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행성으로 시와정신시인선 13
안창현 지음 / 시와정신사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안창현의 시는 아날로그적이다. 글쎄 그러면 디지털 같은 시는 뭐냐고 묻는다면 딱히 대답할 말은 없지만 말이다. 

쓸쓸함, 외로움, 자기성찰, 삶의 스산함 등이 깊이 밴 그의 시는 우선 어렵지 않아서 좋다. 자신을 쉽게 드러내지 않기위해 꽁꽁 싸매거나 어딘가 숨어버린다든가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내놓고 드러내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아파도 속으로 울고 조용히 눈을 껌벅이며 자신을 들여다 볼 뿐이다. 이런 시적 분위기는 내가 어렸을 때 배웠거나 혹은 생각했던 시 그대로이다.  

소박하면서도 정갈한, 그러면서도 마음 한 끝이 시려오는 아련함이 시 곳곳에 배어있다. 내가 처음으로 시를 알게 되었을 때의 원형 같은 모습이 살아있다. 마치 통기타의 추억 같은 것을 떠올리게 한다. <먼지1>라는 시를 읽어본다. 

한눈을 파는 사이/ 펴놓은 책 위에 내려앉는/ 시끄러우면 일어나는/ 조용하면 가라앉는/ 없는 끈기로 바닥에 앉아 붙는/ 벽에는 서서 붙는/ 사랑받지 못하는 물건에는/ 더 많이 쌓이는/ 그윽한 사랑 

 먼지를 관찰하는 사람이라니...'사랑받지 못하는 물건에는/ 더 많이 쌓이는' 먼지를 노래부르는 시인은 자신이 먼지 같은 존재일까 늘 자문하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달은 알약처럼>에서 시인은 스스로에게 묻는다. 

...검푸른 밤 허공중에 달/ 물 속 알약처럼 풀어지고 있네/ 밤은 거대한 유리잔/ 그 속에 검푸른 물 그득한 데/ 달은 알약처럼 풀어지고 있네/ 우주가 몹시 아파서 알약을 드셨나 보다/ 이 밤 나만 아픈 줄 알았더니/ 우주도 아픈가 보다/ 나는 우주에서 무엇인가

허세를 부릴 줄 모르는 소박한 심성의 시인은 또 이렇게 노래한다. '..나는 내 높이를 갖고 있다/ 모든 것은 제 키를 갖고 있다'( <높이>에서)고. 늦가을 고구마 이삭을 캐면서 읊는 <이삭>이라는 제목을 붙인 시 한 구절이 마음 한구석에 쓸쓸한 바람을 일으키기도 한다.  

삽질에 목이 잘린 것, 못 자라 길쭉한 것들이 쌓여가고/ 그러기를 서너 시간, 손에 물집이 잡히고 허리도 뻐근했다/ 나의 일에 그렇게 몰두했다면 지금/ 다가오는 겨울에 얼어 썩어버릴/ 고구마를 찾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하며.....나의 자리는 어디인가/ 속삭이는 바람 속 어디로 뻗어나가 뿌리를 내릴까/ 고구마들 몸 숨기는 노을 속에/ 나는 다시 삽을 꽂는다

가난이 감지되는 시들이다. 가난을 모르고서야 먼지의 그윽한 사랑이나, 알약처럼 풀어지는 달을 보고 자신의 아픔을 달래거나, 볼품없는 고구마 이삭을 캐며 지난 날을 후회하는 일 따위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사물을 가난하고 아픈 시선으로 바라볼 줄 아는 것. 이것이 내가 처음으로 시와 시인에 대해서 배웠던 것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안창현 시인은 아날로그적 시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창현 2011-02-26 2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감사합니다. 또 다른 감상을 만나니 고맙군요. 시의 원형, 그러한 시를 쓰고 있으니 하긴 아닐로그 같네요. 좀더 활달한 시들을 써야 할텐데. 잘 지내시고요. 좋은 봄날 맞으세요. 또 봄세. 다음블로그 김북입니다, 초록시인 보시길...

nama 2011-02-26 23:07   좋아요 0 | URL
제가 뭐 시에 대해서 아는 게 있나요. 지금 그대로의 시도 참 좋습니다. <먼지>라는 시가 가슴을 울렸습니다. 계속 기대하겠습니다. 두 분 블로그 즐겨찾기합니다.
 
루앙프라방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 느림의 도시가 연주하는 삶의 화음(和音)
진유정 지음 / 이비락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그냥 40자평을 쓸까 망설이다가 몇 줄 더 쓰기로했다. 같은 곳을 이렇게 다르게 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글쓴이는 분명 미혼 여성이리라. 많아야 30대 중후반. 글에서 그 나이가 느껴진다. 

그 나이가 느껴지는 글에서 나는 새삼 내가 멀리도 떠나왔음을 깨닫게된다. 세상사에 초연한 척 떠나온 여행에서도 어쩔 수 없이 이어져야만 하는 일상의 되풀이. 가족이 있었고 동료가 있었다. 그러나 나 홀로 여행을 왔다고 해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으리라. 여행도 나이를 먹어가는 것 같다. 

나이를 먹어간다는 건, 걱정과 근심의 나이테를 한 줄씩 한 쭐씩 덧붙여가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팔순을 넘긴 엄마를 보며서 다시금 확인한다. 

표현이 좋아 나이테이지 그건 차라리 나이로 인한 때에 가깝지 않을까. 이름하여 나이 때. 때가 잔뜩낀 마음으로 이 책을 읽는 기분이 참 묘했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시절, 돌아갈 수 없는 감수성이 쓸쓸하게 자각되었다. 

생애의 어느 한순간 어느 한시절, 이 루앙프라방 같은 시절을 경험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나이의 때가 잔뜩 낀 나 같은 사람에게는 아마 눈보라치고 추위에 모든 사물이 얼어버리는 히말라야의 어느 메마른 산골짜기나 가야 마음에 자극이 좀 올까. 

한시절-짧게는 수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 동안- 때가 끼지 않은 마음으로 한 곳에 오래 머물러볼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지영의 지리산 행복학교
공지영 지음 / 오픈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리산이 품어주는 행복한 무리들, 나도 끼고 싶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인의 풍경 - 김민웅의 인문학 에세이
김민웅 지음 / 한길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책을 위한 책, 진짜 책을 만나기 위한 소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탁자...뒷편에 금성 냉장고가 보이고...

  

신문정리함 및 간식보관함 ...신문과 간식의 공통점: 끊을 수 없는 것들

 

컴퓨터 책상 

  

장난감...강아지 

 

독서대 

 

찻상(2011.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