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에 이 시집 제목을 읽었을 땐 즐거움이 넘치는 시들이 실려 있을 거라 생각했다.
시들다는 말이 좋지 않은 의미로 쓰이니까, 시들지 않는다는 말이 들어 있으므로, 젊고 건강하게 발랄하게 지내는 생활이 표현되어 있지 않을까 했는데...
시집을 읽으면서 발랄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오히려 어둡다. 쓸쓸하다. 외롭다. 처연하다는 말이 먼저 떠올랐다. 왜 그럴까?
시 구절을 이해하기 힘든데, 시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기 힘든데... 마치 우주가 까만 어둠에 싸여 있듯이, 시인의 말들은 그냥 어둠 속을 배회하는 낱말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럼에도 이상하게 마음에 남는 시가 있고, 그 시들이 우주의 어둠을 연상시키고 있었다. '드무개 마을'이라는 시에서 '드무개'? 하다가 찾아보니 남해에 드무개 마을이 있단다. 무척이나 아름다운 마을이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마을을 시로 표현하는데, 무언가 어둡다.
'죽은 새끼 짐승, 어둠에 젖어, 늙은 여자의 빈 젖만 빨던, 목소리가 근심스러웠다 등등' 이런 시어들로 인해서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도 어두운 삶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여기에 '우체통'이라는 시도 그렇다. 우체통은 나와 다른 사람을 이어주는 역할, 마음을 나눠주는 역할, 그래서 설렘이 있는, 희망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하는데, 시인의 우체통이란 시를 읽으면 그렇지 않다. 쓸쓸하다. 그냥 홀로 외롭게 서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렇다고 다 어둡지는 않다. 그냥 느낌이 그렇다는 것. 시인의 말을 곰곰이 생각했다. '올리브 동산에서 만나요'라는 말. 그리고 날짜가 적혀 있는데 2020년 9월 10일이다. 잠깐 의문에 잠겼다. 시인은 불의의 사고로 2020년 7월 24일에 영면했다고 한다. 그런데 9월 10일이라니?
이 의문은 발문을 읽고 풀렸다. 시인의 49재 날이 바로 9월 10일. 올리브 동산은 시인이 쉬고 있는 곳, 우리는 그곳에 있는 시인을 시집을 통해서 만날 수밖에 없다. 이 구절이 어디에 있을까? 유고시집이니 시인이 시인의 말을 쓰지는 않았을 텐데...
읽다가 '환상통을 앓는 행성과 자발적으로 태어나는 다이달로스의 아이들'(62-64쪽)이라는 시 첫구절이 '올리브 동산에서 만나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다이달로스의 아들이 누구인가? 이카루스 아닌가. 이카루스의 날개라는 말은 많이 쓰는데, 그는 결국 추락하지 않았던가. 하늘로 날아오르기를 바랐으나 결국 땅으로 바다로 추락하고 만 이카루스.
그렇다고 올리브 동산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추락하자는 말로 이해하면 안 된다. 이 말은 다른 세계를 상상할 수 잇어야 하고,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세계와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사람들이 함께 지낼 수 있는 그런 장소를 만들고, 그 장소에서 서로 어울리자는 말로 해석해야 한다.
그렇다면 그곳으로 어떻게 가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 그때는 아이가 되지 않으니. 나이든다는 것, 그것은 어릴 적 순수함을 하나씩 잃어간다는 뜻. 즉 식물로 따지면 시들어간다는 뜻. 다르게는 익어간다고, 성숙해진다고 하지만... 지금은 그 뜻을 잠시 놓아두자.
이렇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가다가는 올리브 동산에서 만날 수가 없다. 하늘로 비상해야 한다. 비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적어도... 우주를 가로질러, 다른 우주로 가려면 그냥 나아가서는 갈 수가 없다. 빛보다 빠른 속도로 가더라도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럴 때 우주를 가로지르는 길로 가야 한다.
시인은 말한다. '아이는 불가피한 귀결로 자란다. 웜홀 웜홀'('환상통을 앓는 행성과 자발적으로 태어나는 다이달로스의 아이들'에서. 64쪽)
웜홀로 가면 시들지 않는다. 아이는 아이로 다른 세계로 간다. 이것이었구나, 시인이 '언니의 나라에선 누구도 시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 것은. 이 시 구절은 '친애하는 언니'(66-67쪽)라는 시에 나온다.
그래, 웜홀을 통과해 가면 시들지 않지. 시들기 전에 다른 세계에 도달하지. 그렇게 만날 수 있지. 그러한 올리브 동산에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시인이 그렇게 웜홀을 통과했다고 믿으련다. 그는 그곳에서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기다리고 있겠지.
그의 시 중에 '일랑일랑' 시를 읽으며 그가 이미 뿌리내리고 있는 올리브 동산을 나는 이 시집을 통해서 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싶다.
일랑일랑
어린 묘목을 사왔다
8월이 살찌고 햇살이 과수원으로 긴 숨을 불어넣던 날 줄무늬 수박이 계절의 한가운데를 가르면 눈물 많은 복숭아가 먼저 생겨 제 울음을 토해내던 날
1,630마일을 건너 신부를 데려왔다
늙은 삼촌은 새장가를 갔다 데려온 신부는 맨발이었다 뿌리 휑한 신부는 과수원에 자주 들락거렸다 발이 큰 삼촌이 무서웠는지 맨발인 자기 발이 부끄러웠는지
심장이 붉은 토마토가 온점을 찍는 날이 늘어갔다 낯선 곳에서 매미가 울었다 알 수 없는 곳으로 울음이 흘러가고 곳곳에 여름의 문장으로 환한 날이었다
여물지 못한 안부가 이국의 단어로 속살거리는 저녁 어둠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스며든다 신부는 설익은 잠을 잤다
곯은 자두는 단내가 심했다 복숭아가 낙과하고 으깨진 과육은 개미굴의 낙원이었다 신부는 알이 작은 참외를 곧잘 깎아 먹었다
껍질을 풀어 생애를 더듬는 이국의 당신
우거진 넝쿨에서 포도가 자랐다 한여름 소화되지 못한 응어리가 초록으로 폭발하듯 신부는 막 깨어난 알맹이를 삼켰다 두번째 뿌리를 내릴 곳에 맨발이 닿고 온 마을에 묘목이 옮겨졌다
또다른 지구가 태어나고 있었다
김희준, 언니의 나라에선 누구도 시들지 않기 때문. 문학동네. 2021년 1판 6쇄. 104-105쪽
일랑일랑을 찾아보니 동남아시아에서 자라는 나무에서 피는 꽃 이름이라고 한다. 향기가 좋다고 하는데... 향수의 원료가 된다고 하니.
동남아시아에서 온 꽃나무와 동남아시아에서 온 이주민이 연결되는 시. 그리고 두번째 뿌리를 내린다는 말에서, 올리브 동산은 특정한 어느 지역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사는 곳을 올리브 동산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시인이 올리브 동산으로 가자고 하고, 거기서 만나자고 한 것은 그곳을 시간이 지나서야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라, 시간을 건너뛰어 또는 그럴 필요 없이 바로 여기를 올리브 동산으로 만들면 된다고 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렇게 생각하니 시가 꼭 어둡지는 않다. 우주를 채우고 있는 암흑물질(암흑에너지)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해서 암흑이지만, 그 어둠이 우주를 지탱하고 있으니, 이 시집에서 느꼈던 어둠을 우주의 어둠으로 생각하고 싶어졌다. 그러면 광활한 우주를 우리는 여행하고 있게 되니까.
김희준이라는 시인의 시집을 통해 이렇게 우주를 여행하고, 웜홀로 다른 세계로 곧장 나아가기도 한다. 그의 시에서 '일랑일랑'의 향기를 맡는다고 하면 지나친 과장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