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뱀무'
튼실하다. 줄기도 꽃을 받치는 꽃대도 바람에도 거뜬할 듯하다. 줄기 끝에 노랑 얼굴로 하늘보고 환하게 웃는다. 옹기종기 선 꽃술이 이채롭다.


햇볕이 잘 들고 부엽질이 풍부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뱀무와 비슷하지만 작은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은 것이 다르다.


꽃은 6∼7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서 펼쳐지듯 피며 3~10개의 황색 꽃이 핀다.


'뱀무'라는 이름은 잎이 무를 닮았으나 그 가치가 무보다는 덜하다고 해서 또 한편으로는 뱀이 자주 다니는 곳에 자라는 무 잎을 닮은 것이라고 해서 뱀무라고 불리운다고 한다. 큰뱀무는 그 뱀무보다 꽃잎이나 키가 크다고 해서 '큰뱀무'라고 한다.


때론 꽃말이 식물을 한번 더 들여다보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나눔', '만족한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진 큰뱀무가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풍류회 죽선방과 대구향제줄풍류보존회가 함께 여는
"달빛풍류의 만남"
빛고을과 달구벌의 줄풍류 이야기


*달구벌 공연
2016.6.19 pm.3 대구광역시 한울림 소극장
*빛고을 공연
2016.6.29 pm.3 광주광역시 빛고을국악전수관


*줄풍류란 거문고를 비롯하여 가야금ᆞ해금ᆞ세피리ᆞ대금ᆞ양금ᆞ단소ᆞ장구 등으로 편성된 현악기 중심의 영산회상 및 도드리 등의 연주를 가리키는데, 줄풍류 음악에는 오늘날 국립국악원을 비롯한 서울의 각 대학 국아과 등에서 가르치고 연주하는 영산회상의 형식인 경제와 전주ᆞ이리ᆞ구례 등지에서 전승되는 영산회상 등의 향제 두갈래가 있다.


*프로그램
-줄풍류 이야기 - 진행 조창훈, 사재성, 고영란
-상령산 : 풍류회 죽선방
-잔풍류 :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
 대구향제줄풍류보존회
-생소병주 : 수룡음
 생황 김계희, 단소 이승엽
-영산회상 중 중광지곡 :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대금 조창훈, 거문고 윤석숙, 가야금 권미선, 장단 사재성
-뒷풍류 :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풍류굿거리
 대구향제줄풍류보존회


*지역문화예술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달빛풍류의 만남'은 대구와 광주에서 전승되어 온 줄풍류를 발굴하여 계승하고 있는 두지역 연주자들의 교류 활동으로 펼쳐진 연주회다.


자주 접하지 못하는 풍류음악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이며 대구와 광주 두 지역 줄풍류를 한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되었다.


느린만큼 음악에 실린 무게감이 오랫동안 머물러 풍류의 멋과 맛을 느끼기에 더없이 좋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썹 위의 달이다. 

흐린 하늘 때문에 달 보지 못하면 어쩌랴 하는 마음을 알았나 보다. 

구름이 자리를 비운 사이 달과 눈맟춤 한다.

저 달, 서쪽 산 넘기 전에 그대도 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 순이 나면서부터 시작된다. 
얼마나 컷는지, 무슨 색으로 변하는지, 아침이슬을 이는지, 비 무게는 견딜 수 있는지, 바람이 불때는 얼마만큼 고개를 숙이는지 혹여 가뭄에 목은 마르지는 않는지ᆢ.

꽃봉우리가 맺히고 나서부터는 키만 키우고 부실해 보이는 꽃대가, 무게를 더하며 자꾸만 부풀어 가는 꽃붕우리가, 벌어지는 꽃봉우리에서 어떤 색깔이 나올지, 꽃은 또 몇개나 피울지ᆢ.

다ᆢ감당할만큼씩만 스스로 키을 키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 맺는다늗 것을 알지만 매번 잊고서 의심스런 눈길이 머문다.

곧 꽃봉우리 열어 속내를 보여줄 아침 저녁으로 눈맞춤하는 내 뜰의 '일월비비추'다.

그대도 나도 이 꽃보는 마음과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썹달이 서둘러 산을 넘고 난 밤은 길다.

풀벌레 소리 아직은 서툴고 개구리 울음소리마져 그쳤다.

봄과 여름 틈에 낀 밤이 깊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