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치료의 이론과 실제
권성훈 지음 / 시그마프레스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언젠가 암울한 생각에 빠진 적이 있었다. 절망에 빠졌다고 해야 하나.
세상이 캄캄한 암흑이고 광명은 보이지 않는다는 생각.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속에 들어와 있는데, 앞으로도 뒤로도 끝이 보이지 않아, 이대로 이 터널 안에 갇혀 벗어나지 못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이 절망에서 벗어나지 못 하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으로 자신이 점점 더 움츠러들던 때.
이 때 이육사의 '절정'이 마음 속에서부터 나왔다. '절정'을 그 때마다 머리 속으로, 입으로 흥얼거렸다.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힘들고 힘든 상황을 이렇게 표현하다니, 지금 내 상황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쫓겨나고 쫓견고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상태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그러나 여기서 포기하지 않는다. 희망을 생각해야 한다.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이 말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정확히 해석이 되지는 않지만 마음에 굉장한 울림으로 남아있다.
겨울은 나에게 무지개이긴 하지만, 강철로 된, 즉 나에게 부드럽게 다가오지 않고, 나를 단련시키는 존재로 다가온다고, 그냥 그렇게, 이 겨울은 지금 나를 힘들게 하지만, 결국은 내게 무지개가 될 거라고...
터널 속에 들어와 있다는 생각을 한다는 자체가 이미 출구를 인식하고 있다는 생각.
그렇다면 이 절망은 언젠가는 끝날 수밖에 없다는 생각.
자, 결코 희망을 버리지 말자고... 더 앞으로 나가자고. 한 발 한 발 나가다 보면 빛이 보일 거라고.
이렇게 시를 통해 힘을 얻었다. 이것이 바로 시치료다.
뭐라고 제시하지 않아도 내 맘 속에 남아 필요한 순간 나에게 힘을 주는 존재, 바로 시.
이 책은 이러한 시치료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이것을 문학이나, 철학으로 분류하지 않고 교육이야기에 넣은 이유는 바로 시의 교육적 효과에 있기 때문이다.
시치료를 배우고 가르친다는 의미를 떠나서 시 자체에 이미 교육적 효과가 담겨 있고, 시를 읽게 하고 쓰게 하는 행위 자체가 교육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시읽기 보다는 시쓰기에서 치료 효과를 찾고 있고, 따라서 시읽기의 치료론이라기 보다는 시쓰기의 치료론이라고 할 수 있다. 시를 쓰는 과정에서 자신을 치료한다는 이야기.
그래서 시쓰기 치료에서 작용하는 요소로 리듬, 비유와 상징, 이미지, 시적 형식을 들고, 이를 시대별 시인의 예를 통해서 내용을 이끌어가고 있다.
일제시대에 한용운, 김소월, 이육사는 리듬을 통해서 일제라는 어둠을 어떻게 극복해나갔는가 살피고 있으며, 5-60년대 전쟁이후의 시대 어둡고 힘든 시대를 김수영, 김춘수, 서정주를 통해 비유와 상징의 시 쓰기로 어떻게 이 시대를 견뎌나갔는지 서술하고, 7-80년대는 김지하, 신경림, 신동엽을 통해 이미지를 통해 시대를 극복해나가는 모습을 전개하고, 8-90년대 민주화 시대에는 김남주, 박노해, 황지우를 통해 시적 형식의 변모를 통해 시대를 이겨나가는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다.
시대 환경을 인간이 벗어날 수 없다면 자신의 시대를 인식하고 이 시대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이는 시대를 나름대로 극복해나가는 자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자세를 글쓴이는 시쓰기의 다양한 방법에서 찾고 있다.
결국 시쓰기란 사물이나 현상 속에 숨어 있는 본질을 꿰뚫어 그것을 언어로 표현해 냄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런 시쓰기에는 반드시 관조와 성찰이 따르게 된다.
관조와 성찰이라면 일종의 거리두기, 다르게 바라보기 등이니, 자신의 모습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삶을 반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반성하는 사람, 이 사람은 세상을 올바로 살 수밖에 없다.
여기에 시치료의 의미와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만, 의문이 드는 점은, 일제시대에 김소월이 자신의 시쓰기로 그 암담한 현실을 나름대로 극복해냈다는 저자의 주장이 맞는다면, 그가 왜 자살을(?)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김소월은 시쓰기를 통해 자신을 완전히 치유하지 못하지 않았을까?
또 김춘수는 무의미 시는 현실부정의식의 결과물이라고 했는데, 세상이 별로 좋아지지도 않은 80년대 초반에 그는 왜 정치권에 참여했을까 하는 의문도 들고...
서정주를 비유와 상징으로 시 치료에서 다루고 있는데, 과연 서정주를 시치료에서 다룰 수 있을까? 시치료라면 삶이 바르게 된 사람을 다루어야 하지 않을까? 서정주는 아직도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지 않은가? 정몽주나 이황을 보라. 이들은 시와 삶이 일치하지 않는가? 시가 결국 자신의 삶을 정립하는 중요한 요소라면 서정주는 좀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몇 가지 의문점을 빼고는 개인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시대와의 연관성에서 시치료를 다룬 이 책은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게 해줘서 좋았다.
학교에서 시를 가르칠 때, 단지 개인에게 다가오는 의미만이 아니라, 김소월 같은 경우도, 김춘수 같은 경우도, 심지어 서정주 같은 경우도 사회, 시대와의 관련 속에서 자신에게 시가 어떻게 다가오는지, 시를 통해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고 고쳐가고 있는지를 이야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책이다.
시를 읽지 않는 시대, 불행한 시대다.
시를 읽을 수 있게, 시에 대한 여러 책들도 필요하겠지만, 우선 시를 읽고 생각할 수 있는 여유가 필요하다. 이는 학생들에게 또는 어른들에게 시를 읽어라, 읽어라 하지 말고, 읽을 시간을, 읽을 여유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바쁘게만 사는 현대 삶의 방식. 다시 한 번 생각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여기서 짧은 시는 반성과 통찰, 관조와 성찰을 통해 이런 시대를 사는 나에게 큰 의미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에 시치료가 아니더라도, 시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시교육이 제대로 된다면 시치료는 무의식중에라도 자연스레 시교육에 따라오게 될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