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한글역주 1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인문학을 중시여기는 요즘, 진정한 인문학을 만나고 싶었다.
동양과 서양의 고전을 한권씩 읽어보는 것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던중에, 동야의 고전인 논어를 집어들었다. '노자와 21세기' 강의를 듣고서 부터 나를 매료시켰던 '도올'의 책을 골랐다. 무척이나 두껍고 무거운 책이었다. 3권이니 1년에 1권씩 읽는다면, 3년이면 다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아침 일찍일어나, 논어를 한구절씩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1권의 2/3를 읽으면서 모르는 한자를 찾아 여백에 적어 놓고 뜻을 음미하며 읽었다. 진도는 당연히 느렸다.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논어를 읽다보면 어느새 3권을 다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가장 무식한 질문이 '일주일에 몇권을 읽어요?' 라는 질문이다. 그리고 가장 골빈 대답이 '10만원을 책값으로 써요'라는 대답이다. 책을 어떻게 양으로 말할 수 있으며, 돈으로 말할 수 있는가? 고기를 씹지 않고 삼키면, 소화는 커녕 배탈이 날 수 있다. 논어와 같은 책은 음미하며 읽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해박한 도올 김용옥의 글을 토대로, 차근 차근 읽기 시작하자 나름 재미도 생겨났다.
그래도 아쉬움이 남았다. 논어를 더 곱씹어 보고 싶었다. 그래서 요즘은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에서 소개하는 논어구절을 '도올 논어'에서 찾아 다시 공부하는 방법을 사용하려한다. 물론 '나즐공'에서 도올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할 수 도 있겠으나, 도올의 시야에서 벗어나, 더 넓은 시야를 보고 싶은 생각에 '학자들의 수다'를 선택했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만는 구절이 있다. 논어 위정편에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도올은 이를 "나는 열 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는 우뚝 섰으며, 마흔 살에는 미혹됨이 없었고, 쉰 살에는 천명을 알았고, 예순 살에는 귀가 순해졌고, 일흔 살에는 마음이 원하는 바를 따라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었다. "라고 해석했다.
공자가 70이 넘어 자신의 삶을 철학적으로 반추한 오리진한 파편이라고 도올은 단언했다. 나는 이 문장을 몇번이나 종이에 써보았다. 그리고 문득, 그 나이가 되면 당연히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나이가 되면 해당시기의 당연한 과제로 주어지는 사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5세 : 학문에 뜻을 둘 시기 즉, 자신의 진로를 정해야하는 시기이다. 아니 정해야한다. 15세면 중학교 시기인데, 이제 인문계와 실업계를 선택해야하며, 구체적인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고민하고 진로를 확정해야한다. 그러지 않는다면, 변화하는 입시에서 그중에서도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30세 : 혼자 우뚝 설 나이 즉,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 이제 스스로 가정을 이루고 자신의 삶의 주인으로 우뚝서야한다. 그러나 대학에 와서도 수강신청을 부모에게 물어보는 대학생이 있다. 그리고 30세가 되어서도 부모에게서 독립하지 못하는 젊은 이 들이 많다. 심지어는 회사를 다니는데, 회식이 늦게 끝나서 12시에 딸이 귀가하자, 회사에 항의전화를 하는 부모도 있다고 한다. 해당 시기에 당연히 달성해야할 과제를 우리는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핼리콥터맘, 캥거루족이 늘어나는 현실이 시대의 탓일까? 아니면 잘못된 부모의 사랑 때문일까?
40세 : 미혹됨이 없어야할 나이이다. 도시 외곽의 한적한 곳을 드라이브하다보면, 수많은 모텔들을 볼 수 있다. 수많은 집없는 남여들이 낮에도 밤에도 이곳에서 사랑을 속삭인다. 그들에게는 집이 있겠지만, 그 남녀를 위한 집은 모텔밖에 없나보다. 40세면 가정을 이루고 사랑스런 아이들을 키워야할 나이다. 그런데, 우리의 40대들은 과연 '불혹함'이 없는가? 노래방의 도우미들과 룸쌀롱의 휘황찬란한 번성을 보며 상념에 빠져본다.
50세 : 하늘의 뜻을 알나이! 그러나 우리의 50대는 그러한가? 주입식 교육의 폐해가 심각한 세대가 아닐까? 한다. 40대에 보였던 개혁적 진보적인 모습이 50대에게서는 보이지 않는다. 기존의 기득권세력을 비호하며 그들의 논리에 순응한다. 하늘의 뜻을 알아야하거늘, 어찌하여 친일도 괜찬다고 말하는 자들이 내가 만난 50대에는 그리도 많은가? 잘못된 '일본군 위안부' 타결 문제도 두둔하는 그들은 과연 하늘의 올바른 뜻을아는가?
60세 : 귀가 순해지는 나이! 그러나 지금의 60대는 절대 귀가 순하지 않다. 무식하면 똥고집을 신념으로 착각한다. 근거없는 주장을 하며 자신의 말을 강요하는 일부 60대를 나는 많이 보았다. 귀가 닫혀있는 '어버이 연합'이여 '효녀부대'를 보면서 공자가 말했듯이 귀가 순해질 수는 없는가? 그대들은 '불취하문'이라 말했던 공자에게서 아무런 교훈도 배우지 못하는가?
70대 : 하고자하는데로 하더라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어야할 나이! 그러나 과연 우리 주변에는 이러한 70대를 보았는가? 보았다면 참으로 행운이다. 참다운 어른이 없는 시대이다. 버스에서 어느 노인을 만났다면 과연 그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해야할지 의문이 든다. 그가 친일을 옹호하고 독재를 찬양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확신도 없는데.... 단지 나이가 많다고 공경의 표시로 자리를 양보해야할까? 나이가 많으면 지혜롭고 현명한가? 까스통을 들고 시위를하는 할배들과 독재와 친일을 찬양하는 그들에게서 공가가 말한 '종심소욕 불유구'라는 모습은 찾아지지 않는다.
공자의 '논어'를 읽으면서 이를 현재적으로 다시 재해석하면 할 수록 그 단맛에 빠져든다. '창조적 오독'이라는 말이 있다. 선현들이 공자를 연구한 것을 내가 교조적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그 시대에는 그시대 나름의 시대적 요청속에서 공자를 해석하였다. 나 또한 오늘의 상황 속에서 공자의 말을 재핵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