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얼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 ㅣ 청소년을 위한 진짜 진학, 진로, 직업 멘토링 3
MODU 매거진 편집부.박경임 지음 / 가나출판사 / 2017년 3월
평점 :
리얼 작곡가·작사가·프로듀서/<MODU>매거진 편집부/박경임/청소년을 위한 진짜 진학 멘토링
청소년을 위한 진학와 진로 멘토링인데요. 엑소의 <으르렁>, 태티서의 <Holler>, 빅스의 <저주인형> 등을 만든 줌바스 뮤직그룹의 K-POP 뮤지션들의 이야기랍니다.
프로듀서 신혁은 줌바스 뮤직그룹의 대표이자 프로듀서인데요. 어린 시절 장난감 피아노로 시작해서 초등학생 땐 자신의 작품을 빌보드 차트에 자작곡으로 올리는 꿈을 꾸었답니다. 현재도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음악 프로듀싱을 하고 있고요. 세계적인 팝 가수 저스틴 비버의 곡을 프로듀싱해서 싱글 차트 16위에 올랐답니다. 그외에도 EXO 의 <으르렁>, 빅스의 <저주인형>, 샤이니의 <Dream Girl>로 유명한 작곡자랍니다.
책에서는 한곡을 완성하기 까지의 유행하는 경향의 해외문화 흐름 등을 조사하고 이를 어떤 소속 가수에게 적용할지를 묻는 콘셉트 회의, 콘셉트에 어울리는 작곡가와 직사가 섭외, 전체 분위기를 먼저 한 후 작곡가 섭외, 작사가, 편곡자 보컬 녹음, 최종 프로덕션 일정 등을 거친다고 합니다.

프로듀서라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개인적으로 프로듀서가 되려면 반드시 음악공부가 필요 하다는 데요. 우선 피아노를 권하고 싶고 음악을 들을 때도 최대한 세분화해서 듣길 권유합니다. 그리고 좋은 곡들을 많이 들어보라고 합니다. 듣다가 보면 좋운 멜로디, 좋운 코드 진행 등을 익힐 수 있으니까요. 건반이나 화성 공부도 도움이 될 것이고요.
MR(Music Recorded)과 AR(All Recorded) , 탑 라이너와 프로듀서, 디깅(Digging), 가이드, 믹스, 마스터링, 비트, 비트 메이커, 그루브, 코드 등 대중음악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알아보기도 합니다.
대중음악의 전망에 대해서도 내놓았는데요. LP판이 가고 CD가 오고, CD가 가고 온라인 음원이 오듯 음악을 담는 그릇은 달라졌지만 대중음악이 무너지는 일은 결코 없을 거라고 합니다.
그러니 프로듀서를 원하는 모든 이들이라면 자기의 역량을 믿고 꾸준히 꿈과 계획, 목표를 세우고 나갔으면 좋겠어요.

음과 음의 겹을 쌓는 작곡가에서는 멜리보이, 리먼, 리원의 작곡 이야기도 나옵니다. 음악의 생기를 불어넣는 작사가로는 마플리이를 소개하고 있네요. 작가가 세상과 사람을 보는 눈을 키우듯 음악적인 감각도 이를 통해 키운다는데요. 음익적 감각을 높이기 위해 음알을 팔사하는 것, 문학적 감각을 위해 단어 정리등 모두 음악 작사에 도움이 된답니다.
우리가 그동안 잘 몰랐던 음악의 세계를 살펴보면서 그 분야에 대한 도전기를 읽었는데요. 창착의 스트레스를 이기는 힘은 그 분야를 즐기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실용음악학과에 대한 대한 개설학과와 작곡가 알아보기도 있고요. 직업가치관도 있고요. 관련학과에 대한 많은 공부가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