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우어
천선란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11월
평점 :
천선란 소설을 읽을 때 늘 기대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따스함. 따스함으로 인해 소설을 읽는 내내 마음이 부드러워진다. 모난 마음이 둥글어지면서, 다른 존재들에 대한 공감이 만들어진다. 그래서 천선란의 소설을 읽는 일은 마음이 말랑말랑해지는 일이다.
작가가 창조한 세계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해 내 삶을 바라볼 수 있는데, 그것이 분노나 증오, 또는 몰이해가 아니라 사랑과 포용, 이해로 다가오면 소설을 읽는 일은 즐겁다. 결말이 비록 비극으로 끝난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것은 비극이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 따스함이라는 씨앗을 남겼으니까. 그 씨앗이 언젠가는 싹이 틀 테니까.
여러 편의 단편들이 실려 있다. 공통점은 역시 따스함이다. 이 따스함이 천선란 소설을 계속 읽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따스함은 '인간'만이 느끼는 감정이 아니다.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들에게서도 이 따스함이 느껴진다. 그리고 이러한 따스함은 다른 존재들에게로 퍼져나간다.
공명이라고 하는 편이 더 좋을지도 모른다. 서로의 마음이 함께 울리는 상태. 그런 모습을 잘 보여주는 소설이 '뼈의 기록'이다.
로봇이 등장하는데, 이 로봇이 하는 일이 장례지도사다. 세상에 사람의 죽음을 마지막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로봇이라니... 반려 동물을 넘어서 반려 로봇이 나오는 세상이지만,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삶의 끝자락을 로봇에게 맡기다니...
로봇이 함께한다고 해서 사람과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필요가 있나? 오히려 로봇보다도 못한 인간들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면, 자신이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로봇을 보면 인간 이외의 존재에게 편견을 지녀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장례를 치르고 휴식 시간에 의자에 앉아 있으면서 청소하는 사람과 대화를 하는 로봇. 그 사람과 마음이 통하는 로봇. 그 사람이 죽자 평소에 뜨거운 것을 싫어했다는 것을 기억하고, 우주로 관을 보내려는 로봇. 규칙을 어긴 로봇을 폐기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그 로봇을 옹호하고 도와주는 사람들. 이것이 바로 공감이고 공명이다.
그렇다. 우리가 관계를 맺는 존재들을 어떠하다라는 인간의 관점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고정불변하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우리 인간들이 변해가듯 다른 존재들도 변할 수 있음을. 그것이 비록 로봇일지라도.
이렇게 천선란의 소설에는 다른 존재들이 나오지만, 그 존재들을 무조건 배척하지는 않는다. 공존하는 모습. 아니, 공존해야만 하는 모습을 천선란의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 이는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데 다른 존재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들과도 공명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인간끼리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인간과 인간 사이에 공명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서프 비트'에서 만날 수 있다. 인간치고는 특별한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 태어난다.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영웅처럼,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존재로 여겨야 할까. 아니면 우리와 함께 살아가지만 다른 모습을 지닌 존재로 봐야 할까?
영화 [X맨]을 보면 돌연변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간들의 다른 반응이 나온다. 또한 돌연변이들이 인간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나오고. 그 영화와 연결이 될 수도 있지만, 천선란의 소설은 그들을 영웅시 하지 않는다.
물론 자신의 능력을 아직 다 깨닫지 못한 인물을 내세워서 그렇겠지만,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능력을 지니고 있지만 그냥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이들과의 공감, 공명이 바로 우리 삶을 더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음을 '서프 비트'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 이들은 그 다른 능력을 우리들의 삶에서 소소하다고 할 수 있는 일들을 해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물에서 숨을 쉴 수 있는 인물은 물 속 쓰레기를 치우는 일에, 밤에도 낮만큼 잘 보이는 눈을 지닌 인물은 길 잃은, 또는 위험에 처한 동물을 구해주는 등등) 보이지 않는 곳에서 드러내지 않고... 이러한 존재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 있음을 생각하게 해주는데...
그러니 우리 상대를 나와 다른 너로 선을 그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너와 나 사이에 겹치는 경계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어떤 존재들과도 겹치는 경계가 있음을, 그 경계를 받아들일 때 우리는 공감, 공명의 세계로 들어설 수 있음을 천선란의 이번 소설집 [모우어]를 통해 생각한다.
읽는 내내 마음이 따뜻했다는 것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