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옷을 입으렴 - 개정판
이도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도 한 권을 읽었으니 점점 더 마지막에 가까워지고 있다. 여전히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면서도 어디서 시간을 끌어내서 운동을 했고 이렇게 일곱 시 무렵부다 세 시간 책을 읽었다. 정확하고 좋은 운동을 부담을 갖고 하는 것보다는 안하느니 하자는 마음으로 쉽게 기계로 거의 모든 운동을 끝냈으니 free weight 이라고는 바벨로 이두를 조금 한 것이 전부였고 나머지는 진짜 간만에 오로지 기계로만 운동을 했는데 뭐든지 하면 나은 것이란 평소의 믿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도우 작가의 책은 지난 번에 이어 이번으로 세 번째. 추운 겨울과 시골, 동창들, 작은 가게와 작은 동네를 무대로 한 연애담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또 하나의 연애담, 도시가 배경이었고 누구나 선망하는 (실제로는 엄청 빡센) 직업과 그들의 무대에서 약간 식상해하면서 세 번째 책으로 넘어가지 못했던 기억이 난다. 이후 우연히 오늘의 책을 집어들다가 손이 가는대로 밝아보이지만 처연한 색 (책을 다 읽은 탓에 그리 느끼는 것이다)의 표지에 마음이 끌려 읽게 되었다.
엄마가 집을 나가고 외지에서 돈을 버는 아빠의 손에 이끌려 시골의 이모댁으로 살러 온 여자아이의 이야기에는 내가 짐작하기로 대충 80년대 어느 즈음에서 그 아이가 나이를 먹은 2010년대 중반 정도까지 한국이 지나온 이야기가 함께 묻어있다. 시골에서 작은 분교를 다니고, 중학교를 다니고,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책을 읽고 친구를 만나고 친구보다 가장 친한 동갑내기 사촌과의 우정 이상의 사이를 얻고, 잃고, 다시 완전히 잃어버리고.
지금으로 돌아와서 작은 가게를 하면서 지내는 곳에도 재개발 붐이 불고 가게를 넘기고 떠나면서 그간 몽유와 꿈과 가위눌림과도 같은 것들에 숨어 있는 과거 곳곳을 사람들과도 안녕하고. 시골의 소읍의 모습을 벗어나 천편일률적으로 재편된 옛 마을로 돌아와서 다시 시작해볼까 하는 마음을 끝으로 ending이자 다른 이야기의 시작이 될 것처럼 느껴지는 곳에서 아이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여정이 잠시 멈춘다.
작가가 그려내는 사랑이야기는 어쩔 땐 나이를 먹을만큼 먹고 지천명을 몇 년 앞둔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놓기도 하지만 이번의 이야기는 쓸쓸하고 처연하고 아련하게 슬프다. 중반부를 넘어갈 무렵 적어도 한 사람은 어디로 갈지 알 수 있었기 때문에 더더욱. 내가 짐작하듯 80년대의 어떤 시기에서 시작된 이야기가 맞다면 시공간을 오가며 펼쳐지는, 아니 편집되는 듯 보이는 이야기는 그대로 우리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닮았다.
하루가 가까워지면 그만큼 어려움이 늘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이어가고 있다. 내일은 또 얼마의 시간이 주어지고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아니 내일의 일과 그 외의 많은 것들을 어떻게 조화를 시켜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