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독서량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 강국이라는 소리를 듣는 우리나라 아니던가.
틈만 나면 웹서핑을 하는데, 언제 책을 읽을까? 단지 이런 생각만 했었다. 시간의 문제라고.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아니라고 한다. 이는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뇌가 책을 읽을 능력을 잃어버리고 있는 문제란다. 하여 작은 글씨로 책 표지에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고 쓰여 있다.
인터넷이 우리의 뇌와 어떤 관련이 맺고 있는지를 이야기 하기 위해, 저자는 뇌과학, 인지과학, 독서의 역사, 기술의 역사 등을 인용하고 있다.
우리 뇌는 성인이 되면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잘못되었다고 최근의 뇌과학을 들어 반박하고 있으며, 어떤 기술도 우리의 뇌에 영향을 준다고 이야기 하고, 읽기의 방식이 변함에 따라 뇌도 변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최신 과학기술은 왜 위험할까?
이는 인터넷이 수많은 링크 등을 통해 우리가 생각할 시간을 주지 않는데 있다고 한다.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어떤 주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고, 수많은 링크 중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들만 가볍게 찾고 지나가는 태도를 지니고, 이는 결국 장기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기관을 발전시킬 기회를 박탈당한다고 한다.
나무에 비유를 한다면 인터넷을 통한 지식의 검색 등은 열매라 할 수 있고, 집중과 노력을 통해 얻은 지식은 뿌리라고 한다면 우리는 인터넷을 통한 생활은 결국 뿌리는 점점 약해지고, 열매만 많이 맺는 나무라 할 수 있다.
이 나무가 잘 살 수 있을까? 나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처음에는 열매가 많으니 너무도 좋아보이고, 이것이 이 나무가 다른 나무들을 대체하는 이유가 되겠지. 하지만 몇 년만 지나면 이 나무는 뿌리가 너무도 약해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말라죽고 말게 될 것이다. 뿌리가 더이상 얻을 수 없게 될 터이니.
인터넷으로 지식을 검색하여 지식을 획득하는 방식도 이 나무와 같다. 수평적 사고를 지나치게 확대해서, 결국은 다른 많은 지식들이 검색이 되지 못하고 사라지게 하는 결과를 낳고, 이것은 더욱 수직적 사고를 할 수 없게 만들어 버린다.
결국 인터넷을 과도하게 사용한다면 우리는 집중력을 비롯하여 기억력 등 인간에게 꼭 필요한 요소를 잃게 되고, 컴퓨터처럼 조건, 입력에 의해 움직이는 상태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저자는 우려하고 있다.
이 저자의 주장이 현실적이고, 절실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이 책에서도 말하고 있듯이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나라도 이런 아이티(IT) 사회에서 벗어나지 않고 오히려 이러한 사회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학교를 비롯해 우리나라 모든 곳에 들어와 있는 컴퓨터를 생각해 보라. 우리는 차분히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기회가 있는가? 우리 역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아닌가?
아니 어쩌면 우리는 생각하지 못 하는 사람이 이미 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더 생각 못 하는, 프로그래밍이 되지 않으면 작동을 못 하는 컴퓨터처럼 되기 전에, 우리는 컴퓨터에 조금 거리를 두는 연습을 하여야 한다.
이 책은 그래야만 한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컴퓨터가 만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아니면 컴퓨터 사회에 불만인 사람, 모두가 읽어도 좋을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