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인도네시아 여행을 앞두고 이런저런 책을 뒤적이고 있다. 우선 가이드북으로 전체적인 윤곽을 잡고 싶었으나 그 흔한 프렌즈시리즈에도 인도네시아편은 없는 듯하다. 인도네시아 하면 발리인지 발리 관련 안내서는 꽤 있지만 이번 여행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이미 다녀오기도 했고. 하는 수 없이 영문판 론리 플래닛을 주문했으나 배송까지는 보름 넘게 걸려서 며칠 더 기다려야 한다. 폼 잡느라고 뒤적였던 론리 플래닛, 폼도 설렘도 그닥 남아있지 않은 지금은 그저 국산 가이드북이 입에 맞는 한식처럼 편한데 국내산 인도네시아 가이드북이 없다니.. 내가 아직 찾지 못한건가. 그많은 여행작가들은 어디에서 무얼 하시는지...
가이드북을 찾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인도네시아 관련 책은 여행보다 인도네시아어회화 책이 훨씬 많다는 것이다. 누가 인도네시아회화를 필요로 할까, 의문이 들 정도이다. 진짜 궁금해지네.
그래서 한 권 사봤다.
하루에 한 꼭지씩 꾸준하게 했다면 지금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고 있으련만. 명사부터 시작하는 성문종합영어를 끝까지 공부한 것은 대학 졸업 후지 아마. 명사편이 도돌이표라도 되는듯 매번 명사편으로 되돌아 갔었다. 자칫 "슬라맛 빠기(Good morning!)"가 도돌이표가 되려나. 외국어 공부는 좀 독기가 있어야 하나보다.
도서관에서 발견한 책. 자전거로 미국을 횡단한 홍은택의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에 비견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얼핏 들었다. 대충 건너뛰며 읽어도 재미와 정보를 취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존재를 알게 된 책, 알게 된 저자.
순서가 바뀌었다. 책 내용을 먼저 말하고 싶었는데 마음이 손을 앞질렀다.
그리고 1942년 일본의 상황은 한국 등지에서 30년 이상 식민통치를 경험한 노하우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를 효율적으로 통치할 수 있었다. 그들이 한국에서 시행한 강제노역, 정신대 등의 악랄하고 비인간적인 제도를 인도네시아에 그대로 적용하였다. 그래서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350년 동안의 네덜란드 식민통치보다 3년 반의 일본 식민통치가 더 가혹했다고 이야기한다. - p.82
일제강점기 시절을 살았던 내 부모님은 당신들이 겪은 식민통치의 가혹함을 종종 말씀해주시곤 했었다. 그 얘기를 듣고 자랐다면 일본을 절대로 편한 마음으로 바라볼 수 없다. 일본에 너그럽다면 특히 내 또래가 그렇다면 그는 부모님의 원한에 무지하거나 아니면 부모가 일제의 가혹함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이런 일본 얘기가 나오면 내 얘기를 보태면서 흥분하며 치를 떠는 것, 이게 정상 아닌감?
오늘은 자꾸 이야기가 옆으로 새는구나.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어와 말레이어는 한국어와 북한어, 혹은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된다. 원래 같은 언어였지만 국가가 다르다보니 사용하는 어휘, 발음이 다소 다를 뿐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외국인들이 인도네시아어를 구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말레이시아에서는 외국인들이 대개 영어로 소통한다. 그래서 인도네시아에서 외국인이 인도네시아어를 구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진다. - p.108
왜 가이드북보다 인니회화책이 많은지 조금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살고있는 교민에게는 인니회화책이 더 필요할테니까. 그리고 '여행'하면 대부분 미국이나 유럽을 선호하니까. 그런면에서 인도네시아는 가이드북 여행작가에게는 미개척지가 되는 건가?
역설적이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네덜란드 식민통치 정부가 인도네시아를 통치하면서 네덜란드어 사용을 강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네덜란드어와 같은 고급 언어를 피 식민통치국의 토착인들이 사용하는 것을 꺼렸다는 것이다.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사실이다. 호프만 등 여러 학자들의 견해이다. 당시 신분체계가 유럽인-혼혈인-토착인이라는 구별이 있었고 제도적으로 차별이 있었다. 그 다음 이유는 토착인이 네덜란드어를 구사함으로써 자신들이 취하던 경제적 이익을 토착인들에게 빼앗길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었다.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 중남미에서 식민통치를 하면서 취한 언어정책과 구별되는 대목이다. 만약 그 당시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에서 네덜란드어의 사용을 강요했다면 인도네시아는 지금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많다. - p.107
요점은 인도네시아가 350년 동안 네덜란드 식민지였지만 인도네시아어를 버리지 않았다는 점, 인도네시아에서 외국인이 인도네시아어를 구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이다. 가이드북을 찾을 수 없었지만 그동안 생각해보지 않았던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이런 사실을 알게 되었다. 구글맵만 있으면 대충 다닐 수야 있지만 그래도 공부는 해야지.
인도네시아 여행기도 드물기는 마찬가지. 급하게 구해서 읽었지만 별 도움은 안될 것 같은 책도 있다.
시가 눈에 들어오지 않았던 책. 시의 깊은 맛은 인도네시아에 다녀오면 느낄 수 있으려나.
2007년에 구입했는데 소재 파악 불가한 책. '내 언제 인도네시아에 가리...' 하면서 버렸을지도 모른다. 그 당시도 인도네시아에 가려고 마음 먹었는데, 마음 속에 품고 있으면 언젠가는 가게 되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