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복이 이야기 3
공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6월
평점 :

개한테 옷 입힌 건 본 적 있는데, 고양이한테도 옷을 입히는 사람 있을까. 내가 못 본 거고 고양이한테도 옷 입히는 사람 있을지도. 고양이뿐 아니라 개도 옷 입는 거 싫어할 것 같은데. 동물이 옷 입는 거 싫어하면 억지로 입히지 않기를 바란다. 추워 보이면 따듯하게 해주면 되지 않나. 동물은 여름엔 많이 더워도 겨울엔 털이 있어도 조금 추울지도. 바깥에 사는 동물은 추위를 견디고 살아가겠다. 개와 고양이가 겨울 잘 나고 살아남기를. 동물과 함께 살기로 했으면 끝까지 살기를 바란다. 언제나 사람은 보내는 쪽이겠지. 마지막 잘 지켜주기를.
이 책 <금복이 이야기>는 외전까지 모두 일곱권이다. 이번에 3권을 만났다. 이어서 여러 권 보는구나. 천천히 봐야 하는데. 새끼 고양이는 귀엽겠다. 사람을 따른다면 더. 늘 그런 건 아닌가. 금복이도 혼자 있고 싶을 때 있을지도. 어떤 날엔 의균과 하루 내내 함께 있고 싶을지도. 금복이는 아침에 의균이 나가려 하자 같이 놀자고 한다. 의균은 오늘은 바쁘다 말한다. 그날은 의원이 오는 날이었다. 의균은 침을 맞았다. 의원은 의균이 몸이 많이 좋아졌다고 한다. 의균이 많이 아플 때도 있었나 보다. 금복이와 함께 살게 되고 의균이 자주 웃어서 건강해진 듯도 하다.
풀색 털북숭이가 금복이한테 갖다 준 꽃은 의균이 아플 때 먹는 약으로 만드는 약초였다. 금복이는 그걸 듣고 그날 밤에 곶감을 가지고 복성이를 찾아가서 고맙다고 한다. 그 꽃은 비가 올 때 핀단다. 나중에 금복이가 그 꽃을 찾으러 갈 것 같기도 하다. 복성이는 비가 와야 산에서 내려오는 것 같다. 비 안 올 때도 금복이 만나러 왔다. 밤에 금복이는 사람이 돼서 쓸쓸하기도 할 텐데, 복성이가 와서 괜찮았겠다. 금복이와 복성이가 말하는 걸 의균이 잠결에 듣기도 했다. 의균은 그걸 꿈으로 생각했다. 의균은 마당에 그림이 있는 걸 본다. 꿈이 아니었나 생각했을지도.
곧 겨울인가 보다. 금복이는 고양이여서 추위를 많이 탔다. 하루는 밤에 추웠는데 방에 불을 때지 않아서 의균이 아팠다. 밤이 찾아오고 금복이는 사람이 됐다. 금복이는 추워도 의균한테 들키지 않으려고 밖으로 나왔다. 금복이는 자신이 사람이 되는 게 싫었다. 의균이 알면 자신을 싫어할까 봐. 금복이 어미도 싫어했다. 금복이는 불을 때는 아궁이 앞에 앉아 있었다. 거기에 다른 고양이가 찾아온다. 가끔 놀러오는 고양이로 묘왕이라 한다. 묘왕 울어서. 둘이 불을 쬐는데 금복이를 찾던 의균이 거기 나타났다. 금복이지만 금복이다 말할 수 없어서 금복이는 울어 버렸다. 의균은 우는 금복이를 달랬다. 자신이 금복이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는지 말한다. 바로 앞에 금복이가 있다는 것도 모르고. 그 말을 들은 금복이는 고양이도 의균을 만나 행복할 거다 말해준다.
의균한테는 하균이라는 동생이 있다. 하균은 혼인하고 나가서 사는가 보다. 벼슬도 하는 것 같다. 어릴 때는 둘이 사이가 좋았던 것 같은데, 지금은 둘 사이가 서먹서먹한가 보다. 하균이 집에 온다고 했다. 그 말을 아버지는 바로 하지 못하고 며칠 뒤에 겨우 한다. 좀 더 늦게 하균이 올지 알았는데 생각보다 일찍 집에 왔다. 의균은 하균한테 금복이를 들키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하균이는 금복이를 보고는 갖다 버리라 한다. 의균과 하균은 무엇 때문에 싸우고 사이가 안 좋아졌을까. 다시 좋아지는 일이 일어나겠지. 의균은 자기 시중을 드는 동이한테도 마음을 잘 써준다. 의균은 금복이가 겨울에 추울 것 같아서 옷감 집에서 옷을 만들어 달라고 한다. 옷 입은 금복이 귀엽기는 했다.
고양이는 높은 곳에 올라가는 거 좋아하지 않나. 캣타워라 하던가. 영어네. 한국말로는 뭐라 해야 할까. 직역하면 고양이탑. 의균은 대장간 고양이가 솟대에 올라간 걸 보고 솟대를 만들어 달라고 한다. 그것도 금복이가 좋아하겠다. 전에는 금복이를 닮은 인형을 사다줬다. 그것도 의균이 만들어 달라고 한 거다. 예전에는 거의 사람이 손으로 만들었다. 여기에는 금복이뿐 아니라 다른 고양이도 가끔 나온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