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실님, 생일 미리 축하합니다!!(7월 13일이면 기억 못할 거 같아서요. ^^)   

                          깃 발

                                                       유 치 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애수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이 시의 주제는 통상적으로 '이상을 향한 갈망과 좌절' 뭐, 이런 식으로 말합니다.  



화자가 바라보고 있는 것은?
네, 깃발이죠.  

 

우선 시를 한 번 읽어 보죠. (꼭 이 대목에서 읽어 보셔야 합니다. 소리 내서...  

이것은(쉬고) 소리없는(쉬고) 아우성(좀더쉬고) 

...아아(좀 슬프니깐 더 쉬고) 누구던가(좀 느리게 읽고)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4마디를 느끼면서)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참 잘 읽었습니다. 짝!짝!짝!  

 

화자는 깃발을 보고있죠. 근데 어떤 마음을 느낀다고 했죠?  

슬프고도 애달프다고 했습니다.  

화자의 마음은 지금 어떤 상태? 슬프고 애달픈 거예요. 

왜? 왜? 깃발을 보면서 슬프고 애달픔을 떠올린 걸까요?  

 

이 두 가지, '깃발'과 '슬프고 애달픈 자신의 처지' 를 딱, 갖다 붙이는 마법이 바로 시에서 쓰는 <비유나 상징>같은 건데요. 

깃발을 보고, 자기 처지와 같다!고 느낀 점이 있었던 거죠.  

유사점 발견하기. 이것이 비유와 상징을 읽는 포인트입니다. 

 

깃발과 자기 처지의 유사점은? 

'소리없는 아우성', '해원을 향하는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무언가를 갈망하는 간절한 마음이 아우성이구요. 

노스탤지어(도달할 수 없는 향수)의 손수건이지만 저 푸른 바다를 향해 하염없이 흔들고 있지요. 

이 시의 주제가 '이상에 대한 갈망'이라면... 추구하면 되잖아요. 

그런데, 화자는 거기서 좌절한 경험이 있었던 거죠. 

바로 깃발이 깃대에 묶여, 이념의 푯대에 묶여 날아갈 수 없었던 것처럼요. 

결혼을 해서,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다면(히히 제가 세실님을 정말 간절히 사랑한다면요~) 

그렇지만, 주체할 수 없는 마음의 폭주를 시대가 용서하지 않는다면요. (이 시를 쓴 시대는 1930년대, 시인이 20대 때입니다.) 

화자는 얼마나 큰 좌절을 느꼈을지...  

1930년대의 삶을 상상하기도 힘들지요. (1920년대 정지용의 '향수'에서 아내를 생각하는 마음 보셨죠? 기껏 4연에 가서 한다는 소리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라니요. 헐! 지는 일본에 유학가서 쓴다는 시가...)

 

암튼, 깃발을 보면서, 

에고에고, 내 사랑하는 이에게로 달려갈 수 없이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에 꽁꽁 묶인 내 처지나,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는 제 생각엔 조선조 유교의 정절 개념과 통하는 게 아닐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깃대에 꽁꽁 묶여 지향점도 없이 펄럭거리기만 하는 깃발의 처지를 '같다'고 본 거죠. 

 

요즘 아이들 유행가는 좀 낫죠.(요즘은 아니고, 한 10년 된 노래네요. ^^) 

달려 가겠어 훨훨 날아 가겠어 널 안아 주겠어 내 모든걸 주겠어...  

외로울 땐 나를 불러 뭐가 니 맘에 걸려 네 안에 내가 들어갈 수 있게... Run to you 

 

나의 사랑은, 정말 깨끗한 은(불륜이 아니란 말이에욧!!!),  

당신을 향한 나의 마음은 날마다 물결따라 바람에 철썩이는데,

그러나 슬프게도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나의 사랑은 슬픔이 애수가 되어 백로의 날갯짓처럼 힘없는 퍼덕임이 되고 마네요.  

 

 이러니 시인은 목놓아 소리칠 밖에요. 

아아 

시에서 이렇게 감정을 아아~ 하고 표출하면, 그건 월드컵에서 골대 앞에서 수비수가 두손으로 골 막는 짓이나 마찬가지거든요. 

퇴장당할 노릇입니다만, 미치겠는데 어쩌겠어요.  

아마 아~~~~~~~~~~~~~~~~ 하고 싶었을 겁니다. 

 

그래도...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에 '묶인', 자유인이 아닌 자신은 

소리없는 아우성만 지를 뿐, 그 고리를 끊고 날아가지 못합니다. 좌절하죠. 

그래서 외칩니다. 

 깃대에 깃발을 맨 처음 단 그를... 원망하고 미워하죠. 

도대체, 운명의 장난을 벌이는 자여, 당신은 누구란 말이냐.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화자의 마음을 

저 푯대끝에 매달아 놓고 나를 희롱하는 너는...  

운명의 신, 당신을 저주한다... 

이런 심사가 아니었을까요?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이제 이 슬픈 마음을 정리합니다. 좌절한 그는 맥이 하나도 없습니다. 

소리질러 저항할 힘도 없죠. 질서에 순응합니다.  

결국, 집으로 돌아가야죠.

그래서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의 힘차던 세 마디(3음보라고도 합니다.)의 자유로운 외침은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 푯대 끝에'에서 잦아 들다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이렇게 네 마디(4음보겠죠?)의 정형화된 구절로 마무리합니다.  

소리내어 읽어 보시면, 3음보에 비해서 훨씬 맥빠진 목소리처럼 들리지 않나요? 

 

속담에 '아다르고 어다르다'는 말이 있습니다. 

저는 이 시야말로, 이 속담에 꼭 부합한다고 생각해요. 

무슨 말이냐면, 

이 시를 '이에 대한 동경과 좌절'로 읽으면, 글쎄요, 감이 잘 안 오지만, 

같은 시를 '이에 대한 동경과 좌절'로 읽는다면, 저는 심장이 떨리는 울림이 옵니다. 

 

어떤가요? 제 이야기가 억지같다면, 뭐, 그래도 어쩔 수 없습니다.  

시는 개인의 자아를 세계에 드러낸 것인데, 그걸 읽는 저의 자아가 그이의 세계를 저렇게 받아들였다는데 뭐 할말 있어요? ^^ 

문제집에 보면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어떤 설명이 더 수긍이 가시는지??? ㅎㅎㅎ 

 

이 글 읽으시는 분, 모두 주말 잘 보내세요~~~ 

 --------------

   핵심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관념시, 상징시, 낭만시   
성격: 역동적, 의지적, 상징적, 낭만적
표현법: 남성적인 장중, 강건한 어조, 비애와 환멸의 목소리,  색채에 의한 시각적 심상,  은유, 

           직유, 영탄, 도치법 사용

어조: 인간 존재를 깨닫는 순간의 비애와 환멸의 목소리  

특징: 도달할 길 없는 이상을 향한 마음을 표현

주제: 영원한 이념을 향한 낭만적 향수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의 갈등

        이상향에 대한 향수와 그 비애

        인간의 영원한 향수


댓글(7)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7-10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시가 어딜봐서 남성적인 장중함을 느끼게 한답니까?
ㅋㅋ글샘님 강의 멋져요!!!!

글샘 2010-07-11 02:00   좋아요 0 | URL
좀 말이 되나요? ㅋㅋ
박수를 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기님을 위한 특강도 준비해 볼게요.

세실 2010-07-10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녀는 이영도 였을까요? 청마시인은 많은 여인을 사모했다고 하지요.
이미 결혼한 후에 쓴 시겠죠?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라는...ㅎㅎ
님처럼 한문장 한문장 숨은 뜻을 알려주면 정말 시를 사랑할듯 해요.
'노스탤지어=도달할 수 없는 향수'라니 멋져요.
'그리움,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 참 좋았던 기억이^*^

글샘 2010-07-11 02:01   좋아요 0 | URL
그저 이영도다, 하면 재미없죠. ^^
시인은 한 문장도 깎아서 쓰는데, 저걸 그냥 도매금으로 넘기는 게 아쉬워서 한마디 한 겁니다.

pjy 2010-07-12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가 어떻게 낭독하느냐에 따라 느낌은 상당히 달라지는데요^^;
제가 읽어보니 한서린 여인네의 두고보자는 표독함이 시끝에 묻어 나옵니다~ 이런게 자아반영인거죠?? ㅋㅋ

글샘 2010-07-13 09:06   좋아요 0 | URL
음... 이건 좀 새로운 해석이네요. 한 서린 여인네의 표독함... 그런 자아를 갖고 계세요???

pjy 2010-07-13 19:25   좋아요 0 | URL
다들 많이 아시는 그런 시인의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제한 상태에서 읽는 당시의 고때의 제 상태만 고려하면 그렇다는거죠^^;
가끔 착하기도 하답니다ㅋㅋ
 

그렇게 오는 사랑 있네
첫눈에 반하는 불길 같은 거 말고
사귈까 어쩔까 그런 재재한 거 말고
보고지고 그립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대천 바다 물 밀리듯 솨아 솨아아아아
온몸의 물길이 못자국 하나 없이
둑방을 너머

진액 오른 황금빛 잎사귀를
마지막 물기 몰아 천지사방 물 밀어 가듯

몸이 물처럼
마음도 그렇게
너의 영혼인 내 몸도 그렇게 

                               (김선우, 대천 바다 물 밀리듯 큰 물이야 거꾸로 타는 은행나무야 , 전문)

제1탄이라고 하니까, 계속 이어질 것 같지만... 알 수 없어요. 

어제 술김에(=3=3 후회중) 적은 코멘트에 세실님이 너무 적극적으로 반색을 하셔서...
몇 자만... 올립니다. 

이 시는, '사랑'에 대해서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화자에게 '연속극식 사랑', '신파조의 사랑' 말고, 사랑은 어떤 의미인가...  
이런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정도는 이해가 가시죠? 

뜨거운, 에로틱한, 가슴졸이는, 애가 타는, 절절한... 이런 사랑 말고,
시원시원하면서 서로 굳은 믿음이 있는,
좀스럽고 자잘하게 표현하지 않아도 그 사랑을 의심할 필요 없는,
그런 크고 넓은 사랑을 '대천바다 물 밀리듯 큰 물'에 비유한 것 아닐까 합니다. 

물리학에서 '입자'가 있고 '양자'란 개념이 있는데요. 
입자는 '내 몸'입니다.
내 몸은 교실의 앞문으로 들어오면서 동시에 뒷문으로 들어올 수가 없잖아요.
제가 부산에 있으면서 세실님의 청주에 존재할 수 없듯이요.
근데, 양자는 '양 쪽'에 다 있을 수 있는 거예요.
부산에 비치는 저 햇살이 청주에도 가잖아요.
정말정말 큰 물이 넘친다면, 부산에 넘친 그 물이 동시에 청주에도 넘칠 수 있듯이요. 
물이나 햇살이라면 교실의 앞문과 뒷문에 동시에 들어올 수가 있겠지요. 끈같이 생긴 양쪽이 있는 것들이라면...

그래서, '내 몸'에 한정된 그런 사랑 말고,
큰 물 지듯,
물과, 마음과, 영혼의 공통점은, '내 몸'과 같은 입자가 아니라, '큰 물'처럼 파동이 일듯,
한꺼번에 넓은 지역에 들이닥칠 수 있는 포용성이 있다는 것이겠지요. 

몸이 물처럼
마음도 그렇게
너의 영혼인 내 몸도 그렇게 

이 마지막 연이 이 시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인 거 같은데요.
나의 사랑은,
내 몸뚱아리를 탐하거나, 몸뚱아리의 실존적 쾌락에 머무르지 않고,
내 몸뚱아리로만 부딪치는 당신과의 임팩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몸이 스르르 풀린 물처럼 자연스럽게,
마음도 화르르 불살라진 것처럼 넉넉하게,
그래서 비로소 너의 영혼과 하나가 될 수 있는, 나의 정신, 나의 넋.
내 몸이 그렇게 스러진 자리에서 너를 만나는... 

이런 넓고도 얽매이지 않는 사랑을 표현한 시가 아닐까 싶네요. 

주제 : 얽매이지 않는 넓은 사랑의 희구 에 밑줄 쫙! 

시라는 게 워낙 쓰는 사람의 상황에 따라 주관적인 거구요.
읽는 사람의 관점이나 관심사,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서...
제가 읽은 것은 저런 정도입니다. ^^ 

아래 열 분 이상이 이 강좌의 개설을 열렬히 원하시면, 제2탄도 고려해 볼게요. ㅎㅎㅎ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10-07-09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아아아아......이런 거였군요^*^
바다같이 넓고 큰 사랑.


"대천 바다 물 밀리듯 솨아 솨아아아아
온몸의 물길이 못자국 하나 없이
둑방을 너머"
전 요기에서 열정적인, 불같은 사랑을 생각했지요.
그러면서 이상하게 생각했더랍니다.
님 감사해요. 2탄 기대합니다.
제가 댓글 열개 달 수도 있어용

여우꼬리) 이런 사랑이라면 참 행복하겠네요^*^

글샘 2010-07-09 14:31   좋아요 0 | URL
그냥 저의 해석이 그렇단 거죠. 말이 되면, 그게 이해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ㅎㅎ
맞아요. 이런 사랑이라면... 마음이 대천바다같이 넓은 사람이라야겠죠. ^^

pjy 2010-07-09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맘에 들어서 자주 읽는, 사랑에 관한 시 있어요^^
읽을때마다 저절로 미소가 지어지고 달콤해지는데 정작 이렇게 말해주는 사람은 아직 없어서 좀 아쉽긴해요~

풀꽃 -나태주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세실 2010-07-09 20:26   좋아요 0 | URL
어머 이 시도 참 좋으네요.
요건 이해하기도 쉬워요~~~ 시는 이렇게 쉽게 쓰여져야 해. ㅎㅎ

글샘 2010-07-09 22:27   좋아요 0 | URL
저도 이 시 좋아합니다.
너도 그렇다. 아~ 좋다.

세실 2010-07-09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좋아하는 시는 도종환 님의 흔들리며 피는 꽃 이랍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
다 젖으며 젖으며 피었나니
바람과 비에 젖으며 꽃잎 따뜻하게 피웠나니
젖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

글샘 2010-07-09 22:27   좋아요 0 | URL
맞아요. 쉽게 들어오는 시가 좋죠.
그치만, 자기만의 경험을 시로 쓴 걸 나무랄 수도 없죠.

세실 2010-07-10 06:23   좋아요 0 | URL
아 자기만의 경험이라...일리가 있어요^*^

pjy 2010-07-10 00:57   좋아요 0 | URL
개인의 경험인데 같이 공감하게 되는 내용..이게 맞나요?
음~칸트의 미학개론이었던가? 가물가물하네요^^;

글샘 2010-07-10 10:52   좋아요 0 | URL
진액 오른 황금빛 잎사귀를
마지막 물기 몰아 천지사방 물 밀어 가듯
... 거꾸로 타는 은행나무...
화자는 황금빛 잎사귀로 타오르는 은행나무를 보고 있는 사람입니다.
사람 나이로 치면 중장년이죠. 큰물에 들이비친 은행나무의 찬란한 황금빛 잎사귀와
넘실대는 물을 보고 이런 시를 쓰는 사람은 마음에 물기가 가득 밴 사람이겠지요. ^^

그 개인의 경험으로, 우리에게 이런 인식의 확장을 제공해 주니,
시인은 우리 대신 먹고 소화시켜주는 고마운 사람들이죠. ^^

세실 2010-07-10 22:22   좋아요 0 | URL
아 마음에 물기가 가득 밴 사람.
요즘 알라딘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제 맘에도 물기가 가득한 느낌^*^
님 덕분에 조금씩 시 맛을 느낄수 있을듯 해요.
예서 멈추면 안되는거 아시죠?
책임지세욧!!!!

잉크냄새 2010-07-10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탄 개설을 열렬히 지지합니다.

글샘 2010-07-10 10:52   좋아요 0 | URL
자, 이제 두 분입니다. ㅎㅎㅎ

비로그인 2010-07-10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탄도 약하구여, 상설강좌 카테고리 만들어주세염~~플리쥬~~~

글샘 2010-07-10 10:55   좋아요 0 | URL
이제 세 분. ^^
마기님 욕심쟁이시군요. ㅎㅎ

비로그인 2010-07-10 1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기라는 사람을 알고있는 사람인데요,
상설강좌 카테고리 만들어주세염~~2

글샘 2010-07-10 12:28   좋아요 0 | URL
상설강좌는 유료예욧! 네 분으로 쳐 드릴까요?
ㅋㅋ 마기님 정말 귀여우셔~ 마기님이 10분 모셔오면 생각해 볼게요. ㅎㅎㅎ

비로그인 2010-07-10 12:37   좋아요 0 | URL
흥~~세실님을 위한 시 특강인데...세실님이 모아와야죠!

난 마기를 위한 시 특강이 열릴 때 생각해 볼래요.
으윽~~그런건 없다구요?
ㅠㅠ

글샘 2010-07-10 17:40   좋아요 0 | URL
마기님 질투하시는군요? ㅎㅎ
알았어요. 마기님을 위한 시 특강도 생각해 볼게요.

세실 2010-07-10 22:24   좋아요 0 | URL
호호호 마기님 질투할줄 알았어^*^
결국 그렇게 글샘님은 마기님을 위한 특강 만들꺼야. 아마도....

글샘 2010-07-11 02:03   좋아요 0 | URL
마기라는 분께 전해 주세요.
상설 강좌 카테고리는 바빠서 어렵다구요. ㅋㅋ
시간 되는대로, 제가 좋아하는 시를 해석해 볼게요.
제 맘대로 해석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s 지식채널의 <사랑에 빠진 암소와 호랑이> 동영상입니다.  

비는 내리고, 로맨틱한 러브레터를 쓸 능력은 안 되고... ㅎㅎ  

저보다 훨씬 능력있는 김진혁 pd의 러브레터를 보낼게요~  

 

마지막 부분에 실려있는 바이브의 <그남자 그여자>를 보냅니다. 

 

 

서문탁의 <여정>도 함께 보냅니다. ^^ 

 

 

아무래도 과꽃과 어울린 저 사진에 홀린 게야. ㅎㅎㅎ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7-02 16: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노래방가서 노래부르면서 울어봤으면...!

호랑이와 암소의 러브스토리 보면서 저 울었어요.ㅠㅠ
나처럼 저거 보고 눈물 흘린사람이랑 오늘은 소주 한 잔 하고싶다나 뭐라나~~~

같은하늘 2010-07-02 18:37   좋아요 0 | URL
그거 전데요... ㅠㅠ

글샘 2010-07-03 09:34   좋아요 0 | URL
암소와 호랑이 보고있으면 좀 짠한 생각이 들곤 해요.
그렇다고 울 것 까지야... ^^
완전 분위기 타시는군여. ㅎㅎ
같은 하늘님도 같은 과군요. ㅎㅎ

세실 2010-07-03 0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넌 언제나 늘 자기 생각만 하니라는 말에 공감 백배.
울 옆지기가 가끔 저에게 하는 말이에용. ㅠ
이런 내용이었군요.

글샘 2010-07-03 09:37   좋아요 0 | URL
세실님이 늘 자기 생각만 하겠습니까만, 암소와 호랑이만큼이나
화성 남자와 금성 여자는 다른 법이죠. ^^

사계절출판사 2010-07-07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랑이와 암소 보고 손가락이 간질간질해서 끄적여요. ^ ^;;;
'난 고기를 바란적 없어!' 에서 왠지 가슴이 쿵 하네요 ㅠ ㅋ

러브레터 잘 훔쳐보고 갑니다.ㅎㅎ


글샘 2010-07-07 16:27   좋아요 0 | URL
아, 정말 사계절이신거? 그래요. 바라지도 않는 거 주고, 왜, 왜??? 이러고 들이대면... 사랑이 아닌 거죠.

사계절 청소년문고 잘 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