으로 보아서다. 몇년 전에 다운받아 놓은 영화인데 그때 다운받게 된 계기도 기억에는 <정확한 사랑의 실험>에 수록된 영화평 때문이었다(정확한 기억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영화평을 다 읽지는 않았을 것이다. 영화를 본 다음에 읽으려고 남겨놓았을 텐데, 막상 영화감상은 몇년 지체되었다. 주연 호아킨 피닉스가 서두에 연애편지를 작성하는 대목에서 두어 번 중단하곤 했는데 이번에는 감상 완료. 그러고는 사랑을 주제로 한 영화 가운데 다섯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영화로 꼽아두기로 했다. 통상 인간과 운영체제 사이의 사랑의 불가능성을 다룬 영화로 독해될 성싶은데, 한편으로는 테오도르(인간)와 사만다(운영체제)의 각기 다른 사랑의 방식을 대비시키고 있는 영화로도 읽힌다. 추정에 <정확한 사랑의 실험>에는 이런 문단이 들어 있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우리가 모르는 이야기가 있는가? ‘사랑에 빠지면서 새롭게 태어났지만 자신의 결여 때문에 온전히 당당할 수 없었던 한 존재가 자신의 결여와 화해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긍정하게 되자 더 넓은 세계를 만나 마침내 그곳으로 갔다.‘ 이것은 사랑의 서사가 성장의 서사로 오버랩 되는 전형적인 사례다. (당신을 떠난 그 사람도 바로 이런 과정을 거쳐 떠나갔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운영체제가 인간을 닮았다고 말하기보다는 인간이 이 운영체제와 다르지 않다고 말하는 편이 더 진실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인간의 사랑과 운영체제의 사랑이 갖는 유사성이다. 차이가 더 의미심장하다고 느낀 나와는 감상이 다른다. 그런 이유에서라도 책을 찾아봐야겠다. 그 차이가 왜 중요한지 밝히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책을 찾은 건 잠시였고 지금은 몇권의 책을 식탁에 올려놓은 채 봄에 나올 서평집의 교정을 보는 중이다. 오랜만에 내는 서평집이라 분량이 880쪽이 넘어가서 2-300쪽 이상 줄여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최근 몇 년간은 서평을 뜸하게 썼다고 생각했는데 예상보다 분량이 많다. 이건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닌 걸, 기억도 안 나는 노래가사를 흥얼거리는 중이다...

PS. 제보에 따르면, <그녀>에 대한 평은 책이 아니라 잡지 특집호에 실렸다. 책을 찾는 수고는 덜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2-18 04: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2-18 08: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영화 1987의 개봉 소식을 오늘에야 접했다. 그러고서 주문한 책이 세 권. 30년 전 시간으로 소환하는 책들이다. <1987>이 제작되고 개봉되는 세상에 살게 돼 기쁘다. 그런데 너무 들뜬 탓인지 지갑을 분실했다(그 이전 분실은 기억도 나지 않을 만큼 오래 전이다). 이용하던 신용카드들도 분실신고를 한 탓에 새로 발급받을 때까지 거래차단. 알라딘 구매도 중지.

집에 돌아와선 수습차원에서 지갑을 바꾸었다. 서랍에 오랫동안 자고 있던 지갑으로. 현금 분실액도 좀 되지만 핸드폰을 분실한 것보다는 차라리 낫다고 위안을 삼는다. 신분증을 비롯해 모든 것을 재발급받을 수 있기에. 다른 귀중품이 뭐가 있었는지 생각해보다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명함을 떠올렸다. 다시 받을 수도 없건만!

새해맞이용 액땜으로 치고 주중에 <1987>을 보며 기분전환을 해야겠다. 1987년의 사람들에 대해선 주제서평도 구상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지난 6월에 진행했던 '영화 속의 문학' 강의를 이달에는 장소를 한우리 광명지부로 옮겨서 진행한다(8월 10일부터 31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10분-12시 10분).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수강문의는 02-897-1235/010-8926-5607)


1강 8월 10일_ 제인 오스틴의 <레이디 수잔> vs 위트 스틸먼의 <레이디 수잔>(2016)



2강 8월 17일_ 기 드 모파상의 <여자의 일상> vs 스테판 브리제의 <여자의 일생>(2016)



3강 8월 24일_ 엔도 슈샤쿠의 <침묵> vs 마틴 스콜세지의 <사일런스>(2016)



4강 8월 31일_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 vs 드뇌 뵐뇌브의 <컨택트>(2016)



17. 08. 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필름포럼에서 진행하는 '영화 속의 문학' 여름강좌가 7월 18일부터 8월 8일까지 화요일 저녁(19:30-21:30)에 열린다. 이번에는 동시대 미국문학의 거장 코맥 매카시와 필립 로스의 작품을 두 편씩 골랐다. 이들의 작품은 다수 영화화되었는데, 최근작 <아메리칸 패스토럴>이 계기가 되었다. 영화의 원작이 궁금한 분이나 원작과 영화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싶은 분들은 함께하셔도 좋겠다. 



강의에서 다룰 원작은 아래와 같다. 


1강 7월 18일_ 코맥 매카시, <로드>



2강 7월 25일_ 코맥 매카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3강 8월 1일_ 필립 로스, <울분>



4강 8월 8일_ 필립 로스, <미국의 목가>



17. 06.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6월 9월부터 30일까지 4주간 매주 금요일 저녁에 '필름포럼 아카데미' 강좌로 '로쟈와 함께 읽는 영화 속의 문학'을 진행한다(신청은 http://cafe.naver.com/sicff/1327). 네 편의 영화를 원작과 함께 읽어보는 강의로 꾸렸다. 영화는 최근 개봉작들 가운데서 골랐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1강 6월 9일_ 제인 오스틴의 <레이디 수잔> vs 위트 스틸먼의 <레이디 수잔>(2016)



2강 6월 16일_ 기 드 모파상의 <여자의 일상> vs 스테판 브리제의 <여자의 일생>(2016)



3강 6월 23일_ 엔도 슈샤쿠의 <침묵> vs 마친 스콜세지의 <사일런스>(2016)



4강 6월 30일_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 vs 드뇌 뵐뇌브의 <컨택트>(2016)



17. 04.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