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좋다. 역시 사강.










다음 날 아침 병원에 가기 전, 내가 특히 좋아하는 미국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전시를 보러 갔다. 고독한 인물들로 가득한 그 우울한 그림들 앞에서 몽상에 잠겨 한 시간을 보 냈다. 특히 〈바다를 바라보는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그림 앞에서 시간을 끌었다. 그림 속에서는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나란히, 그러나 서로에게 완전히 낯선 사람들인 채로 정육 면체 모양의 집 앞에 앉아 바다를 보고 있다. 거기서 앨런과 내가 했던 공동생활에 대한 암시가, 잔인한 설명이 엿보이는 것 같았다. - P126

"당신 지루해요?" 줄리우스가 물었다.
"아뇨. 왜요? 이 나라는 무척 아름답고, 난 아무것도 하지않고 지내는게 참 좋아요."
"당신이 지루해하지 않을까 줄곧 두려웠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나에겐 끔찍한 일일거예요."
줄리우스가 말했다. "그게 왜요?" 내가 즐거운 목소리로 물었다.
"당신을 알게 된 이후 나는 더 이상 지루하지 않으니까요." - P138

그는 나에게 하룻밤의 남자였다. 나는 햇빛 아래에서보다는 어둠 속에서 그의 모습을 훨씬 더 많이 보았고, 나에게 그는 불타는 육체, 누워 있는 옆모습, 새벽의 실루엣이었다. 나에게 그는 열기, 세 개의 시선, 한 개의 무게, 네 개의 문장이었다. - P178

우리는 지독히도 평행이고 지독히도 낯선 서로의 인생 속을 지나갔다. 우리는 오직 옆모습으로만 서로를 보았고, 결코 서로 사랑 하지 않았다. 그는 나를 소유하기만을 꿈꾸었고, 나는 그에게서 달아나기만을 꿈꾸었다. 그게 전부였다. - P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사강 소설은 흡입력이 있다.






바로 이 부분이 최악의 결별의 특성이다. 단순히 헤어지 는 자체만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이유 때문에 헤어지는 것. 그토록 행복하다가 그토록 엉클어지고, 그토록 가까워서 서로에 의한 것 말고는 아무것도 진실이 아니다가 정신이 나가고 사나워지고, 사막에서 더 이상 서로 만나지 않을 길을 걷는다. - P18

둘째는 그를 피해 떠나는 것, 그에게서 달아나는 것이다. 하지만 때때로 나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를 내가 사랑했던 모습으로 떠올렸고, 그리하여 합리적이고 유일한 것임을 알고 있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스스로를 잃게 되었다. - P21

"당신을 되찾을 거야. 난 당신과 절대 헤어지지 않을 거 고, 당신은 내게서 결코 벗어나지 못할 거야. 당신은 내가 어디에 있는지, 내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지. 하지만 내가 당신을 잊었다고 생각할 때 난 당신의 삶에 다다를 거야. 그리고 모든 걸 망가뜨릴 거야." 앨런이 말했다. - P70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07-11 15: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시 새파랑님은 사강을 흡입한다.

새파랑 2023-07-11 16:39   좋아요 0 | URL
아 ㅋ 요새 시간이 없어서 짬내서 밑줄긋고 있습니다 ㅎㅎ

페크pek0501 2023-07-13 11: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사강 소설 읽었었는데 제목이 슬픔이여 안녕, 이었어요.
알라딘에 기록을 해 놓지 않아 무슨 내용이었는지 모르겠어요. 기록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으며...ㅋ

새파랑 2023-07-14 08:27   좋아요 0 | URL
저 이책 다 읽었는데 아직 리뷰를 못쓰고 있습니다 ㅋ
사강 작품은 평타이상은 하는거 같습니다~! 다 재미있어요 ㅋ

맞습니다~! 기록해야 합니다~!!
 

일상도 재미있는 하루카. 하루키 같우 사람이랑 친하게 지내면 심심할 날이 없을것 같다.




물론 고양이에게도 다양한 성격이 있고, 한 마리 한마리에 따라 저마다 생각하는 방식이 다르고 행동양식도 다르다. 지금 기 르는 샴고양이는 내가 앞발을 잡아주지 않으면 새끼를 못 낳는 실로 흔치 않은 성격의 고양이다. 이 고양이는 진통이 시작되면 곧장 내 무릎으로 달려와서는 ‘으쌰‘ 하고 앉은뱅이 의자에 기대는 듯한 자세로 주저앉는다. 그리고 내가 두 앞발을 꼭 쥐어주 면 이윽고 한 마리 또 한 마리 새끼 고양이가 태어나는 것이다. 고양이의 출산이란 곁에서 보고 있으면 상당히 신기하다. - P72

"그런데 무라카미 씨는 평소에 어떤 연필을 사용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나는 늘 F심 연필을 사용하니까 "F를 쓰는데요"라고 대답하자, 그 사람은 이 렇게 말했다. "그렇군요. 그런데 늘 생각하는 건데, F심 연필은 세일러복을 입은 여학생 같지 않습니까?" - P90

십대 시절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장 크리스토프』『전쟁과 평화』『고요한 돈강』을 세 번씩 읽었던 것이 정말 옛날 일처럼 느껴진다. 당시에는 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좋았던지라, 『죄와 벌』 같은 작품은 페이지가 너무 적어 성에 안 찬다고 생각 했을 정도였다. 그 시절에 비하면 - 나이를 먹어 책 한 권을 찬 찬히 읽게 되었다는 변화도 있지만- 독서량이 오분의 일 정도로 줄어든 것 같다. - P153

요즘 필립 로스의 소설이 갑자기 재미있게 느껴지는데, 그렇게 생각하는 건 나뿐일까? 그리 재밌다는 평판은 못들은 것 같은데. - P263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3-07-10 14: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 에프심 연필이 세일러복입은 여학생 같은까요? 잘 모르겠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키에게 물어봐야겠죠?

새파랑 2023-07-10 19:42   좋아요 1 | URL
하루키 지인이 그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ㅋ 저런 표현이 너무 좋네요. 독창적입니다 ㅋ

얄라알라 2023-07-10 23:21   좋아요 2 | URL
han님...ㅋ
저도 F심 이해를 못해서,
물음표 하던 차인데 다행인가봐요
저만 이해 못한 게 아니라서^^

F글자가 위쪽이 비대해서 세일러복 입으면 상반신이 과장되어 보여서 그런건가요?^^ 아...새파랑님 설명해주셔도 못알아듣는 저는 어쩌면 좋습니까?

새파랑 2023-07-11 07:49   좋아요 1 | URL
저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ㅋ 연필심이 뭔가 좀 다른걸까요? ㅋ 단어 보다는 연필의 특성을 보고 표현한거라 생각했는데 알라님 글을 보니 단어의 특성(?)때문일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

페크pek0501 2023-07-13 11: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하루키가 얼마나 고양이를 사랑하는지를 그의 글을 통해 알았어요.
위의 72쪽의 내용은 저도 읽은 건데 어디서 읽었는지는 모르겠어요.ㅋ
고양이가 얼마나 그를 신뢰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죠.
십대 시절에 명작을 세 번씩 읽은 작가로군요. 대단합니다.

새파랑 2023-07-14 08:28   좋아요 0 | URL
저도 이거 보고 웃겨서 밑줄 그었습니다 ㅋ 이책이 밑줄그을 만한 성격은 아닌데 ㅎㅎ

저기있는 책들 일단 다 가지고는 있습니다 ㅋ
 

하루키의 상상력은 대단하다 정말~!

"설명 같은 건 하고 싶지 않았어" 하고 그는 가로막듯이 말했다.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더라도 이해해 주기를 바랐던 것 같아. 특히 누나에게는 말이야." - P4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3-07-13 1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설명을 해 주어야 아는 사람이 있더라는...

새파랑 2023-07-14 08:35   좋아요 1 | URL
이거랑 비슷한 하루키의 문장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모른다면 설명해도 모르는 것이다˝ 요런 비슷한게 있습니다 ㅋ
 

시처럼 읽히는 소설. 좋은 문장들이 많아서 좋았다.

누군가의 매력에 빠진 사람은 그가 잘못을 저질러도 쉽게 화를 내거나 그를 버리지 못한다. - P17

사랑이 시작되는 건 한순간이다. 미움이 쌓이는 데엔 평생이 걸릴 수 있지만, 일곱 살 때 그걸 알았다. 그 반대가 아니란 것. 누군가를 미워하기 위해선 평생을 노력해야 할 수도 있다는 걸. 단박에 알았다 - P30

미옥이 지닌 아름다움은 인생에 도사린 위험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것이 가시 박힌 아름다움이란 걸 나는 본능적으로 알았다. 나는 미옥이 지나갈 때 타박하는 듯한 눈길로 몸을 훑고 지나가는 어른들의 시선을 보았다. 아름다움은 지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지나칠 때는 더 그렇다. 누군가는 힐난하고, 누군가는 손에 쥐고 싶어 한다. 둘 다 공격적이긴 마찬가지다. - P113

미옥은 책을 좋아했다. 읽는 걸 좋아한다기보다 책이라는 ‘물건‘을 사고, 바라보고, 옆에 두는 걸 좋아했다. 읽는 건 나와 루비가 했다. - P116

눈을 감고 열을 세고 다시 눈을 뜨기까지, 열번의 다른 호흡이 열 번의 같은 호흡이 될 때까지 노력이 필요했다. 우리는 결이 같은 호흡을 나누면서 깨끗해지길 꿈꿨다. 우리에게 일어난 나쁜 일들을 씻기고 태우고 묻었다. - P159

손을 씻는 일은 쉬웠다. 개를 만지지 않았다는걸 증명하는 일보다 쉬웠다. 하지 않은 일을 증명하는 일, 그건 미치도록 어렵다. - P179

어쩌면 우리는 진짜 비밀은 이야기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말할 수 없는 것, 그것은 정말 말할 수 없는 것이다. - P249

어른들은 자기가 한 말의 앞뒤 맥락을 생각해보지 않는다. 특히 아이들에게 한 말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거짓과 진실이 따로 없으며, 한 말을 잊고 안 한 말을 했다고 믿는다. - P397

모든 이별은 언덕 위에서 이루어진다. 사소한 이별이라 해도 그게 이별이라면, 올라선 곳에서 내려와야 한다. 내려오기. 그게 이별이다. 다리가 후들거리는 건 낙차 때문이다. 당신이 있는 곳과 없는 곳, 거기와 여기, ‘사이’라는 높이. 당신이 한사코 나와 떨어져 존재하려는 높이. 기어올라야 하는 이별도 있을까? 그건 죽은 사람, 하늘로 돌아간 사람뿐이다. - P42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3-07-09 15: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말 좋은 문장이 많네요. 위의 글 읽어 보고 동감해요.^^

새파랑 2023-07-09 16: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페크님이시면 좋아하실거 같습니다~!! 저도 이 분의 다른 책 더 읽어보려고 합니다 ㅋ

페크pek0501 2023-07-10 15:34   좋아요 1 | URL
작가가 장석주 시인의 배우자예요. 나중에 생각났어요.^^

새파랑 2023-07-10 19:42   좋아요 0 | URL
아하 그렇군요~! 문학가족이라니 근사하고 멋집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