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아르 이후 프랑스 페미니즘의 주요 이론가로 통상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뤼스 이리가레를 꼽는다(이리가레는 '이라가레이', '이리가라이'로도 표기됐었다). 두 저자의 책이 적잖게 소개됐지만 이리가레의 출발점에 해당하는 <반사경>(<스페큘럼>)은 열외였는데, 드디어 번역본이 나왔다. <반사경>(꿈꾼문고). 찾아보니 공역자인 황주영의 <뤼스 이리가레>가 몇년 전에 나왔었다. 















아직 책소개가 뜨지 않아서 저자 소개로 대신하면 이렇다. 


"벨기에 출신의 페미니스트 철학자.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철학, 문학, 언어학, 정신분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수학했고, 프랑스 여성해방운동에도 참여했다. 라캉의 정신분석학 세미나에 참여하여 정신분석 수련의 과정을 밟았지만, 수많은 남성 철학자 및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남근중심주의 담론이라고 날카롭게 비판한 철학박사 학위논문 <반사경: 타자인 여성에 대하여>(1974)를 제출한 후, 파리 프로이트학회에서 축출되고 재직 중이던 파리8대학에서도 파면당했다. 이후 주로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연구, 강의, 저술 활동을 계속하면서, 지금까지도 꾸준히 저서를 출간하고 매년 학생들과 세미나를 여는 등 학자로서 열정을 이어가고 있다."
















라캉주의 페미니스트들의 책은 앞서 몇 권 더 나왔지만 비중이나 의의 면에서 이리가레의 <반사경>은 가장 중요한 저작이지 않나 싶다(가장 난해하기도 할까?)
















이리가레의 다른 책들은 이미 10여년 전에 나왔었고 많이 잊혀진 감이 있다. 순서대로 하면 늦었지만 <반사경>부터 차례로 읽어봐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의 경제사학자 니얼 퍼거슨의 신작이 번역돼 나왔다. <둠: 재앙의 정치학>(21세기북스). ‘전 지구적 재앙은 인류에게 무엇을 남기는가‘가 부제.

˝<광장과 타워><금융의 지배> 등 인류사적 스케일로 문명의 흐름을 짚어온 21세기 최고의 경제사학자 니얼 퍼거슨이 코로나19에 여전히 신음하고 있는 세계 앞에 재난의 역사와 그로 인한 전 지구적 재앙의 역사를 되새긴다. 그는 고대 로마의 폼페이, 중세의 페스트, 현대의 체르노빌과 코로나19 유행까지, 반복되는 사건들의 “재난 현장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는 방법(<가디언>)”으로 역사 전체를 살피고 있다.˝

팬데믹에 대한 성찰 그 이후에 대한 전망을 위해서 참고해볼 만한 책이다. 한데 분량이나 무게로 강의에서 읽기엔 어려울 듯싶다. 강의에서가 아니라면 휴가라도 있어야 읽어볼 텐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제트50 2021-11-14 19: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팬데믹 이후의 세상을 그리는 거라면 기후변화에 관한 책을 보는데, 정치경제학은 원래 가까이 안해서^^ 살짝 고민입니다~ 다른 쉬운 책은 없을까요?^^

로쟈 2021-11-14 19:28   좋아요 2 | URL
아시겠지만 책은 많이 나와 있고요, <코로나 사피엔스> 같은 책이 가장 많이 일히네요. 저도 아직 읽진 않았습니다.~

로제트50 2021-11-14 19:32   좋아요 1 | URL
네~ 찾아볼게요 *^^*
 
 전출처 : 로쟈 > 자본주의의 역사와 경제사상사

6년 전 페이퍼다. <경제사상사>도 이른바 벽돌책이군. 매주 10강(12강까지) 이상의 강의를 하면서는 읽을 수 없는 게 또한 벽돌책이기도 하다. 일요일 저녁이 다 돼 가서야 정신을 차리며(강의준비를 서두르며) 갖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 언어학자에 대한 페이퍼는 정말 오랜만인 듯싶다. 책들이 한꺼번에 나와서인데, 일단 <일반언어학강의>(알려진 대로 소쉬르의 이 대표 저작은 사후 제자들의 노트를 편집하여 펴낸 책이다)의 바탕이 된 강의록 3권이 이번에 동시에 출간되었다. 


 














"그린비 크리티컬 컬렉션으로 출간된 <소쉬르의 1·2·3차 일반언어학 강의>(전3권)는 소쉬르가 세 번에 걸쳐 행한 <일반언어학 강의>를 받아 적은 학생들의 ‘필기 원본’을 정리한 판본으로, 바이와 세슈에가 한 권으로 편집/종합한 판본(1916)에 비해 소쉬르의 목소리가 더욱 생생히 담겨 있다."


생생하게 담겨있다고 해도 소쉬르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싶어하는 독자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다. 일단 <일반언어학 강의>만 하더라도 일반교양서로 그렇게 널리 읽히는 것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물론 구조주의와 같은 현대문학이론의 이해를 위해서는 한번쯤 거쳐야 하는 책이지만, 어디까지나 원칙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다).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기억에 세 종의 번역본이 있었고 현재는 최승언판과 김현권판이 살아있다. 3차 강의는 김성도 교수가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로 옮기기도 했다. 
















소쉬르 입문서로는 고 김방한 교수의 <소쉬르>가 있었다. <일반언어학 강의> 해제는 김성도 교수의 책이 나와았고, 최용호 교수의 <소쉬르는 이렇게 말했다>는 기본적인 이해를 갖춘 후에 읽어볼 만한 참고서. 여하튼 이번에 나온 세 권의 강의록은 현대언어학뿐 아니라 인문학의 언어적 전회에 관심있는 독자라면 유혹을 받을 만하다. 


 














프랑스의 걸출한 언어학자 에밀 뱅베니스트의 강의록도 이번에 나왔다(이름은 벤베니스트, 방브니스트로 표기되다가 뱅베니스트로 낙착된 듯). <마지막 강의>. 소쉬르의 책과 마찬가지로 김현권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다. 앞서 나온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도 김 교수의 번역. 나는 예전에 <일반언어학의 제문제>라고 나왔던 책으로 읽었었다.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만 하더라도 전문적인데, 그보다 좀더 '대중적인' 책으로는 <인도유럽사회의 제도 문화 어휘 연구>(전2권)을 꼽을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서구 사유의 기원을 형성하는 인도유럽의 주요 어휘들을 분석한다. 하나의 단어가 어떻게 탄생하였는지, 탄생 후 다른 어휘 및 문화들과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밝히고 있는 이 책은 서구의 문화와 사상의 기원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대단한 박식가와 만나게 해주면서 동시에 독자도 똑똑해진 느낌이 들게 하는 책이다. 

















소쉬르와 뱅베니스트의 책에 대해 적다 보니 문학이론에서는 이들 못지 않게 중요한 러시아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이 생각난다. <문학 속의 언어학> 때문인데, 그나마 나와있던 발췌 번역본도 절판된지 오래 되었다. 더이상 독자가 없다는 말일까? 그렇더라도 이런 '기본적인' 책이 절판된 채 방치돼 있다는 사실은 좀 씁쓸하게 느껴진다. 
















원저는 550쪽이 넘으니 꽤 묵직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의 저명한 정치철학자라고 하지만, 그보다는 철학 교수로 기억하는 오트프리트 회페의 <정치철학사>(길)가 번역돼 나왔다. 정치철학에 대한 강의를 두어 차례 진행한 터라 나로선 영어권 학자들과 다른 관점을 보여주는지가 궁금하다. 















이번에 <정치철학사>가 번역되었지만, 회페 교수는 <철학의 거장들>(전4권) 시리즈의 편자로 이름을 기억하게 된 철학자인데 특히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 전문가다(칸트의 고향 쾨니히스베르크 출생이라고 하니 특별한 인연이기도 하다). 이번 책 소개는 이렇다.


"정치와 관련, 우리 시대를 ‘위기의 시대’라고 진단하면서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서 ‘정치적인 것’의 귀환을 요구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중요한 정치철학자 20여 명을 소개하는데, 단순히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상황 및 문제의식과의 연관관계 속에서, 그리고 시대를 초월하는 특정한 보편성을 읽어내는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미 나와 있는 다수의 정치철학사와 비교해서 읽어봐도 좋겠다. 




























참고로, 서양철학사 대용으로 읽을 수 있는 <철학의 거장들>은 놀랍게도 아직 절판되지 않았는데(20년 전에 나온 책이다) 사실 독자들 사이에서는 번역에 문제가 많다고 알려진 책이다. 내가 구입하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한데, 번역이 개정돼 나올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하다. 그러려면 일단 절판되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