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을 통해 인생을 한 바퀴 더 살듯, 예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들춰보니 역시 그와 비슷한 감상에 젖는다. 새록새록 나오는 신간서적의 다양성에 정신을 잃을 정도지만 잊고지냈던 옛 서적을 무시할 일은 아니다. 잠시 옛 친구를 만나는 기분도 든다.
윤정모. 1946년생. 소설가. 80, 90년대를 풍미했던 작가. 현재 제21대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고삐>는 확실히 기억하지만 나머지 두 권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고삐, '소의 코뚜레나 말의 재갈에 잡아매어, 몰거나 부릴 때 손에 잡고 끄는 줄'. 이 제목에서 단박에 유추되는 것은 고삐에 묶여 끌려가는 상황에서 '가열차게'(80년대에 애용된 단어) 고삐를 끊어내는 일이 될 것이다. 뭔가 80년대 민주화를 상징하는 듯한 단어이다. 더 들어가본다.
'매춘과 윤락은 외세와 깊은 함수관계가 있다는 것'. 지금 시각으로 보면 낯설고 좀 억지스럽게 보이지만 80년대 민주화열기에서 끌어낼 수 있는 최대치가 아니었을까 싶다. 책의 내용을 잠시 들여다보면,
그러면 땅덩이도 크고 부자 나라인 미국이 왜 끝없이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을 종속국으로 만들어야만 하는가. 그 첫째는 미국 국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열량을 소비하고 있고,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함에도 큰 원이이 있읍니다. 어느 학자의 통계를 보면 미국인 1인당 에너지소비량이 유럽인의 2인분, 인도인 55인, 탄자니아인의 168인, 네팔인의 9백 명의 소비량과 맞먹고 미국 인구는 전세계 인구의 6%에 해당하는데 이 6%의 인구가 세계 전체에너지 1/4 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미국은 보다 효과적으로 지구의 자원을 착취하기 위해 군수산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세상 곳곳에 군인을 주둔시켜놓고 있다는 것입니다.
-p. 101
다음은 문화식민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읍니다. 저는 사십대입니다. 다시 말해서 교육이라는 마당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부터 미국식교육을 받았고, OX나 흑백논리와 더불어 대중우상에 혼곤히 빠져든 세대입니다. 물론 왜정 때도 우리의 지식인들은 찻집에서 커피도 아닌 '고히'를 마시면서 일본 인기가수의 노래를 흥얼거리기도 했고, 그것이 소위 식자의 멋인 줄 알았던 사람들도 있었읍니다만 우리 역시 째즈나 팝송가수를 흠모하고 미국 상업영화를 즐기고 영어노래를 부를 줄 알아야만 지식인 냄새가 나는 것으로 착각할 수밖에 없었읍니다. 그것은 그들이 이 땽을 접수하고 이승만과 조약을 맺을 때 이미 일주일에 몇 개 이상의 미국 노래를 들어야 한다고 문서로 조인을 했고, 이 땅에서 가장 좋은 네트워크를 차지해 AFKN 방송망으로 저질프로만 흘려보내서 우리들의 의식을 마비시키기 위해 의도된 정책의 일환이었으므로 우리는 그 문화에 휘말려들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결과 지금도 아이들은 팝송 뿐만 아니라 옷, 신발, 연필, 지우개까지 영어가 씌어 있는 상품을 선호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 왜 우리 국민의 순수한 정서를 짓밟고 그들의 저질적인 대중문화를 이 땅에 자꾸만 풀어먹여야 하는가. 그들이 우리 국민들이 건강한 비판력이나 각성을 흐리게 해야만 지배가 용이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그래서 45년 9월 점령군으로 진주한 미군이 오늘날까지 숱한 강간, 총살, 교살, 강도, 방화, 사기, 뺑소니 등 10만 명이 넘는 범죄자들이 이 땅의 민중을 짓밟고 있어도, 우리 남한이 미군 범죄의 소굴이 되어가도 우리는 그저 파리약을 먹은 듯 눈만 꿈벅이고 있을 뿐입니다. p. 102~103
길게 인용했지만 이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민족해방가이다.
압박과 설움에서 해방된 민족
싸우고 또 싸워서 찾은 이 나라
쪽발이 양키놈이 남북을 갈라
매판팟쇼 앞세운 수탈의 나라
이 땅의 민중들은 피를 흘린다
동포여 일어나라 해방을 위해
손잡고 광화문에 해방기 휘날리자. -p.70~71
<고삐>는 80년대 후반 대학 문창과 같은 곳에서는 교과서에 버금가는 존재였다. 누구나 운동권이었던 그 시절에 저 영향권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소시민, 부르주아, 매판자본주의...' 이런 말을 들어야 했다. 사고가 경직된 답답한 분위기였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이 같이 시대에 부응하는 눈부신 소설을 쓰신 분이 2001년에는 다음의 책을 냈다.
특급열차?
나는 여태 딸에게 특급열차만 타라고 강요했다. 그 열차의 이름은 '좋은 대학'이었다. p. 21
국내 특급열차 승차에 연거푸 실패한 딸을 영국으로 보내며 자신도 뛰따라가 영국에서 3년을 보낸 이야기를 담았다. 그렇다고 성공담 따위는 아니다. 오히려 삶의 고비마다 겪어야했던 처절한 시련, 고통 등을 써내려간 실패담에 가깝다. 때론 자살을 생각하기도 하는. 특히 첫단추부터 틀어진 결혼생활 등. 픽션같은 이야기를 읽다보면 나 자신도 모르게 여러번 한숨이 절로 나온다. 이렇게 살아오셨구나.....하고.
시대는 변한다. 그리고 사람도 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