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고구려역사 중국에는 없다 - 한. 중 역사전쟁의 시작
이인철 외 지음 / 예문당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고구려에 대한 역사책을 찾다가, 이덕일의 책을 읽은 것인가? 한국의 사학자 10인이 쓴 책을 읽을 것인지를 고민하다가, 이 책을 골랐다. 책을 쓴 필자들부터가 쟁쟁한 역사학자들이었다. 이들의 대담한 주장을 한번 들어보자.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놀라운 주장은, 성균관대학교 이일걸 교수의 '간도 영유권 분쟁의 실상'이다. 대담하게 간도에 연해주가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는 대담하게 우리의 영토라 주장하자고 강변하고 있다. 요즘의 한국 사학자들 답지 않게 과격한 주장이다. 이덕일조차도 이렇게는 말하지 못할 것이다. 잘못하면,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을 불러와 우리의 입지가 좁아질 수도 있다. 강한 펀치는 강한 반발을 불러온다. 논지 전개의 대담함과 몰랐던 간도의 역사를 알게되어 기뻤지만, 넘무도 대담한 주장에 과연 이렇게 주장해도 되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여러번 하였다.

 

두번째로 대담한 주장은 동국대학교 윤명철 교수의 '해양에서 본 고구려의 흥망과 동북공정의 비판'이다. 해양을 중심에 두고 고구려의 역사를 다시보고 있다. '동아지중해 국제대전'이라는 관점은 정말 신선한 관점이었다. 고구려를 육지만 넓은 나라로 아는 우리에게, 고구려는 바다를 경영할 줄 아는 나라였음을 그는 설파하고 있다. 심지어는 광개토대왕이 바다건너 일본까지 전령했을 가능성이 많다고 주장하기까지 하니, 그의 논지전개의 통쾌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좁은 한반도에 갖혀서, 어리석음의 알을 깨고 나오기를 거부하는 소심한 사학자들만 보다가, 윤명철교수의 통쾌한 주장은, 알을 깨고 비상하려는 독수리의 모습이었다.

 

마지막으로 나의 가슴을 울린 주장은, 대진대학교 서병국 교수의 '고구려인의 삶과 한류'였다. 고구려인의 문화가 중국에 어떻게 전파되었으며, 중국에서 어떻게 유행했는지를 생동감있게 설명하고 있다. 한류의 원조인 고려악과 고려무는 당나라 고급 사교계에서 유행한 문화였다. 고구려는 단지 싸움만 잘하는 나라가 아니였다. 발전된 국력이 문화의 발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책은 다른 대중서적들 보다는 읽기가 힘들다. 때로는 재미없는 글들도 많았다. 그러나, 고구려에 대한 대담한 주장을 접하고 싶다면, 일독을 하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 2
김병모 지음 / 고래실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1권이 김병모 교수의 수수께끼풀기의 과정이었다면, 2권은 김병모 교수의 고고학 여행으로 문을 열고 있다. 인더서 문명부터, 유럽의 거석문화, 이탈리아 여행, 이집트 여행 등... 고고학자가 아니라 일반인들도 찾아가고 싶은 여행지였다. 그러나 김병모교수의 여향은 세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김병모 개인의 관심을 풀기 위한 여향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었다. 바로 신어상이다.

   자신의 거무 잡잡한 피부색에 대한 콤플랙스에서 시작된 일종의 뿌리 찾기라 할 수 있다. '여행하는 물고기', '야마대국과 히미코'라는 주제는 특히 이러한 '신어상'을 수십년에 걸쳐서 찾아가는 기나긴 여정이었다.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주제이면서, 자신의 뿌리를 찾는 길고긴 여정이기도 했다.

  허황옥의 이야기를 많은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이를 꾸며진 이야기이며, 김수로왕릉의 신어상도 후대에 꾸며낸 조각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조작된 과거사로 생각될 뻔한 허황옥이야기를 고고학이 살려냈다. 기나긴 신어상 즉 물고기 문양을 찾아 나선 덕분에 '신어사상을 믿는 사람들의 루트'를 발견해 놓았다. 그리고 허황옥의 이야기가 단순한 창작물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도 발견해 놓았다. 즉, 아유타국에서 중국의 보주로, 다시 한반도의 가야로, 그리고 가야의 일파가 일본으로 이동 하면서 남겨놓은 '물고기 문양' 을밝혀 놓은 것이다.

  역사는 묻는자에게 진리를 알려주고, 고고학은 발견하는 자에게 진실을 보여준다. 김병모교수는 수십년의 노력에 결과 진실을 보았다.

  1,2권 책을 마무리하면서 김병모 교수는 우리가 알타이에서 내려온 북방계 인들과 남십자성을 보며 방향을 잡던 남방계인의 피가 섞여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를 당부하고 있다. 우리가 지나치게 대륙의 기질을 강조하며 말달리던 북방을 그리워했기 때문일까? 우리가 무시한 남방계의 문화를 재발견할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 1
김병모 지음 / 고래실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대학에 입학했을 때, 인디아나 존스를 보고 역사학과에 들어왔다는 동기생들을 많이 보았다. 인디아나 존스는 고고학자인데, 왜? 인디아나 존스처럼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역사학과에 왔을까? 역사학과 고고학의 차이를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리고 인디아나 존스는 고고학자라기 보다는 도굴꾼에 가깝다. 오리엔탈리즘에 젖어서, 원주민들의 유산을 도굴하는 도굴꾼을 헐리우드의 막강한 이미지로 포장하여 대중에게 상품으로 팔고있는 영화! 그러한 영화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고고학을 접했다. 그리고 나는 인디아나 존스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지며, 대학생활을 했다. 인디아나 존스와 같은 도굴꾼의 이야기도 현실에서는 일생에 한번 일어나기 힘들다는 교수님의 말을 들으며, 지루한 발굴현장에 같이가자는 친구들의 제의를 무시한채, 문헌사학의 재미에 빠져있었다. 그러나, 사료가 얼마 남아있지 않은 우리의 고대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고학의 도움을 받아야했다. 고고학 논문들을 읽으면서 쉽게 읽혀지지 않는 글자를 읽으며 고통을 받아야했고, 고고학을 쉽게 써놓은 책들을 읽어보고 싶은 욕망이 강하게 들었다. 그러나, 고고학은 재미없는 학문이라는 선입관에 사로잡혀 좋은 고고학 관련 서적들을 읽을 기회를 잃었다. 그러던 차에,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이라는 책을 접했다.

 

  책의 목차를 보고 세계의 고고학을 개괄적으로 설명해 놓은 책이라 생각하고 책장을 넘겼다. 그런데, 예상은 빗나갔다. 그리고 내가 기대한 것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 고고학은 재미없다라는 편견을 깨고, 김병모 교수의 살냄새가 나는 고고학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친절한 용어 설명과 고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이 퍼즐조각 처럼 널려있는 고고학적 유물, 유적들을 어떻게 조합하며 과거의 모습들을 채워나갔는지 생생하게 알려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퍼즐을 완성했을 때에, 느꼈던 즐거움을 어린아이의 해맑은 마음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관념 암살(Idea Assassination)'이라는 단어는 이 책을 통해서 알게된 단어였다. 자신이 기존에 알고 있는 학설과 반대되는 주장을 하면 자신도 모르게 이를 외면하려하고, 무시하려한다. 바로 '관념 암살(Idea Assassination)'이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대륙을 동경하며, 한반도 남쪽의 농경문화에 대한 멸시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마민족의 후예임을 자랑스러워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대륙으로 만주벌판으로 내달릴 날을 기대한다. 우리 정신의 무의식의 세계에서는 우리가 지금 할 수 없는 그것을 욕망하고 있다. 그러한 욕망속에서 우리의 일부분인 농경민족의 역사, 다시 말하자면, 남방문화의 요소를 '관념 암살(Idea Assassination)'하고 있다. 고인돌이 농경문화의 유산이며, 난생신화의 문화권과 일치하고, 성인백혈병(ATL Adult T-Cell Lukemia) 분포와 일치한다는 사실은 나에게 충격적이었다. 한국인은 남방계와 북방계 사람이 섞여있다는 진실을 떠올린다면, 우리의 관념 속에서 이제는 남방계의 문화를 불러들일 필요가 있다. 남방계 문화도 우리의 문화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이밖에도 우리나라 말에 드라비다 족의 말이 많이 남아있다는 이야기와, 신라와 가야의 문화 속에서 기마민족의 문화가 많이 남아있다는 주장, 신라 금관의 비밀을 풀기 위한 북방문화 탐구등의 많은 재미있는 이야기가 적혀있다. 우리 문화의 화석을 고고학자 김병모는 유쾌하게 파헤치고 있다. 고고학에 관심있고, 고고학과 친해지고 싶어하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보물찾기 : 그리스 문명 1 세계사 탐험 만화 역사상식 7
곰돌이 co. 글, 강경효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받자마자 읽어내려간다 아이들이 무척좋아해서 기분이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보물찾기 : 그리스 문명 2 세계사 탐험 만화 역사상식 8
곰돌이 co. 글, 강경효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아이들이 무척이가 고대하며 기다렸다 받자마자 읽기시작해 금방다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