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 옆의 화분은 퇴원 축하 기념으로 병원에서 줬다.)

 

이런 사진을 올리니 가슴이 뛴다. 좋다.

지난 월요일 오후4시 병원에 입원에서 목요일인 오늘, 드디어 조금 전에 퇴원하고 집에 오자마자 이 사진을 찍는다. 친구가 웃어보자고 cast한 사진을 보내라고 해서 핑계김에 기념사진을 찍는다.

병명은 Morton's neuroma라는 신경종이라고 한다. 근 1년 이상 발에 문제가 있어 보행에 힘이 들어서 가끔씩 우울해지곤 했는데 드디어 아픈 곳을 도려낸 것이다. 이런 병명이 있다는 것, 물론 병원에 입원하고 침대맡에 꽂힌 환자챠트를 보고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담당의사는 내가 영어와 담을 트고 사는 지는 몰랐을 터이니 병명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은 것이었고, 나 역시 병명이 뭐 중요하냐 아픈 거 낫기만 하면 되고, 알아서 해주겠거니 여겼다.

 

동네 병원에서 대강 물리치료만 받다가 본격적으로 수술을 생각하게 된 건 아래의 책 덕분이었다.

 

 

 

 

 

 

 

 

 

 

 

 

 

 

이 책을 보고 옳거니 내 몸은 내가 관리해야지, 생각하고 나름대로 책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자가 물리치료에 들어갔는데....다행인지 불행인지 내가 아픈 것에 관한 부분은 없었다. 이 책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판단이 서는 순간 가차없이 의원 아니 병원으로 방향을 바꾸고 일사천리로 수술까지 해버렸다. 수술 예약을 하고 도서관에서 찾아본 다음의 책에는 다행히 내 발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었다. 물론 수술쪽으로.

 

 

 

 

 

 

 

 

 

 

 

 

 

그렇다면  Morton's neuroma라는 병의 원인은? 원인은 모른다는  담당의사의 말씀. 인터넷 검색으로는 그저 중년여성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비로소 내가 '중년여성'이었다는 사실을 새삼 확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 더 가슴 아프게 다가왔다고나 할까.

 

퇴근 때마다 아프고 무거운 발걸음으로 인생의 비애를 삼켰는데 이제는 가벼운 발걸음으로 통통 몸을 튕기며 날듯이 걷게 될 터이니 새삼 세상이 환하고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3-12-19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처음 들어보는 병명이네요. 1년 이상 아프셨었다니 그동안 많이 힘드셨겠어요. 아픈 정도가 미미한 단계라면 모를까 일단 아픔을 느낄 정도까지 되면 병원에 가는게 정답인것 같아요.
잘 회복하셔서 가벼운 발걸음으로 날듯이 걷게 되시길 바랍니다. 마음은 저절로 가벼워지시겠지요.

nama 2013-12-19 21:41   좋아요 0 | URL
병원이야 많이 다녔지요. ㅈ정형외과, ㅇ정형외과, ㄱ대학병원,ㄱ한의원, ㅇ한의원, 족부전문 ㅂ한의원...그러다가 자가치료...다시 병원으로. 가히 병원 순례가 되겠는데 처음부터 제대로 짚어주었으면 시간은 끌지 않았겠지요. 물론 그 사이에 아픈 지점이 바뀌기도 했구요.
아프면 서럽다는 것만은 확실하네요.

고맙습니다. 님도 건강하세요.
 

http://blog.hani.co.kr/gategateparagate/62296

 

http://blog.hani.co.kr/gategateparagate/623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8월 도자기연수 때 만든 그릇들이다. 어설프다. 내 솜씨가 괜찮을 줄 알았는데, 그저 그렇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실용성을 심히 고민했다.

 

 

 

찻잔

 

 

 

이철수의 판화를 베꼈다. 생선구이 접시쯤 된다.

 

  

 

기성의 반제품 접시에 꽃그림만 그려넣었는데 굽는 과정에서 약간의 문제가 생겼다. 어쨌거나 내 자식이니..

 

 

실용정신을 강조했다. 그릇의 본래 용도는, 뭘 담아내는 일. 약 넣는 함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화병. 끊임없이 걷는 사람을 그렸다. 내 모습?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ren 2013-10-10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손수 빚어낸 도자기들이 다들 예술작품 같아요. ㅎㅎ
약 넣는 함으로 쓰실 예정이라는 저 작품은 '실용'보다 예술에 더 가까워 보이네요.

nama 2013-10-10 13:41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사실은 모든 작품에 강사님의 조언이 많이 들어갔습니다. 미술학원에 다니는 유치원생 작품이 그렇듯이요.
 

오대산 상원사. 월정사에서 차를 타고도 한참 올라가야한다.

 

 

판화가 이철수의 작품일까?

 

 

 

상원사 오르는 길

 

 

 

고양이 석상...세조의 목숨을 구해준 고양이에 대한 보답이 담긴 석상이라 한다.

 

 

 

상원사 경내 불교미술관에서 구입한 다탁보. '비움'이라고 쓰여있는 낙관이 인상적. 실제 원화로 보는 파르라니 깎은 머리는 가슴이 시릴 정도...

 

 

---- 다음은 법수치에서. 이름일랑은 차차 알아보리...

 

 

 

 

 

나팔버섯

 

 

 

 

 

용담

 

 

 

 

 

키위와 비슷한 산다래.

 

 

 

     

 

  버섯의 세계는 무궁무진한 듯...이 책을 봐도 버섯이름을 모르는 게 많다니.

 

 

 

 

 

 

 

 

 

 

        

 

 

 

 역시 이 책 한 권으로는 어려운 듯....세상은 넓고 공부할 것도 많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ren 2013-09-30 0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법수치 계곡은 이맘때쯤이면 벌써 가을 정취가 한그득이 아닐까 싶네요.

2008년 가을에 '법흥사 템플스테이'에 참가했을 때가 10월 초쯤 된 듯한데, 그때 법수치 계곡을 처음 봤어요. 작년 봄에도 어머님을 모시고 법흥사를 다녀왔는데, 그 땐 초봄이어서 가을과는 많이 다른 정취가 느껴지더군요. http://blog.aladin.co.kr/oren/5794113

nama 2013-09-30 14:11   좋아요 0 | URL
법수치 계곡은 양양에 있는 건데요.
영월에도 있나요?

oren 2013-09-30 15:47   좋아요 0 | URL
제가 법수치 계곡에 대해 착각했었네요. ㅎㅎ
nama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아차~ 싶네요.

저는 2년 전 겨울에 설악산과 주문진으로 놀러 갔을 때, 한 겨울에 법수치 계곡을 찾아가 봤던 기억이 있네요. 겨울이라 사람을 거의 만날 수 없었고, 계곡은 물 반 얼음 반이었는데 '가을'에 한번 찾아보면 참 아름답겠다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좀작살나무...철새들의 월동양식이라고 한다.

 

 

 

보름을 며칠 앞둔 시점. 보름달까지 찍어볼까 싶지만, 과하다 그 욕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