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20대가 되기 위해서 10대를 살았다.

우리 사회는 지금도 10대를 20대가 되기 위한 번데기처럼 만들고 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순간, 아니 태어나는 순간부터

대부분의 한국인은 대학생이 되기 위해서 살아가는 구조에 편입된다.

이런 구조가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환갑 잔치를 바라보고 사는 50대가 있을까?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러면서 왜 10대에게는

20대 대학생으로 살기 위한 시간을 강요하는가?


- 우석훈, 『매운 인생, 달달하게 달달하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0-02 02: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적극 공감합니다. 내 인생은 나의 것이란 노랫말(가수 민해경)이 떠오르네요.

노란가방 2023-10-02 0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저도요
 


쑨원은 자신의 혁명 동기는

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 낸 모세의 이야기와

인간을 죄의 사슬에서 해방시킨 예수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혁명은 불이고, 그리스도교는 기름입니다.

사람들은 나의 혁명만 보고, 나의 신앙을 보지 못합니다.

기름이 없으면 어떻게 불이 일어나겠습니까?”라고 말했다.


- 송철규, 민경중, 『대륙의 십자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축구 경기에서 실점의 95퍼센트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축구의 기본을

수비수들이 최소한 5차례 이상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세계적 수준의 수비수가 되는 조건 중 하나는

축구의 기본, 그 기본을 철저히 지키는 평범함에 있습니다.

스포츠에도, 우리 삶에도 기본을 지키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 이영표, 『말하지 않아야 할 때』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터스토프가 올바르게 본 대로,

해방 사상가들이 인간 번영에 대한 설명과 연관 짓는 모든 ‘해방적’ 충동이

기독교 관점에서 전적으로 신뢰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그중 몇몇은 죄악된 충동이며,

성숙을 위한 추구 속에서 작동하는 진짜 해방적 힘을

가짜 해방적 힘으로부터 분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훨씬 더 궁극적인 규범의 빛 속에서 성찰하는 일이 필요하다.


- 리처드 마우, 산더 흐리피운, 『다원주의들과 지평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일은 마음이 죽는 것입니다.


- 장자, <전자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