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랑스의 어느 잡지사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어느 누구도 소홀히하지 않고 또 반대로 어느 누구에게도 지나친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학급이라는 개인들의 집합체에서 역동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교사가 해야 하는 '정신적인 체조'라고. 누구도 교사들에게 이런 걸 가르쳐준 적이 없지만 이것이야말로 교사들이 직업상 날마다 마주하는 현실이라고. 그리고 이런 건 교수법보다는 처신의 문제이며 애정의 문제라고.

<미래의 독자>, 최윤정 p.164 중에서

프랑스의 유명한 동화작가 다니엘 페낙이 한 말입니다. 많은 선생님들이 어쩌면 잊고 있는 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교수법보다는 애정의 문제라는 점이요. 요즘같이 그저 일년 잘 버티기만 하면 그만이다라는 무사안일주의에 빠진 선생님이 늘어가는 현실에서는, 가출을 했을 때 몽둥이를 들로 쫓아와 두들겨 패서라도 다시 학교로 돌아가게 했던 옛 선생님이 그립기도 합니다. 그분들의 교육방식을 긍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분들은 어떻게 해서든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는 의지가 있으셨으니까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4-02-19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윤정의 글을 좋아하는 저는 <미래의 독자>도 잘 읽었습니다.
다니엘 페낙의 소신도 참 좋아하며 그의 작품도 좋아합니다. 특히 <늑대의 눈>을요.
저도 공감했던 부분을 다시 보니 반가워서 글 몇자 남기고 갑니다.^^
 

폴 오스터 작품이라기 보다는 샘 메서의 화집에 폴 오스터가 찬조출연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촉촉한 느낌의 타자기 그림이 계속 이어지는데, 정말 타자기가 이야기를 하고 마음을 가진 존재처럼 느껴진다.

어떤 타자기 그림은 좀 삐져보이고, 어떤 것은 미소짓는 것처럼 보이고, 어떤 그림은 주인인 폴 오스터에 대해 조잘조잘 수다를 떠는 것처럼 보인다. 새침한 모습, 우울한 모습, 화가 난 모습... 수만가지 표정을 가진 타자기가 이야기를 건다. 글쎄 말이야.. 하면서...

틱틱 택택 경쾌한 파열음. 그리고 치지 않을 때는 조용히 생각이 떠오르기만을 관조하는 타자기의 모습은 백년 전 영국 집사와도 같다. 절대 수선스럽지 않게 조용히 모든 일을 처리하지만 존재감이 뚜렷한, 까만 양복에 하얀 셔츠, 그리고 단호한 표정을 가진 집사 말이다.

타자기의 제일 큰 장점은 조용함이다. 치지 않을 때는 완벽한 침묵을 지킨다. 혹자는 틱틱 택택하는 소리가 꽤 시끄럽지 않냐고 반문할지 모르겠지만, 워드 프로세스의 비인간적인 전자음,  불안스럽게 왜앵왜앵 거리는 컴퓨터의 하드 돌아가는 소리, 둔탁하거나 아니면 지나치게 경망스러운 키보드 소음에 비하면 타자기의 산뜻한 터치음은 기분좋은 타악기 음악과도 같다. 마치 머리 속의 생각들이 그 소리에 맞추어 착착 행진이라도 하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렇다. 나는 어느 날 문득 긴 여행을 떠나고 싶어졌던 것이다.

그것은 여행을 떠날 이유로는 이상적인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간단하면서도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어떤 일도 일반화하지는 않았다. 어느 날 아침 눈을 뜨고 귀를 기울여 들어보니 어디선가 멀리서 북소리가 들려왔다. 아득히 먼 곳에서, 아득히 먼 시간 속에서 그 북소리가 울려왔다. 아주 가냘프게. 그리고 그 소리를 듣고 있는 동안, 나는 왠지 긴 여행을 떠나야만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일광욕 같은 건 좀더 느긋한 기분으로 하면 좋으련만 이 사람들(대개 북유럽에서 일부러 그리스의 햇살을 찾아온 사람들로 추측된다)은 햇빛에 관해서는 매우 진지하다. 마치 태양 전지식 전기면도기가 한곳에 모여 충전을 겸한 신앙 고백 집회라도 열고 있는 듯한 분위기다.

재미있는 것은, 여자가 해변에서 수영복의 윗부분을 벗고 유방을 홀딱-또는 날름이랄까 낼름, 어쨌든 이 행위에 관해서는 나도 적당한 표현이 떠오르지 않는다-드러내놓고 있어도 관광객들끼리는 서로 그런 모습을 빤히 바라보지 않는다.

내가 결혼생활에서 배운 인생의 비결은 이런 것이다. 아직 모르는 분은 잘 기억해 두기 바란다. 여성은 화를 내고 싶은 일이 있어서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화내고 싶으니까 화를 내는 것이다. 그래서 화내고 싶을 때 제대로 화를 내게 하지 않으면 나중에 더 골치 아픈 일이 생기게 된다.

그 토요일 아침, 환전 때문에 일어난 우리의 말다툼도(사실 말다툼이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이 ㅐ턴대로 진행되었다. 인생관과 세계관의 차이가 너무나도 분명해서, 거기에는 이미 몇 천 대의 불도저를 동원해도 메울 수 없는 숙명적인 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내 뒤에서 그리스 비극의 합창대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어서 '인생이란 다 그런 것, 어쩔 수 없잖아요'라고 노래를 부르고, 아내 뒤의 합창대는 '아니오, 숙명에 맞서 싸우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오'라고 노래 부르고 있다. 그리고 언제나 내 합창대가 아내의 합창대에 비해서 얼마쯤 소리도 작고 열의도 부족하다.

"저 말이죠, 이탈리아 사람들은 먹고 떠들고 여자 꼬시는 일을 제외하면 열심히 하는 일이 별로 없거든요." 어떤 몰타 사람이 가르쳐주었다. "몰타를 폭격했을 때도 고도를 낮추면 고사포에 맞을까봐 두려워서, 아주 높은 곳에서 폭탄을 우수수 떨어뜨리고는 그냥 돌아갔어요."

낮선 도시에 가면 반드시 대중 술집에 가는 사람이 있듯이, 낯선 도시에 가면 반드시 여자와 자는 사람이 있듯이 나는 낯선 도시에 가면 반드시 달린다. 달릴 때의 느낌을 통해서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는 일도 세상에는 있기 때문이다.

"무솔리니는 대담하게 나라의 구조를 바꾸는 데 성공한 유일한 정치가였어." 우비 씨는 말한다. "그는 국민들이 찍소리 못하게 만들었지. 그 정도로 강하게 나오지 않으면 이탈리아 사람을 상대로 정치하기 힘들어. 무솔리니는 마피아까지 꼼짝 못하게 했지. 다만 그의 유일한 실수는 이탈리아 사람들의 전쟁 능력을 과대평가한 점이야. 이탈리아 사람에게 전쟁을 시켰다가는 끝장이라는 걸 몰랐거든."

--- 다음에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