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에 가서 중요한 것은 돈도 명예도 아닌, 관계라는 말이 있다. 서로의 안부를 궁금해하고 도움이 필요할 때 서로 돌볼 수 있는 ‘사회관계자본‘이 결국에는 돈보다 더 필요하고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의 외로운 마지막을 지켜보며 이 사실을 뼈저리게 실감할 수 있었다. 우리의 마지막을 채워주는 건 돈이 아닌 사람이다. - P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도 잘 모르지만 죽은 후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거의 깜깜하다. - P162

수명이 아무리 늘어났다고 한들 세상을 보면, 우주를 보면 인간의 삶이란 그저 한 톨 먼지에 불과하다.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사라지고 잊힌다. 인생은 시간과 함께 저절로 묻힌다. 그런데 지레 스스로를 지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마음대로 되는 일 하나 없고, 세상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 같을 때 우리는 ‘왜 나한테만 이런 일이 생길까‘, ‘왜 나한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을까‘ 같은 생각에 빠지기 쉽다. 이런 생각의 소용돌이에 빠지면 쉽사리 벗어날 수 없고 누구라도 견디기 힘들어진다. - P164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자책감에 자살했다는 이야기가 내게는 너무 가까운 일이다. 그런 현장이 흔하기 때문이다. 취업문제로 싸움 끝에 부모를 살인했다는 뉴스도 심심찮게 나온다.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이 달라 결국 생을 달리한 고인을 본 적도 있다. 비슷한 양상의 죽음이 반복되고,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데도 왜 우리는 바뀌지 않는 걸까? 무엇을 해야 이 안타까운 죽음을 멈출 수 있을까? - P168

그렇다. 희망은 자가발전이 잘 안 된다. 혼자서 아무리 기를 써봐야 쳇바퀴 위를 구르는 것 같아 지치기 십상이다. 작은 것이라도 함께 나누고 꿈꿀 때 희망이 생겨난다.
하지만 고인들의 집에는 없었다. 관계도, 대화도, 웃음도, 세상과 단절된 집 안에서 이미 자신감을 잃었고, 세상으로부터 기회를 박탈당했다는 상실감에 휩싸여 좌절했다. 마음의 문을 꽁꽁 닫아버린 그들에게 타인과의 관계는 공포 그 자체가 되어버렸다. 외로움을 자처했고 결국 외로움에 잡아먹혔다. 스스로 문을 열고 나와야 하거늘 문 여는 법을 잊어버렸다. 그렇게 희망을 외로움으로 바꾸고 고독하게 죽어가는 것이다. - P178

고인의 유품을 정리하면서 사연을 듣다 보면 ‘세상에 사연 없는 사람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절절히 든다. 돈이 많아도, 돈이 없어도, 가족이 있어도, 가족이 없어도 저마다 사정과 사연이 있고, 또 그 때문에 생기는 아픔과 걱정도 제각각이다. 타인이 자기 입장에 서서 배놔라 감놔라 할 일이 아니고, 타인의 고통을 자기 기준에서 판단할 일도 아니다. 아니, 고통을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일이다. - P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현장에는 저마다의 사연이 있고, 떠난 이들 대신 그들의 사연을 말해주는 유품을 하나하나 정리할 때마다 안타까움이 밀려든다. - P13

"또 한 명의 인생을 지웠습니다"라는 문구 대신 "또 한 명의 인생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라는 문구를 사용할 수 있기를. 누군가의 인생을 지우는 사람이 아니라 누군가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는 사람이 될 수 있기를. 남겨진 이야기에서 출발한 이 책이 시작의 이야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P15

아픈 사람이 의사를 찾고 범죄 피해를 입은 사람이 경찰을 찾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고독사 현장에는 시신을 수습하는 사람, 경찰, 가족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다녀간다. 현장 모습을 아는 사람 중 내가 가장 편하게 대할 수 있는 사람일 것이다. 속속들이 사연을 알게 되는 사람이기에 유족들은 내게 마음을 털어놓고 조금이나마 속을 풀어내려 한다. - P22

죽은 사람은 그걸로 끝이지만 남겨진 사람에게는 그때부터 새로운 고통이 시작된다. 사느냐 죽느냐는 온전히 자신의 선택으로만 여겨지겠지만 그렇지가 않다. 남겨진 사람에 대한 책임과 도리도 잊어서는 안 된다. 내가 세상에 태어나게 한 아이들이 있는 한 선택에 대한 완전한 자유는 없다. - P32

고독사는 사회적인 문제고, 예방하기 어려운 사고다. 가족과 함께 산다고 해도 24시간 함께할 수는 없기에 돌연사는 더더욱 예방하기 어렵다. 후회는 남을지언정 냉정히 말해 자책할 이유는 없거늘 남겨진 사람 마음은 그렇지가 않다. - P39

떠난 고인도, 남겨진 자식도 생각하면 숨이 턱 막힐 듯이 안타까웠다. 누구도 그 끝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니 사랑하는 사람이 생각나면 미루지 말고 그때그때 마음을 전할 일이다. 잘 있겠지 무턱대고 믿지 말고, 자주 연락하면 번거롭겠지 눈치 보지 말고. - P45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삶의 의지를 놓은 채 죽은 사람처럼 살아가고,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현장을 매일 정리하다보면, 전쟁터 한복판에 서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곤 한다. 나라끼리 벌이는 전쟁만 전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린 이미 하루하루를 격렬한 전쟁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 아닐까.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한 선정적 주장을 펼치는 대중적 도서에는 의문을 품는것이 좋다. 저자가 박사학위를 가졌다 해서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 - P60

꼼꼼히 들여다볼 가치가 있는 자료를 찾았다면 아무 생각 없이 읽으면서 정보를 기록만 해서는 안 된다. 필기는 그저 글씨를 쓰는 작업이 아니다. 신중하게 필기를 하면 자료의 표현이나 요지뿐 아니라 숨은 의미와 결과, 단점, 새로운 가능성도 읽을 수 있다. 저자와 함께 앉아 대화를 나누듯 자료를 읽어야 한다(독자를 생각할 때도 마찬가지다. 독자와 함께 앉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 P63

고급 단계의 연구라면 중요한 자료는 시간을 들여 두 번 읽는다. 처음에는 관대한 마음으로 글의 관점을 따라가며 속독한다. 자료를 읽으며 지나치게 빨리 반론을 펼치면 자료를 잘못 이해하거나 자료의 약점을 부풀려 생각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읽을 때는 천천히 비판적으로 읽는다. 다정하지만 예리하게 친구에게 질문을 던지는 기분으로 읽어보라. 친구가 어떻게 대답할지 상상해보고 다시 질문을 한다. 자료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그냥 덮어버려서는 안 된다. 그 자료를 활용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읽어보라.
어느 정도 독서량이 쌓이고, 자신만의 아이디어도 몇 개쯤 틀이 잡힐 쯤이면 자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동료처럼 정신을 집중하고 읽어야 한다. 그리고 어느 시점이 오면 자료를 ‘넘어설‘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자료에 동의할 때도 마찬가지다. 그런 시점은 빠를수록 좋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연구자에게 가장 소중한 능력은 평범한 일에도 의구심을 품는 습관이다. ‘커피 방울이 왜 동그랗게 마를까?‘ ‘셰익스피어가 맥베스 부인의 죽음을 무대 위에 올리지 않고 왜 대사로 처리했을까?‘ 혹은 ‘눈썹은 왜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지 않을까? 같은 질문에서 중요한 대답이 나오기도 한다. 따라서 평범한 곳에서 뭔가 다른 점을 포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그러면 학생이든 교수이든 연구 주제가 부족해 걱정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 P33

자신이 대답하고 싶은 질문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대학원생이든 학부생이든 많은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질문에 이미 공인된 대답을 암기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교육의 목적은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의 질문에 자신만의 대답을 찾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현상에 의구심을 품고 골똘히 생각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특히 지극히 당연해 보이는 일에 의구심을 품어봐야 한다.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