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병기 활 - War of the Arrow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생존은 개인 몫이라는 마지막 멘트가 여운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바: 리처드 파인만의 마지막 여행
랄프 레이튼 지음, 안동완 옮김 / 해나무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어떤 나라를 여행하기 위해 10여 년 동안 온갖 시도를 했던 세 명의 남자들이 있었다. 어릴 적 우표수집을 통해서 알게 된 투바라는 나라, 그 나라의 수도인 Kyzyl, 모음 하나 들어있지 않은 이 이상한 지명에 매혹되어 막연히 그 나라에 가고 싶다고 뜻을 모은 세 남자들은 의기투합하여 즐거운 여행 준비를 한다. 리처드 파인만, 랄프 레이튼, 글렌 코웬이 그들이다.  

아시아의 지도를 펼쳐놓고 각 끝점들을 연결하면 선들이 한곳에서 교차하게 되는데 바로 이 교차점이 아시아 대륙의 중심으로 거기에 위치한 나라가 투바라고 한다. 투바를 향한 이 세 사람의 열정이 없었다면 지금도 오지 중의 오지로 남아있을 터이다. 

10년 동안 이들이 꿈꾸고 시도했던 온갖 에피소드들로 엮여진 이 책은 1977년에서 얘기가 시작된다. 세계의 큰 사건들이 시대의 배경으로 하나의 흐름을 이루고 있어서 읽는 맛을 더한다. 우여곡절 끝에 1988년, 드디어 초청장을 받고 투바에 갈 수 있게 될 무렵, 이 책의 주요 인물인 파인만은 암으로 세상을 떠난다. 

이 세 남자들의 소박하고 꾸밈없는 소망은 귀엽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파인만의 소탈하고도 열정적인, 꿈꾸는 소년 같은 모습은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무렵,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눈물 한 줄기가 흘러내린다. 파인만의 죽음 때문인지, 드디어 여행이 이루어진 감격 때문인지, 그들의 아름다운 열정 때문인지...조용히 흘러내리는 눈물을 닦아낼 뿐이다. 때로는 진짜 여행보다 이와 같은 여행 전 과정이 감동적일 수도 있는 거다.

"목표에 도달하는 것보다 그 여정이 더 성스럽다" 고 했던가. (세르반테스의 말이라고 한다.)   

2005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발간한 <뚜바인의 삶과 문화>는 그쪽 전문가들 여럿이서 투바를 취재한 기록물이다. 일목요연하게 잘 설명되어 있지만, 뭐랄까 투바를 가고자 한 사람들의 열정과 노력만큼 흥미를 끌지는 못한다. 투바에 관심이 있다면 참고는 되겠지만... 

<뚜바인의...>에서 읽은 투바의 속담 1, 2

속담1. '말은 예쁘게 치장해주어야 한다'--말이 물을 먹다가 자기 모습을 보고 감격하여 주인의 말을 더욱 잘 듣기 때문이다. 

속담2. '게으른 사람은 항상 머리가 아프고, 욕심 많은 사람은 항상 목이 탄다.'--게으른 사람은 머리가 아프다고 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부려먹고, 욕심 많은 사람은 목이 탄다고 하면서 물을 달라고 한 뒤 음식도 달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련님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31
나쓰메 소세키 지음, 오유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재구성>에서 읽은 구절이다. 나쓰메 소세키(1867~1916)가 한 말이다. 

여러분들이 가지고 태어난 개성이 제자리를 찾아 고개를 들 때에는 마음 편히 먹고 이를 발휘하십시오. 국가를 위해서도 아니고 또는 가족들을 위해서도 아닙니다. 여러분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절대로 그렇게 해야만 합니다.

일본인으로서 배워야 할 가장 심오한 교훈은 다른 사람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자신에 충실한 사람이 되는 것, 즉 자기자신만의 고유한 개성을 발휘하며 사는 것이라는 점이었다(<일본의 재구성>113쪽) 

1867년생인 나쓰메 소세키는 역시 시대를 앞서간 사람이다. '자신에 충실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대가로 무언가를 버려야 하거나 희생하거나 모험을 감수해야 하는 세상에서, 대부분이 소심하게 살 수 밖에 없다는 듯 살고 있지 않은가. 그런 '열린 지성'인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이 무척 궁금해서 그간 말로만 듣던 <도련님>을 드디어 읽었다. 

한마디로, 사랑스러운 소설이다. 100년 전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번역을 잘해서일지도 모르지만 표현 하나하나가 어찌나 사랑스럽고 적절한지 읽는 내내 즐거웠다. 

특히 다음 두 부분에서는 눈을 뗄 수가 없었다. 

(112) 밥을 먹고 책상 서랍에서 달걀 두 개를 꺼내서, 찾잔 모서리에 두들겨 깨뜨려 먹었다. 날달걀으로라도 영양을 보충하지 않고서야 1주일에 스물한 시간의 수업을 할 수 있겠는가. 

흠, 그 당시도 1주일에 스물한 시간의 수업을 버거워했구나...나는 일주일에 스물한 시간 정규수업에 매일 0교시 수업까지 하고 있는데... 

(153) "지는 새임보구 튀김이라고 부르지 않았서라. 당고라고 부른 적도 없어라. 그건 새임이 괜시리 그 말에 신경쓰고 있응께 고렇게 들리는 것이재"라고 둘러댈 게 뻔하다. 이런 비열한 근성은 막부시대부터 이어내려오는 뿌리 깊은 것으로 아무리 말로 타이르고 가르쳐도 그런 흉내라도 내지 않고는 못 배긴다. 

큰 소리만 뻥뻥 치는, 세상 물정 모르는 도련님인 주인공이 부임해간 학교에서 아이들한테 휘둘리며 하는 이런 하소연이 재미있다. '이런 비열한 근성은 막부시대부터 이어져내려오는 ...." 부분에 얼마나 공감이 가던지...그때나 지금이나 학교 풍경은 비슷하다. 100년전과 다를 게 없는 학교 풍경이라니... 

이렇게 학교 풍경도 비교해가며 읽고, 등장 인물들의 개성 넘치는 역할에도 넋을 잃어가며 빠져 들었다. 흡족한 소설 읽기였다. 

역시, 나쓰메 소세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엄마 시즈코상 - 가장 미워하고 가장 사랑했던 이름
사노 요코 지음, 윤성원 옮김 / 이레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모녀관계도 있단다. 내 친구 조은, 이 책 한 번 읽어보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자신문을 읽는 10가지 공식 - How to read The Korea Times
이창섭 지음 / 한나래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자 신문의 체계를 비로소 이해. 신조어도 유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