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 - 철학치료학 시론
이광래.김선희.이기원 지음 / 지와사랑 / 2011년 1월
평점 :
철학치료학 시론이라고 한다. 철학으로 병을 치료한다는 학문의 기초를 마련하는 책이라고 받아들였다. 문학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는데, 이제 철학도 우리를 치료하는 학문으로 등장했구나 하는 생각에 읽어봐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 부분에서 마음과 영혼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정신의 건강을 위해 우리는 철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삶에 대한 철학적 성찰은 삶의 행복을 위한 필수조건이다(184쪽)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철학치료는 자기인식을 통한 자기 배려를 하게 하고, 이를 연결하는 매체가 대화라고 한다. 이를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인용해 말하고 있는데, 철학치료의 기본형태는 우선 자신의 무지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과정(186)이라고 한다.
철학은 나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 나아가게 하는 학문인데, 나를 자각하면 또 다른 나인 남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확장하여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 나아가게 하면, 이는 인식에 머물지 않고 실천으로 나갈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 사람은 자기 자신에 갇혀 우울증이나 절망감, 허무감을 앓는 일이 없게 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세상에 대응함으로써 자신을 대자적인 주체로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요즘 인문학 공부를 해야 한다는 주장과 이 철학치료가 일맥상통한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 철학은 인문학의 일부분이기에 인문학을 배우게 하자는 주장은 철학을 배우게 하자는 주장과 같고, 인문학을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 자신의 생활을 바꾸어 나가듯이 철학을 배운 사람도 자신의 삶을 바꾸어 나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가지 명심해야 할 내용은 철학을 단지 배우는 것에서 멈추면 안된다. 자신의 지적 만족을 위해서 철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좀더 사람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 사람다운 삶을 살기 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철학을 배우는 것이다.
따라서 철학을 앎에서 그치지 않고, 철학을 함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이 철학의 프락시스를 주장하는 이유도 이에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철학을 하기 위해선 삶에 여유가 있어야 한다. 여유가 없는 삶에서 철학을 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선 생활의 여유를 찾기 위한 사회조건을 살펴야 한다. 철학을 함은 자신의 문제가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그것을 고쳐나가려는 노력을 하게 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지니고 있다면 라이프니츠의 단자론에서 창(窓)이 없는 단자가 아니라, 우리는 각자가 창(窓)이 있는 단자가 되어야 한다. 나는 나 나름대로 완결된 존재로 살아가되, 남도 또한 완결된 존재로 여기고, 이 남과 내가 연결되는 창문을 두고 서로가 소통하는 세계를 만든다면 철학함의 좋은 모습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의 3부는 개인의 문제를 떠나 사회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 부분은 철학치료학과는 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주자학에서 실학으로 기독교로 넘어가는 모습을 사회철학의 정상과 병리, 그리고 그 병리를 극복해가는 또다른 치료라는 관점으로 이야기를 했는데, 주자학, 실학이야 철학이라 쳐도, 기독교는 철학이라기 보다는 종교라고 해야 하는데, 좀 다른 개념이 아닌가 싶다.
시론이라는 한계 때문인지, 이 책을 읽으면서 철학치료를 어떻게 한다는 건지가 명확히 들어오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희망의 인문학, 행복한 인문학과 연결시켜보면, 그리고 이 책에서 잠시 언급하고 있는 프랭클의 의미치료와 연결시켜 보면 좀더 구체적인 틀이 보이지 않을까 한다.
철학의 존재이유는 나를 알고, 사회를 알고, 옳은 삶을 살게 해주는데 있다. 이는 철학이 우리의 삶에서 단지 앎으로서만 존재해서는 안 되고, 철학을 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데 있다는 이야기다. 결국 우리 삶에 철학이 필수라는 사실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