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핏 보면 예전에 비디오로 빌려봤던 중국영화 같긴 한데...
그래서 좋았나...
옛날 느낌 나면서도 요즘 느낌이 적절히 섞이니 시간 때우기 좋다.

 

점수 :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9-14 18: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9-15 1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int236 2011-09-14 1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우치하면 생각나는 대사는...."도사란 무엇인가?"입니다. 전우치를 보고 난 후에 의형제를 보고 있으려니 자꾸 강동원이 송강호와 대화를 나누다가 "도사란 무엇인가?" 할 것 같은 느낌이...

라주미힌 2011-09-15 10:31   좋아요 0 | URL
아 그러고보니 그렇네요.. 생각나는 대사가 없었는데 ㅎ
 

혹성탈출의 여백을 이래저래 메꾸는 작업들이 꾸준한 걸 보면,
이야기의 생명력은 완전함이 아니라 불완전함에 있는 듯 하다.
채우려 채우려 해도, 채울 수 없는 허기의 본능이라고나 할까..
100년도 못 사는 인류의 불안은 시작과 끝을 모른다는 것에 있다.
다만 깊은 땅 속에 만고의 흔적을 남긴 것들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가늠할 뿐이다.  
지구를 장악하는 속도만큼 빨라지고 있는 몰락의 속도.

인류의 자신감 만큼 구겨지는 자존감이
유인원의 표정에 서서히 드러나더니 터져나오는 말이 극적이다.
지구적 관점에서 우리의 빈자리는 얼마나 작은지
진화의 시작을 통해 그 끝을 보게 한다. 

탁월한 심리묘사가 좋다.

 

점수 :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11-09-14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용하신 단어가 너무 마음에 들어요.
예전에도 가끔 그런 생각한 적이 있는데
라주미힌님 가끔 참 멋진 단어들을 구사하십니다.
첫번째 단락 너무 마음에 들어요.

2011-09-15 1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9-15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글, 첫 단락 참 좋습니다.^^
터져나오는 말은 "NO~~~"였던가요. 첫 말이 'NO'임에 다들 많은 의미를 부여하더군요.

라주미힌 2011-09-15 23:57   좋아요 0 | URL
네... 욕이 튀어나오지 않은게 신기 -_-;;;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9-06 1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주미힌 2011-09-06 11:48   좋아요 0 | URL
흘흘.. 감솨..

순오기 2011-09-06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미야~~~ 아이셔~~~ 그래도 침이 고여라! 질질~~~ ㅋㅋ
미각에 이상이 없는 아가들~ 표정이 하나같군요~~~~~^^

라주미힌 2011-09-06 12:53   좋아요 0 | URL
보기만해도 같은 표정 되네요 아으...ㅎ
 

노원구 공릉동 월계동을 기반으로 하는 17대 국회의원 정봉주... 

이 문장이 머리 속에 박힘 -_-;; 아 은근히 피곤하네... 

궁금해서 카페에도 가입 함 -_-;; 아... 이게 모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11-09-02 1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나 완전 공감하고 가요. 노원구 공릉동 월계동을 기반으로 하는 17대 국회의원 정봉주 ㅎㅎㅎ 전직 국회의원이죠, 지금은 백수에요, 백수, ㅎㅎㅎ 자동 음성지원되네요.

라주미힌 2011-09-05 11:10   좋아요 0 | URL
흐흐.. 카페도 가입하세용
 

안녕하십니까? 경기도교육감 김상곤입니다. 서울시 곽노현 교육감의 금품전달 사안이 교육계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당혹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곽교육감과 오랜 친분을 유지해 오면서, 그 분의 인품과 도덕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가져왔던 사람으로서, 곽교육감의 도덕성이 집중적 질타를 받는 모습을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으로 지켜보았습니다. 지금도 진실공방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저는 그 동안 이 사안에 대하여 발언을 자제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 사안과 관련한 문제가 계속되고 있고 더욱이 이 사안이 단순히 서울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개혁과 교육자치를 비롯한 우리 교육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비화되는 시점에서 여러분께 몇 마디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곽교육감이 사퇴후보에게 아무리 ‘선의’라 하더라도 2억의 금품을 전달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고 그 파장이 계속되는 것 또한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입니다. 민주주의는 민주적 절차를 지키는데서 시작합니다. 아무리 피의자라 할지라도 무죄추정과 피의사실공표 금지 원칙이 지켜지면서 피의자의 인권이 존중되어야 함에도 그것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실 여부와 무관한 과도한 억측과 왜곡이 끊임없이 재생산되면서 무엇이 진실인지 혼란만 가중되었습니다. 양측의 주장이 명백하게 대립되는 상황에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 수사 결과와 사법부의 판단을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며, 사실에 기초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마땅한 일입니다. 저는 곽교육감이 그 동안 민주적인 법학자로서, 양심적인 교육자로서, 개혁적 교육행정가로서 보여준 모습을 신뢰하고 존중해 왔고 그것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또한 곽교육감이 어떠한 결정을 내려도 그 판단을 존중할 것입니다. 문제는 이 사안이 교육자치에 대한 논쟁으로 엉뚱하게 비화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광범위한 여론 수렴 차원의 논의가 아니라 정치권과 일부 인사들에 국한된 일방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감 직선제 자체를 개정하려는 시도는, 곽교육감 사안을 빌미로 교육자치 자체를 일시에 퇴행시키는 잘못된 움직임이며 이러한 시도는 즉시 중단되어야 합니다. 교육감선거와 관련된 교육자치제도는 91년 교육위원에 의한 간선제를 시작으로 2007년 교육감 주민직선제가 도입되는데까지 발전되어 왔고, 본격적으로는 작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국 16개 교육청 교육감이 선출된 지 이제 갓 1년이 지난 제도에 불과합니다. 교육감직선제는 온 국민의 관심사인 공교육 정상화와 참여를 통한 교육민주주주의 증진, 그리고 헌법이 규정한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구현하는 가운데 교육이 정치와 일반행정에 예속에서 벗어나 온전한 교육자치를 구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탄생한 제도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교육열과 교육수준, 교육적 지식과 안목, 그리고 교육자치의 열망은 어느 나라보다 높고 그 동안 우리 교육은 국가발전과 사회경제적 성장의 기반이 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교육은 모든 국민의 관심사이지만 교육의 공공성과 민주성은 국민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 또한 사실입니다. 따라서 국민의 열망에 의해 만들어진 직선제 교육자치제도의 완성을 통해, 우리의 경제사회적 수준에 걸맞는 교육복지를 비롯한 교육공공성 확대와 교육현장의 민주주의가 구현되어야 합니다. 우리의 주민직선 교육자치 제도는 우리의 교육적, 사회적 조건에 의해 발전해 온 제도로 마땅히 존중되어야 합니다. 시행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문제는 교육계를 비롯한 광범위한 사회적 여론을 수렴하는 가운데 보완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것이지 지금처럼 일방적인 교육자치의 퇴행적 시도는 부당합니다. 가을의 시작입니다. 출근하면서 본 길가의 코스모스가 성큼 가을을 느끼게 했습니다. 여러분들 모두가 가을처럼 풍요로우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11-09-02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딱 적당하네....
요즘 언론 왜케 부지런해 ... -_-;; 하여간... 들개같어.

글샘 2011-09-03 0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무현, 한명숙, 곽노현... 들개같은 검찰 앞에 던져진 사람들 아니었나 싶에요.
요즘 교육감 직선제 폐지 운운하는 거 보니... 정말 본능만은 특출한 들개들이란 생각에... 겁이 납디다. 괴물과 싸우는 자, 괴물이 된다던데...

라주미힌 2011-09-05 11:11   좋아요 0 | URL
견제세력이 없으니.. 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