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 논리적 사고를 위한 프랑스식 인문학 공부
사카모토 타카시 지음, 곽현아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중국의 인공지능 딥시크가 뉴스를 강타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달 소식이 하루가 멀다하고 전해지고 있다. '창작의 영역까지 인공지능이 대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이 할일은 무엇은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고민을 했다. 학력고사보다는 우월한 평가인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한계점이 노정되면서 나의 고민은 더욱 커졌다. 더 이상 지식을 암기하는 학생은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아남을 수 없다. 질문을 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존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재를 길러내기에 지금 우리 교육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은 바칼로레아이다. 바칼로레아를 우리 학교 현장에 접목시킬 단초를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에서 찾아보자.
바칼로레아는 우리나라의 수능과 비슷하지만, 단답형이 아니라 논술형이라는 특징이 있다. 논술형은 자유로운 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자 사카모토 다카시는 '당연함을 의심하기 위한 틀을 가르치는 철학교육'이라고 말한다. 축구경기에 규칙이 있고 제한된 경기장에서 축구가 진해되지만 매 경기는 똑같은 경기는 없다. 마찬가지다. 바칼로레아에는 '틀'을 제시한다. 그 틀에 맞추어 논술을 해야한다.
이점이 나에게 신선했다. 나도 '토론 연계 논술 수업'을 한다. 수행평가로 총3차시에 걸쳐 진행하는 토론 연계 논술 수업은 토론 2시간 이후에 1시간 논술로 진행한다. 토론 2시간은 교과 세부능력 특기사항에 기록하고, 논술 1시간은 수행평가 20% 반영한다. 채점을 해야하기에 서론-본론-결로에 철저한 논술 규정을 두었다. 그러면서도 창의적 논술을 평가를 위해서 제한한다는 남모를 죄책감(?)이 있었다. 그런데, 논술 규정은 창의적 논술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 논술을 위한 규칙이었다. 바칼로레아는 멀리있는 평가방식이 아니었다. 내가 추구하고 진행하고 있는 수행평가 방식과 유사했다.
'바칼로레아 철학 수업'에서 나의 수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언은 '문제의 형태를 분석하라'(66-67쪽)에서 제시한 바칼로레아 철학시험 문제 분석이었다.
1. 가능성에 대한 질문: ~는 가능한가, ~할 수 있는가
예) 예술이 사회를 바꿀 수 있는가?
2. 권리에 대한 질문: ~해도 되는가, ~는 허용될 수 있는가
예) 정의로운 사람은 법을 어겨도 되는가?
3. 의무, 또는 필연성에 대한 질문: ~해야만하는가
예) 아름다움과 진리를 분리해야만 하는가?
4. 어떤 하나의 조건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조건인가에 대해 묻는 질문: ~는 충분한가
예) 다른 이를 존경하기 위해서는 예의 바른 것만으로 충분한가?
5. 어떤 설명이 옳은지를 묻는 질문: ~는 진실인가, ~가 맞는가
예) 인간은 자신에게 맞는 정부만 가질 수 없다는 것은 진실인가?
6. 예, 아니요'의 형태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
예) 예술가는 자기 작품의 가장 좋은 해설가인가?
7. 문제 중에 선택지가 제시되는 문제
예) 종교는 인간을 단결시키는가, 아니면 분열시키는가?
8. '무엇, 누구, 어떻게, 왜'가 포함된 질문
예)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예술가란 어떤 사람인가?
어떻게 하면 내가 어떤 사람이니 알 수 있는가?
왜 역사의 의미를 탐구해야 하는가?
언어가 우리에게 생각함을 가르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토론수업 말미에 학생들에게 토론을 기반으로 더 좋은 질문을 만들어 보라고 안내한다. 탁월한 질문을 만드는 학생도 있지만, 때로는 아쉬울 때가 많다. 더 좋은 질문을 만드는 방법을 안내해줄 수 있다면 수업이 더욱 풍성해질 것이라는 아쉬움 말이다. 그 힌트가 사카모토 다카ㅣ가 제시한 바칼로레아 문제 형태 분석이다. 이를 역으로 문제를 만드는 유형으로 안내할 수있다.
가브리엘 마르셀은 '기술이 진보하는 만큼, 사색은 점차 후퇴한다.'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의 발달로 생각하는 인간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든다. 단순히 직업을 인공지능에게 빼앗기는 것ㅇ에서, 생각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공포감이든다. 영화'매트릭스' 처럼 인간은 인공지능이 만든 가상세계에서 환락을 즐기며 인공지능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불행한 세상이 가까워지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