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문장의 끝에 등장하는 단어들이 다음 문장의 첫머리에 나타날 정보를 미리 알려줄 때, 두 문장은 표층적으로 결속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결속성은 독자에게 술술 읽히는 독서경험을 선사한다. 이것이 바로 글에서 수동태가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다. 앞문장에서 뒷문장으로 술술 읽어 나갈수 있도록 문장을 배열하라.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은 우리가 글을 읽는 원리를 토대로 글쓰기를 설명한다. 어떤 문장은 의미가 응축되어 모호하게 느껴지고, 어떤 문장은 명확하게 느껴지고 단박에 이해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 이유를 알면, 별다른 깊이도 없이 난해하기만 한 문장을 가려내는 안목을 갖게 될 것이다. - P27

복잡한 글을 진단할 때는 가장 먼저 주어를 살펴본다. 주요행위자가 핵심주어로 나오지 않는다면, 주요행위자를 찾아야 한다. 행위자는 대개 전치사의 목적어, 소유격 대명사, 형용사 속에 숨어 있다. 행위자를 찾으면 그들의 행위가 무엇인지 찾는다. 행위자를 주어로, 그들의 행위를 동사로 놓아 문장을 수정한다. 난해한 글을 읽을 때에도 행위자와 그들의 행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하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P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들에게 던질 수 있는 까다로운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라. 최대한 많은 근거를 찾아내라. 특히 자신이 떠올린 해법에 맞지 않는 근거를 찾아내라. 철저하게 논리적인 단계에 맞춰 추론하라. 특히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과 토론한다고 상상하라. 한 마디로 말해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대하는 것처럼 자신의 생각을 대하라. 이것이 바로 비판적 사고의 핵심이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