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오의 세기 - 20세기는 왜 피로 물들었는가
니얼 퍼거슨 지음, 이현주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역사는 '아(我) 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는 말도,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말도 있는데, 우리는 역사를 소홀히 다루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본다.
역사에 소홀하면 자신을 바르게 바라볼 수가 없다. 즉 자신을 비출 거울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역사,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국가, 민족, 세계의 역사라면 이는 단지 자신만을 비추지 않고, 인류의 운명을 비추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니, 역사에 소홀하면 인류는 자신이 건설한 찬란한 문명을 한 순간에 잃을 수도 있다.
우리는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공부해야 한다. 마르크스는 '역사는 두 번 반복된다. 한 번은 비극으로, 한 번은 희극으로'라고 했지만, 역사가 반복되는 순간 인류는 또다시 비극에 빠지게 된다.
가장 인류의 문명이 발달되기 시작한 20세기에 왜 그토록 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전쟁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많은 학살이 일어났을까? 원인이 뭘까? 막을 수 없었을까? 역사는 가정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가정을 통해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 아니, 대비해야만 한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인간은 경쟁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존재일까, 아니면 협동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존재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막기 위해서 홉스는 국가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사실 20세기에 일어난 많은 학살들은 국가에 의해 일어나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홉스식의 국가는 폐기 되어야 하지 않나. 오히려 아나키스트들이 주장하는 대로 국가 자체가 폭력이니 우리는 국가권력을 포기하고, 상호연대성에 기반한 집단으로 살아가야 하지 않나.
유럽에서도, 아시아에서도, 그리고 아프리카에서도, 아메리카에서도 빼놓지 않고 많은 살륙이 있었는데, 이 살륙들이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하나가 되려고 하는 광기에 의해 일어나지 않았던가. 다만 더 많은 국가들이 참여한 학살은 세계 전쟁이란 이름으로, 한 국가에서 일어난 학살은 내전, 또는 학살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지 않았던가.
우리가 이러한 역사에서 배울 것은 더 이상 이런 학살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어떤 일을 하여야 할까인데, 21세기가 된 지금도 우리는 이 책의 저자가 말한 증오의 세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
서양부터 동양까지 방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20세기가 얼마나 증오로 점철되어 있는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은, 다시는 이런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차이에 대한 포용력을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잘 지내던 이웃이, 어느 날 학살자로 변한 모습을 이 책의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우리가 단일민족이라고 자랑스레 이야기하는 것이 어쩌면 또다른 줄긋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고나 할까.
협동, 용서, 상호연대.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은 바로 이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이 세 요소가 얼마나 우리 인간에게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남은 바로 나의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 명심하자. 그러면 우리는 증오의 세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증오의 세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도, 이 책 증오의 세기는 읽을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우리는 인류의 거울을 하나 마련해야 한다. 우리 인류를 잘 비춰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