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시에 여러 권의 책을 한꺼번에 읽는 습성이 있다. 필요에 얽매이지 않은 경우에 그런데, 간혹 그런 필요에도 불구하고 만용을 부릴 때도 있다. 차가워진 날씨 때문에 외출을 자제한 어제오늘이 그렇다. 프로프의 <민담형태론>의 서문과 <라캉과 정치>의 서문, 그리고 <스피박 넘기>의 서두 등이 그렇게 읽은 대목들인데, 시간이 나는 대로 정리해두도록 한다. 이 페이퍼는 <라캉과 정치>의 서문에 대한 것이다.

 

 

 

 

원래 서문은 '라캉과 정치를 연관지을 수 있는 가능한 논의를 위한 몇몇 예비 질문들'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데, 부제 자체는 라캉적인 것이다(<에크리>에서 정신병을 다루는 한 장의 제목이 비슷한 식이다). 그걸 페이퍼의 제목으로 삼을 순 없으므로 간단히 '라캉과 정치의 합류점'이라고 해둔다. 저자인 야니 스타브라카키스가 제기하고 있는 것은 '라캉과 정치적인 것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인바, 이 표제에 대한 해제가 서문의 내용을 이룬다.

저자는 먼저, '라캉과 정치'라는 타이틀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의심들을 제거하고자 하는데, 그 의심이란 사회/정치적 심급을 정신분석이라는 개인심리학적 차원으로 환원하려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다. "사회과학자들은 언제나 사회적인 수준 즉 '객관적인' 수준을 개인의 수준, 즉 '주관적인 수준'에서의 분석으로 환원하는 것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심은 정당한 것이기도 한데, 그간에 정신분석학적 환원주의, 곧 사회는 집합적 무의식 또는 초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며 그로 인해 사회를 정신병리적 장애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처럼 다루는 태도는 그간에 오명을 불러왔기 때문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이 인용하고 있는 뒤르켐의 발언은 그리하여 원칙적으로 옳다: "사회현상이 심리현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명될 때마다 우리는아마도 그 설명이 틀렸음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14쪽) 국역본에는 이 발언의 출처가 누락됐는데,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러한 회의론에 맞장구를 치는 이들이 또한 다름아닌 정신분석가들이다. 라캉의 사위이자 상속자 자크 알랭-밀러(*'밀레'나 '밀레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는 이렇게 묻는다: 정신분석가들은 자신들에게 정신분석학적인 관점에서 정치를 말하는 것이 남용인지 아닌지를 자문해 보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분석에 들어서는 것은 고도로 개인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15쪽)

하지만, "정신분석학은 초연한 이론도 고립된 개인에 관한 심리학도 아니며(라캉은 어떠한 형태의 원자론적인 심리학에도 반대하였다), 더더욱 분석주체는 '고독한 방랑자'도 아니다. 왜냐하면 분석주체는 다른 사람과, 즉 분석적 세팅 안에서 분석가와 연결됨으로써만 이 분석주체가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분석주체'는 'analysand'의 번역어이며, '환자' 곧 '피분석자'를 가리킨다. 분석적 세팅 안에서 피분석자가 갖는 능동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라캉주의 정신분석에서는 '분석주체(analysand)'라고 부른다. '분석가'는 물론 'analyst'를 가리킨다. 그리고 밀러 자신이 분석에서 이 양자간의 관계를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적 결속'이라고 불렀다. 프로이트 자신이 정신분석학적인 사회-정치적 분석 작업을 다양하게 남겨놓기도 했고(<환영의 미래>나 <문명 속의 불만>, <왜 전쟁인가> 등은 대표적이다).

라캉에 따르면, "프로이트는 자신의 영감과 사유방식, 그리고 자신의 기술의 무기고를 이와 같은 연구들에서 찾아내었다. 그는 또한 이것들을 정신분석학 교육의 조건으로 만드는 것은 불필요할 정도로 과잉된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16쪽)

참고로, 마지막 문장의 원문은 "But he also regarded it as a necessary condition in any teaching of psychoanalysis."이다. "하지만 그 역시 이것을 모든 정신분석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조건으로 간주했다"라는 '평이한' 내용 같은데, "그는 또한 이것들을 정신분석학 교육의 조건으로 만드는 것은 불필요할 정도로 과잉된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라고 불필요할 정도로 복잡하게 옮겨진 이유는 모르겠다. 인용의 출처는 쉐리단의 <에크리> 영역본인데, 설마 이후에 나온 핑크의 완역본 <에크리>를 참조한 탓일까?(역자는 후기에서 핑크의 번역본도 참조했다고 적어놓았다.)

 

 

 

 

여기서 프로이트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는 게 유익하겠다: "사회학은 심리학이 사회속에서의 사람들의 행동을 다루는 것과 같이 (...) 사람들의 행동을 다루기 때문에, 사회학은 응용심리학 이외의 다른 어떤 것도 될 수 없다. 엄격히 말해서 두 개의 과학만이 있을 뿐이다. 심리학, 즉 순수심리학과 응용심리학 그리고 자연과학."(17-8쪽) 재인용의 출처는 <새로운 정신분석강의>이다.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이라면 이 심리학마저 사회생물학에 '통섭'된다고 말할 법하다.

하지만 "라캉은 정신분석학적인 사회분석의 설득력과 정당성에 관해서는 프로이트와 의견을 같이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강한 '환원주의적' 접근방식에는 동의하지 않았다."(18쪽) 대신에 라캉은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사이에서 존재하는 쌍방향의 운동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결과 그가 제시하게 되는 것인 새로운 주체성의 개념이다. '개인으로 환원되지 않는 사회-정치적인 주체성 개념'.(이에 대한 설명이 책의 1장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라캉의 이론이 중요한 것은 정신분석학과 사회-정치 분석 간의 진정한 함축 또는 상호함축을 허용한다는 점이다."(20쪽) 그리고 이러한 주체성 개념으로부터 객관성(객관적인 수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제안된다(이에 대한 설명이 2장이다).

잠시 덧붙이자면, 책의 1장 '라캉의 주체'에 대해서는 저자도 참조하고 있는 브루스 핑크의 <라캉의 주체(The Lacanian Subject)>(1995)가 필독서이다. 이 책의 국역본은 올 상반기에 나올 예정인 것으로 안다. 스타브라카키스의 보다 중요한 기여는 따라서 2장 '라캉의 객체'에서 찾아진다(물론 이 대목도 지젝의 저작들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간취할 수 있다. 스타브라카키스는 보다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을 따름이다, 라고 나는 생각한다).

저자의 문제제기에 이어지는 내용은 소위 '애로사항'이다. 라캉과 정치적인 것의 합류점을 사고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미리 짚어보고 있는데, 첫번째 문제는 "라캉의 담론의 복잡성과 그의 바로크적인 복잡한 문체와 관련이 있다."(22쪽) 사실 라캉에 대한 많은 비난이 바로 이러한 모호한 그의 문체적 스타일에 집중되어 있기도 하며, 영화 <지젝!>에서 지젝은 이러한 수사적 제스처를 과감하게 배제하고 라캉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것이 자신의 임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라캉은 "청중들 속에서 새로운 독해 문화를 배양하기로 결정했던 것 같이 보인다 - 그의 텍스트는 바르트식으로 말하자면 쓰여지는텍스트이지, 읽혀지는 텍스트가 아니다."(23쪽). 여기서 '바르트식으로 말하자면'은 역자가 삽입한 것이다. 그것은 '쓰여지는 텍스트(writerly text)'와 '읽혀지는 텍스트(readerly text)'란 말의 출처가 롤랑 바르트라는 것을 친절하게 보충해준다(나의 친절은 22쪽에서 'Lacan in Samuels'의 's'가 탈자되었다고 보고하는 정도이다). <문제적 텍스트 롤랑/바르트>(앨피, 2006)에서 이 두 용어는 각각 '작가적 텍스트'와 '독자적 텍스트'로 옮겨졌는데, '작가적 텍스트'란 텍스트의 의미지평이 열려 있어서 독자로 하여금 뭔가를 계속 끄적거리고 싶도록 만드는 텍스트이다.

여하튼 이러한 어려움을 낳는 라캉의 스타일을 저자는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라캉의 담론이 지닌 모호함은 사실상 모든 독자에 대한 도전이며, 받아들여져야만 하는 도전이고, 떠맡아야만 하는 어려움이다. 왜냐하면 그의 담론의 비환원적인 모호함과 비결정성을 인정할 때에만 우리는 라캉의 담론을 가지고 작업할 욕망을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라캉이 우리에게 건네는 도전이다."(24쪽)

노파심에서 덧붙이자면, 인문 번역서를 읽을 때 '비환원적인 모호함' 같은 표현에 주눅들면 안된다. 예상할 수 있는 것이지만, '비환원적'이란 말은 'irreducible'의 번역이고 이 단어는 '더 이상 단순화할 수 없는' '더 이상 약분할 수 없는'[수학] 등의 뜻을 갖는다. 수학에서의 의미가 여기서는 이해에 더 용이하겠다. 라캉의 담론이 (보기엔 굉장히 크고 복잡한데) 더이상 약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 즉 그 모호함이 더 이상 축소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사실이 거꾸로 우리에게 라캉을 읽고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설명하고 싶다는 욕망을 부추긴다는 얘기이다.

모호함을 의도적/적극적으로 창출해내는 라캉의 수사적 전략은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라캉주의 문헌 속에는 라캉 담론의 복잡함을 모방함으로써 재생산되는 몽매주의자들의 비체계주의적인 전통이 존재하며, 다른 수준에서는 라캉이 비판했던 자아-심리학의 문제가 존재한다"(25쪽)는 지적은 그래서 나온다. "만약 라캉의 전략이 전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입증된다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이다." 이 마지막 인용문도 모호한데, 우리말로는 전체부정으로 읽히지만 의미는 부분부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라캉의 전략이 전적으로 성공하못한 것으로 입증된다면" 정도가 적합하지 않나 싶다(그러니까 그것이 절반의 성공에 머문 이유는 이런 때문이다, 란 뜻이다).  

"라캉의 담론 상태와 관련된 두번째 어려움은 라캉의 개인적인 문체에서 비롯될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라캉 담론의 급진적인 발전에서도 비롯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라캉의 저작에서는 '라캉에게 맞서는 라캉 Lacan contra Lacan'이라는 투쟁적 계기는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26쪽)

그러니까 라캉은 시작부터 체계적이고 완전무결한 자신의 이론을 제시한 게 아니었고, 조금씩 수정하고 대체하고 방점을 이동시키는 식으로 그의 이론을 발전시켜나갔다. 그래서 우리가 접하게 되는 것은 다면적 얼굴의 라캉이며, 때로 이 라캉'들'은 서로 충돌하기도 한다. '라캉 vs 라캉'이란 표어가 억지가 아닌 것이다(라캉에 대한 국내의 많은 비판은 대개 이런 점들을 간과하거나 과소평가한다). 일반적으로 라캉 이론의 진화는 상상계 --> 상징계 --> 실재계로 방점이 차츰 옮겨간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라캉 자신이 이 세 등록소(register) 혹은 초점이 순차적인 것이 아니라 병행적인 것이었다고 주장한다('이론가'라면 다들 그렇게 말하고 싶어할 것이다). "그의 견해에 따른다면, 그가 (*1940년대에) 상상계에 두었던 이론적 무게만큼 다른 차원에 동일한 무게를 두지 않았던 이유는 그 당시 청중들이 상상계 차원을 아직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27쪽) 

인용문에서 '상상계 차원'은 원문에서 그냥 대명사 'it'이다. 독자의 편의를 위해서 역자가 '상상계 차원'이라고 바꿔놓았는데, 내 생각에 이 번역서에서 드물게 만날 수 있는 오역인 듯싶다. 전후맥락은 이렇다.

"Lacan argues, for instance, that references to the role of the signifier were present in his discourse and his papers from the 1940s - the same applies to the concept of the real which is already present in his first seminars. The reason he didn't invest these demensions with th same theoretical weight that he did with the imaginary is, according to his view, that his listeners were not yet ready to accept it at that time."(6-7쪽)

기표의 역할에 대한 강조는 다르게 말하면 '상징계'에 대한 강조이다. 내가 보기엔 이 두 문장엔 라캉과 스타브라카키스 두 사람의 주장이 겹쳐 있다. 확실하진 않지만, 나의 심증으로 "references to the role of the signifier were present in his discourse and his papers from the 1940s"라고 지적한 건 라캉이고, 같은 논리를 적용하여 "the same applies to the concept of the real which is already present in his first seminars."라고 덧붙인 건 스타브라카키스이다. 그리고 다음 문장에서 라캉의 발언을 옮긴 "his listeners were not yet ready to accept it at that time"에서 'at that time'은 1940년대를 가리킨다. 그러니까 '거울단계'를 핵심으로 한 '상상계'에 대한 이론정립에 골몰하던 1940년대에도 라캉은 '상징계'를 언급했지만, 더 발전시키지 않은 것은 청중들이 그것(상징계)을 수용할 준비가 안돼 있었다는 것.

스타브라카키스는 이러한 변호가 상징계-실재계에서도 반복된다고 덧붙인다. 즉, 1951년의 첫번째 세미나에서도 '실재계'란 말은 등장하지만 라캉은 더 발전시키지 않았다. 왜? 청중들이 아직 그걸 받아들일 만한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아마도 역자는 'it'가 단수이기 때문에 앞에 나오는 'the imaginary'를 받는 걸로 보았을 텐데, 내가 보기엔 의미상 'these demensions'를 받아야 한다. 라캉에게는 '상징계'만을 뜻했을 'it'이지만 두 가지 사례가 포개져서 'these demensions'(상징계와 실재계)가 된 것이 아닌가라는 게 나의 판단이다.

라캉을 읽는 어려움이야 다 말할 수도 없겠다. 그저 독자로서의 마음가짐을 다잡는 도리밖에: "라캉의 독자들 모두에게 제기되는 도전은 라캉의 사유의 복잡함을 특정한 층화작용으로 환원함 없이 그리고 재현 안에서의 실재의 흔적으로 보전되어 있는 비결정성을 봉합함 없이 자기 자신의 독해를 구성하는 것이다."(28쪽)

'특정한 층화작용'이라는 건 침전시켜서 걸러낸다는 것인데, 알맹이들만 골라낸다는/환원한다는 의미겠다. 비결정성을 봉합한다는 건 제거하거나 무시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쉽겠다. 요는 그 복잡함과 비결정성을 보존하면서 자신의 독해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

"간단히 말하자면 우리는 모방이 아니라 최종적인 라캉을 추구하지 않는 실재적인 해석을 필요로 한다... 즉, 라캉적인 실재계의 구성력에 우리는 집중할 필요가 있다." 원문 역시 간추리면, "Simply put, instead of imitation we need interpretation, an interpretation which is not searching for the real definitive Lacan... and chooses to concentrate on the constitutivity of the Lacanian real..."(7쪽) 

역자의 '해석'이 많이 반영된 대목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우리는 라캉을 모방할 것이 아니라 해석해야 한다. 그때 우리가 필요로 하는 해석은 라캉의 어떤 고정적인 실체를 찾는 작업이 아니라 (의미작용의 확실성을 교란시키는) 라캉적 실재(계)의 구성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어야 한다. 표상되지도 환원되지도 축소되지도 않는 '라카니언 리얼'에 언제나 유의해야 한다는 당부이겠다.

이 서문의 마지막 대목은 라캉에 관한 '전기적 스케치'이다. 그건 그냥 읽어보면 되겠다. 그 이전에 저자는 라캉 읽기의 어려움이 어떤 보상을 가져다줄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그게 또한 독자의 마지막 몫이어야 하겠다.

"최근의 유토피아 정치의 위기는 실망과 정치적 염세주의의 원인이 되는 대신에 조화와 환상의 윤리학이 부과한 구속으로부터 우리의 정치적 상상력을 '해방'시킬 기회를 창조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에 대한 적대감, 네오파시즘, 민족주의적 배타주의와 근본주의가 다시금 그들의 추한 얼굴을 드러내고 있는 시대에 정치적인 상상력의 민주주의적 잠재력을 보다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라캉의 이론은 이러한 정치적 '해방'의 촉매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정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비-근거적인(*비정초적) 윤리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34-5쪽, 강조는 나의 것) 

07. 01. 07 - 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사동에 들렀다가 종각역 지하의 반디앤루니스에 처음 들러보았다. 역시나 익숙한 매장이 아니어서 책들을 둘러보는 일도 좀 어색했는데 인문서 신간 매장에서 우연히 애니 스타브라카키스의 <라캉과 정치>(은행나무, 2006)가 출간된 걸 보았다. 이미 지난번에 숀 호머의 <라캉 읽기>가 출간되었을 때 근간으로 예고된 것이긴 하지만 이렇게 빨리 출간될 줄은 몰랐다. 사실 원서 자체는 지난 1999년에 나온 것이므로 번역/소개 자체가 발빠르게 이루어진 건 아니지만(저자가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라캉의 정신분석>도 바로 나오는 것일까?).

 

 

 

 

<라캉과 정치>라고 옮겨졌지만, 역자의 해명대로 원제는 '라캉과 정치적인 것(Lacan and the political)'이며, 작년에 나온 폴 패튼의 <들뢰즈와 정치>(태학사, 2005)와 같은 시리즈의 책이다(참고로, 원저는 188쪽 분량이지만 국역본은 459쪽이다. 2배 이상 부풀려진 셈인데 그나마 가격마저 부담스러운 건 아니어서 다행이다). 현재까지는 이 두 권만 소개됐지만, 루틀리지출판사에서 나오고 있는 이 시리즈에는 이미 <푸코와 정치>, <데리다와 정치>, <니체와 정치>, <하이데거와 정치>, <레비나스와 정치> 등 여러 권이 출간 목록에 올라와 있는 상태이다(나도 몇 권을 더 갖고 있다). 시리즈의 공동편집자는 <싹트는 생명>(산해, 2005)의 저자인 워윅대학의 키스 안셀-피어슨과 에섹스대학의 사이먼 크리칠리 교수이다. 각각 니체-들뢰즈, 데리다-레비나스 전문가로서 유명하다.

 

<라캉과 정치>의 저자인 야니 스타브라카키스 또한 에섹스대학 출신으로 급진적 민주주의론으로 유명한 어네스토 라클라우의 제자이다('Essex' 를 국역본의 필자소개에서는 '에식스'라고 표기했는데, 원래 발음이 그러한 것인가, 아니면 '에섹스'의 '어감' 때문인가? 뒷표지에도 '슬보예 지젝'을 '슬보예 지젝"이라고 오기했는데, 이것도 발음 때문일까?). 이름이 좀 희한한 것은 그리스 출신이어서이다(왜 있잖은가, '니코스 카잔차키스' 같은 이름). 

라클라우의 제자란 말은 단순한 사실 이상으로 이 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 책은 라캉의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하고 완벽하게 설명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현재의 사회-정치 현상 연구에 적용하려는 지금까지의 시도 중 가장 혁신적이고 가장 통찰력 있는 시도이다."라는 라클라우의 찬사를 뒷표지에 싣고 있어서만은 아니다. 스타브라카키스는 자신의 스승이자 동료인 라클라우/무페의 급진적 민주주의의 토대를 라캉 정신분석학의 윤리 속에서 발견하고 있으니 라클라우로서는 어찌 대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말이 나온 김에 언급하자면, 라클라우와 무페의 공저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Verso, 2001, 2판)은 적어도 이 책 <라캉과 정치>와 같이 읽거나 미리 읽어두어야 하는 책이다. 책은 지난 1985년에 197쪽 분량으로 초판이 나왔었는데, <라캉과 정치>가 출간된 이후인 지난 2001년에 240쪽 분량의 증보된 2판이 출간됐다. 국역본은 <사회변혁과 헤게모니>(터, 1990). 물론 품절됐다. 한때 '포스트-마르크스주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문제적인 저작인데, 나는 민주주의론에 관한 책으로 이보다 더 재미있는 책을 읽어본 기억이 별로 없다(물론 내가 읽은 게 몇 안되지만). 어정쩡한 제목이 아닌 제대로 된 제목을 달고 조만간 복간되었으면 한다.

 

 

 

 

정리하자면, <라캉 읽기>와 <사회변혁과 헤게모니> 두 권 정도는 <라캉과 정치>보다 먼저 읽어두는 게 좋겠다(예비적인 읽기가 전제되지 않으면 책읽기가 더뎌질 수 있다). 그리고 나중에 읽어야 할 책은 지젝의 <이라크>(도서출판b, 2004).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Verso, 1989)을 통해 지젝이 '데뷔'할 때 후견자 역할을 하면서 서문을 써준 이가 라클라우이며 지젝은 당시만 해도 (급진적)민주주의론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했었다.

하지만 이후에 지젝은 점차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적인/비판적인 입장으로 선회하게 되며(최근의 영화 <지젝!>에서 지젝은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에서 내비친 자신의 정치적 입장이 '창피한 것'이었다고 털어놓는다), 당연한 일이지만, 라클라우와의 이론적 동반자 관계가 이론적 긴장관계로 전이된다. 이러한 이론적 긴장을 가장 잘 드러내주고 있는 대목이 (내가 읽은 한도 내에서는) <이라크>의 2장(원서에서는 부록1)에 포함돼 있다. 그걸 읽어봐야 한다는 것이다(샹탈 무페의 <민주주의의 역설>(인간사랑, 2006)과 발리바르의 <민주주의와 독재>(연구사, 1988)를 참고문헌으로 덧붙일 수 있겠다).    

그리고 바로 그런 맥락에서 라클라우-스타브라카키스와 지젝은 이론적 전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전선'은 라캉의 해석을 둘러썬 전선이다. 라클라우와 함께 지젝이 이 책의 (뒷표지에서) '추천사'를 쓰고 있는 것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는 이렇게 적었다: "<라캉과 정치>는 명확하고 체계적이며 이해하기 쉽게 저술되었으며, 라캉의 정신분석학이 정치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즉 라캉의 정신분석학이 급진적 민주주의의 입장을 단호하게 보증해주는 정치적인 것에 관한 이론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스타브라카키스의 책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쟁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 그 이상이다. 왜냐하면 이 책은 논쟁의 용어들을 재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쟁'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나는 라클라우와 지젝 간의 '논쟁'으로 다시 이해해보고자 하며, 그래서 제목을 '라클라우-라캉-지젝'이라 붙였다. 여기서는 논쟁의 구도만을 제시할 따름이고 그 내용은 차후에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당장 <이라크>의 국역본이 어디에 처박혀 있는지 보이지 않는군). 사실 이 구도는 역자가 이 책의 의의를 거론하면서 해설에서 잘 짚어주고 있기도 하다.

"우리는 이미 지젝의 <이라크>를 통해서 이 책과 지젝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강이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아마도 논쟁점은 급진적 민주주의 기획과 정치경제학과 계급 적대를 유지하고자 하는 기획 사이의 논쟁일 것이며, 라캉의 윤리학과 급진적 민주주의 간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일 것이다."(430쪽) 책은 "이들간의 논쟁점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이해의 발판을 마련해준다."

이것이 내가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며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구도이다. 물론 책은 언제나 돌발적인 '발견', 우연한 마주침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책읽기는 정해진 경로만을 따라가는 것은 아니다. 그 '긴장'이 물론 독자의 즐거움인 것이고...

07. 01. 05 - 06.

P.S. 내가 갖고 있는 이 책의 원서는 언젠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손수 복사한 것이다. 이 책에서도 자주 참조되고 있는 라쿠-라바르트와 낭시의 공저 <문자라는 타이틀(The title of the letter)>과 함께 복사해서 (비용절감을 위해) 합본으로 제본했었다. 이 책을 만지고 있자니 어느 해 겨울 도서관의 공기가 느껴진다. 나는 하루에 서너 시간씩 수십 권의 책들을 그렇게 복사하곤 했다(스프링 제본을 해주던 아저씨와 안면이 생길 정도로). 그렇게 다 발품과 손품을 판 책들이라 애착을 가는 것. 어제 복사물 더미에서 책을 찾으니까 '서문' 정도를 읽은 것으로 표시돼 있다.

Cover: Language in Literature

원서를 찾자마자 가장 먼저 들춰본 페이지는 야콥슨의 은유와 환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대목이다. 국역본을 뒤적이다가 "은유와 환유는 그림(야콥슨에 따르면 큐비즘은 환유적인 반면에 사실주의는 은유적이다), 영화, 스토리텔링, 그리고 심리적 과정까지 포함하고 있는 모든 기호학적 체계의 형식 속에서 발견될 수 있었다"(150쪽)라고 한 대목이 아무래도 오역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사실주의가 은유적이라니?). 한데, 찾아보니 원서에서도 "according to Jakobson, cubism is metonymically oriented while  realism is metaphorically oriented"(58쪽)라고 돼 있는 게 아닌가. 

저자가 참조한 책은 야콥슨의 'Essays on Language of Literature"(1998)인데(이건 아테네에서 출간된 책이다! 국역본의 참고문헌에는 'Essay on  Language of Literature'로 탈자가 있다. 한가지 더 꼬집자면 '내어쓰기'를 하지 않은 참고문헌을 어떻게 읽으라는 것인가? 편집자의 기본 혹은 성의가 부족해 보인다), 보다 대중적인 판본은 하버드대출판부에서 나온 'Language in Literature'(1987)이고 우리말로는 <문학 속의 언어학>(문학과지성사, 1989)으로 번역됐었다(완역은 아니다. 이왕 품절된 김에, 완역본이 재출간됐으면 싶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기에 들어 있는 '언어의 두 양상과 실어증의 두 유형'(이 책엔 '언어의 두 가지 측면과 실어증의 두 유형'이라 옮겨진)이란 고명한 논문이 참조 대상이다.

아테네에서 나온 판본에는 뭐라 적혀 있는지 모르겠지만(<문학 속의 언어학> 또한 당장 옆에 있지 않아서 참조할 수 없지만) 인터넷을 뒤져보니 아무래도 저자가 'surrealism'을 'realism'으로 오기한 듯싶다. 이 상식에도 맞지 않는 내용이 루틀리지의 편집자에게 걸러지지 않았고 국역본의 역자나 편집자에게도 간과된 것. 해서 교정된 번역은 "야콥슨에 따르면 큐비즘은 환유적인 반면에 초현실주의는 은유적이다"가 되어야겠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oonta 2007-01-06 0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것쯤 빨리 완성해주세염..로쟈님^^ 제목만으로두 벌써 무슨 내용일찌 기대가 되는군용. 라캉과 정치두 몇일전 주문 했으니 내일쯤이면 받아볼수있을것 같구 ^^

로쟈 2007-01-06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어제 우연히 책을 사게 됐습니다. 집에 돌아와서 원서도 다시 찾아놨으니까 시간만 내면 되겠네요. 한데, 견적은 좀 나올 거 같습니다.^^

2007-01-06 2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쟈 2007-01-06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영화의 자막파일은 제가 갖고 있는데(최종본은 아닙니다. 교정이 더 필요한 대목이 있어서), 이게 프린트아웃이 안됩니다(혹은 제가 못하는지도 모르겠지만). 영화를 볼 때는 자막생성파일를 통해서 불러들여 실행해야 하구요. 재미동에 비공식적으로 DVD 카피본을 구할 수 있는지 한번 문의해보시길. 혹은 자막생성파일을 갖고 계시다면 자막은 이메일로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2007-01-06 23: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01-07 01: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디스 2007-01-08 1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팅만 하다가 첨으로 글을 남기네요...;; 로쟈님 안녕하세요...;;

지젝! (Zizek!, 2005) 영상 파일을 찾고계신 분이 있는 것 같아 올려봅니다. 이 영화 DVD를 국내에선 구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요. 토렌트(P2P 방식 파일공유 프로그램, 네이버에서 검색하시면 프로그램 다운방법과 사용방법을 알 수 있을 겁니다)에 영상 파일이 있습니다. 지젝이 쓴 글들과 지젝에 대한 글들 그리고 야니 스타브라카키스의 'Politics and Religion'도 pdf파일로 올라와 있습니다...;;

http://www.torrentz.com/search?q=Zizek%21

2007-01-08 19: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쟈 2007-01-08 2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보내드렸습니다...

기인 2007-03-05 0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 오옷 라깡 역시, 다시 봐야 겠군요;;

2009-08-25 08: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지젝과의 흥미로운 인터뷰 기사가 눈에 띄길래 옮겨온다. 'Exchange'에 게재된 것인데, 일자는 표시돼 있지 않다. 지젝에 관한 유익한 정보들을 알려주는 끝부분의 Zizek Picks도 흥미롭다(이미지는 내가 붙인 것이다).

On Culture and Other Crimes:

An Interview with Slavoj Zizek

By Kerry Chance
Anthropology
University of Chicago

Slavoj Zizek, psychoanalytic philosopher and cultural critic at the Institute of Sociology in Slovenia, has taught all over the world, most recentl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is first public lecture at Chicago, entitled "The Ignorance of Chicken, or, Who Believes What Today", looked every bit the rock show. Crowds stretched across the main campus quad, a 'merch' table featured his latest book The Parallax View, and as the lecture began with crowds still waiting outside, people climbed through the windows of the packed auditorium. While at Chicago, Zizek also taught a seminar as the Critical Inquiry Visiting Professor on topics ranging from Lacanian ethics, political correctness, habit in Hegel, the Big Other, Stalin, theology, politics and the role of the intellectual. Zizek has written innumerable articles and is the author of more than fifty books, including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The Ticklish Subject, Did Somebody Say Totalitarianism?, On Belief and Welcome to the Desert of the Real?o name just a few that have contributed to his widespread popularity in and outside the academy. Here, Zizek speaks to Exchange about culture, Lacan, cognitive science, neoliberalism and projects for contemporary anthropology.

I.

Chance: In class and in your public lectures here at Chicago, you've frequently talked about culture and have done so in two ways: first, in terms of belief as you have theorized it in your earlier work, and secondly in terms of Hegel's notion of habit. How are you thinking culture in Lacanian terms?

Zizek: Traditionally, Lacanians like to identify culture simply as the symbolic system, within which there is a linguistically limited horizon of meaning, but I think two things should be added.

First, what is for me the zero-sum of culture, if I improvise, is what to do about embarrassing excesses. When somebody does something embarrassing, burps after eating for example, culture is how you react to it in a polite way. To be very vulgar, all seduction rituals are the cultured way of dealing with the fact that people would like to copulate with each other. Now, someone will say, "wait a minute, to feel something as embarrassment, culture must already be there." No, I don't think so. Somehow, embarrassment is first. In other words, we have to presuppose an excess, again, embarrassment apropos of something disgusting, non-social, or an excess of obscenity or enjoyment.

So again, this would be the first specification: to put it in bombastic Lacanian terms, first the excess of the real, embarrassment, shock - and culture is how you deal with it. This is why Lacan in a nice, tasteless way put it that one measure of the passage from the animal to the human kingdom is what to do with shit. He always liked this example, that an animal by definition just shits wherever, for humans shit is always an embarrassment. It always amused me when I was a boy that, at circuses, you have animals, horses and especially elephants that take a big shit and usually you see people hidden behind them ready to make the shit quickly disappear. Animals don't care. The problem with humans is what to do with this embarrassment.

The second thing that interests me, which is a much more concrete historical analysis, is why there is such an obsession with culture today. Why is it that today not only do we have culture studies but everything - and by everything I mean at least the humanities and for some people even the hard sciences - has become a subspecies of cultural studies? In the hard sciences, people will say following Thomas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ir history is the history of culture, of paradigm shifts and so on. Everything becomes culture.

Chance: How is this linked to your notion of belief?

Zizek: Again, this is linked to my notion of belief, to the idea that something is changing in the status of belief. Today, the predominant form is a belief that culture is the name of a belief, which is no longer taken seriously. Culture means, for example, I am a Jew, and although I don't think there was a stupid god coming down and shouting some stupid things to people on Mount Sinai, I nonetheless say out of respect for my lifestyle or whatever, I don't eat pork. This is culture.

To complicate things even further, I think two traps should be avoided here. Among other things, I have tried to focus my work on one of these traps in the last few years. First, it is too simple to say, "does this mean once before people were taking culture seriously." No. Not only conservatives, but even progressives like to criticize the present, evoking, "oh, but once it was different, things were more authentic." No, it wasn't. It is not that before people did believe. If anything, they believe more today. It's just that the modality of distance was different. Before, it wasn't a matter of belief. Rather, it was a feeling of being more attached to, and having more respect for, the power of appearance of ritual as such. Something changed today at that level, I think. So paradoxically these external signs of belief - "nobody takes anything seriously" - if anything, points to how it's more difficult today for us to trust the symbolic ritual, the symbolic institution. But again, there is no time when people 'really meant it.'

What I know from anthropology, I may be wrong, is that all the great errors started with a phenomenological evolutionary illusion. I think when researchers found a certain gap between reality and beliefs or between form and content, they always thought, "ah, we have a later descendent state of evolution, there must have been some point earlier when people meant it." The dream is that there was an original moment when people really 'meant it.' An example I know from my Marxist past, in anthropology you must know him from the 19th century, Lewis Henry Morgan. I remember from my youth that Engels among other classical Marxists relied on him. Morgan found that in some tribes all the men in one tribe referred to the women of the other tribe as their 'sister wives.' From this he deduced, that this is the linguistic remainder of some primordial form of marriage. The incest prohibition already in place, you were not allowed to have sex with women in your tribe, but only with the women in another tribe. The women were exchanged in a block, collectively. It was basic incest, but regulated. The way I heard it, anthropologists later proved that there never was this nice regulated collective orgy. That is to say, the wrong conclusion was that from this name 'sister wives' you conclude that there was a point when it was really meant. No, the gap is here from the very beginning.

What fascinates me in this example also is the logic of institution. By institution, I mean how, in order for something to function as a belief, you cannot simply say, "okay, let's pretend." In my book, I think the Ticklish Subject (Verso, 1999), I have a wonderful anecdote, which for me again tells about what culture is as an institution. It is a crazy story about elections some fifteen years ago in my country, Slovenia. An ex-friend of mine, who was a candidate told me - okay, he had to do these democratic games like kissing the asses of local constituents - an old lady came to him and said if he wanted her vote he would have to do her a favor. She was obsessed with the idea that something was wrong with her house number (number 24, not even 13), that this number brings misfortune. There was a burglary twice, lightning struck the house, and she's convinced that it's because of the number. She said, can she arrange with the city authorities to change the number, to 23a or something, just not 24. He said to her, "But lady, why even go through all this mess? Why don't you simply paint a new number and change it yourself?" She said, "No, it must be done properly." Though it was only superstition, to be effective it must be done properly through the institution. The must be a minimum reification to take the game seriously.

Chance: Is this a project for anthropology?

Zizek: This returns to another aspect of your question. That is, another lesson of all these notions of culture is the irreducibility of alienation. We should abandon this old phenomenological - and for some people, Marxist motive - that every institutionalization means reification in two directions, the past and the future. For the past, it is the idea that we should try to reconstitute a moment when it was not alienated, when it was 'meant seriously.' For the future, it is to isolate the moment, to dream or to work toward the moment when this transparency and authenticity of meaning will be reinstalled. No, we should also see the liberating aspect of it.

To return here to what I know of anthropology, when anthropology about half a century ago shifted from "let's observe the mating rituals in Southern Samoa or South Pacific" or whatever, to focusing on our daily life rituals. You remember Florida, the scandal elections and the first Bush victory. A guy somewhere from Africa wrote an article imitating that sort of journalistic report, you know, an enlightened Western journalist goes to Africa, where they allegedly have some election and he mocks the election, "ha, ha, what corruption." Well, this guy wrote about Florida in the same way, saying there are votes disappearing, the brother of the candidate is the local government, you know, describing Florida as a provincial Banana Republic case of cheating. It was a wonderful result. It was anthropology at its best.

I think this is what interests me, the anthropology of our lives. Not only is this a politically correct procedure - in this exceptional case, I use the term 'politically correct' in a positive way - but also I find it always a subversive procedure. The starting point is always the implicit racism of the anthropologist: you look at a foreign culture, you study them with this detachment, "oh what strange rituals" and so on. The phenomenological humanist temptation would be to say, "No, in this engaged participating fieldwork, we should immerse ourselves, become one of them to really understand them." This series of presuppositions we should reject. What does it mean that we should be one of them to understand them? They usually don't understand themselves - isn't it the basic experience that people as a rule follow rituals that are just a part of tradition, which they themselves don't get? I think the anthropology of our lives is the true breakthrough from this implicitly racist attitude of studying the eccentricity of others, to adopt the same view of ourselves. It is much better as a double alienation.

This is connected to another central motive of my work, this obsession with not only rules but also habits, which tell you how to obey or disobey rules. Especially social prohibitions never mean what they appear to mean. This is an incredibly wealthy topic of ideology for contemporary anthropology. Why is it so important? Precisely because we live in an era of so-called post-ideology. I claim that at precisely this level, ideology has survived.

My interest in anthropology, what always fascinated me was people never mean what they say and in order to be a part of a culture you have to get this gap. There is an important role of obscenities here. Let me tell you a comic adventure. This weekend, I was with Fred Jameson at Duke and there Fred invited an old, very distinguished Argentine gentleman - I will not tell you the name it's too embarrassing - because of my wife, who is also Argentinean. This gentleman, you would be afraid of using the f-word in front of him, so I said to myself, okay, can I make him say something dirty? And I did seduce him, you know how? The specificities of Argentine Spanish are very different from say Venezuelan Spanish or Mexican Spanish. So, I told him how I tried to learn Spanish, and then I made my first step into obscenity. I told him I knew the word 'cojo,' which in Spanish simply means 'to catch' something, like "how do I catch a taxi?" Now, this word will be important because I told him I heard somewhere in Argentina there is a series of jokes, where a stupid Spaniard comes to Argentina and asks, "Where do I catch a taxi?" In Argentinean Spanish, 'catch' here means the f-word. Then, the distinguished gentleman smiled briefly and I saw that he knew a really dirty example. And I like it how he broke down. After two or three minutes, he broke down and said, "It's against my nature but I must tell you Argentines have an even more dirty joke..." which is that a Spanish guy says, "How do you catch a cab?," which means to fuck a taxi, and the Argentine says, "Well, the only practical way I can imagine is the exhaust pipe." I was so glad that this distinguished gentleman, that I made him say this joke. For me, this is culture. For me, it is not a violation, but the closest you can get to authentic communication.

II.

Chance: I wanted to talk about Lacanian ethics and about Lacan's injunction to be consistent with your desire -

Zizek: The thing about Lacan's injunction is what if your desire is not consistent? In other words, the way I read Lacan is that more and more in his late work he devalues desire, desire itself as not an ethical category. The Lacan of the fifties and sixties, it is the ethics of desire to not compromise your desire. But later, more and more he emphasizes that desire is a priori something hypocritical, inconsistent. In this sense, desire mostly thinks with a secret code that you will not get, the whole economy is to avoid the realization of desire, which is why Lacan understood that fantasy is a realization of desire. He doesn't mean realization of desire in the sense of getting what you desire, like I want to eat strawberry cakes and I in the fantasy imagine myself realizing it. For Lacan, it is to stage a scene where that desire as such emerges. What would be a nicer example, let's say I have a desire to eat strawberries but as always with desires, you have this suspicion, what if I will be disappointed. A fantasy would be, for example, I am there sleeping and somebody brings me strawberries, then I taste one, then I stop and it goes on. This 'going on' - I never fully have the strawberries - is fantasy. You don't realize desire - getting your dirty mouth full of strawberries - you just stage this scene on a pleasant, hopeful state of desire, on the verge of satisfaction but not yet there. There is a pleasant obstacle preventing it all the time. This is fantasy.

Chance: How does this ethical injunction, both in the early and late Lacan, play out in the political realm, specifically thinking about it in relation to the cartoon depictions of Mohammad, a debate that opposed unlimited freedom of the press to respect for the other?

Zizek: Do you see the piece I wrote - not in The New York Times, which was censored - but "Antinomies of Tolerant Reason"? (See HYPERLINK "http://www.lacan.com" www.lacan.com)

You know, many leftists were mad at me there. They thought I made too many compromises with Western liberals, too much anti-Muslim compromise. But the reason I did it was that I got a little bit sick and tired with these politically correct Western liberals - didn't you notice this hypocrisy? I noticed it was the same people, who in the West are so sensitive - like I look at you and it already can be harassment - and all of sudden, they say it is a different culture, blah, blah, blah. I hate that even some feminists now are turning to culture as one of the standard defenses of Islam. In the West, we at least have formal equality of women. I am very sorry but there, you have a culture, at least in the predominant mode that is so openly anti-feminine. My god, but they are openly doing what we here are trying to unearth as the anti-feminism beneath the emancipated feminine. My god, are we now even prohibited from stating the obvious?

Do you know this famous, eternal politically correct example of clitoridechtomy? This example is not Islam - it is a ritual independent of Islam. But I remember some Muslim women claiming: isn't it that in the West in order to be attractive to men, women have to remain slim, seductive; isn't this a global clitoridechtomy; isn't it much worse? There, it's only the clitoris, here, it's as if your entire body is clitoridechtomized. I hate this - I remember when I was a youth what the facts were about the Gulag. People would say: but at least here, you are in or out of the Gulag; isn't it that the whole United States is one ideological Gulag? You know, this cheap counter universalization. I don't buy it - this is what I try to say in that text. The first thing is to admit a genuine deadlock and to stop this hypocrisy.

In that text, I hope it is obvious this fury I have at this logic of respect. Sometimes, respect is the most disrespectful category. Respect here is like telling a child false things so not to hurt him. Here, respect means not taking him seriously. I think a lot of the people who preach, "you should show restraint, show respect to Islam," are enacting the worst sort of patronization. Paradoxically, violent critics of Islam, on the most elementary level, show more respect for Islam than those who, out of respect, do not attack it. I am not saying we should turn to this, but at least those critics take people seriously as believers.

III.

Chance: What does it mean to return to big theory?

Zizek: You remember, years ago it was fashionable to say big theory overlooks its own historical, concrete, anthropological conditions and presuppositions. That it is na븎e. Foucault has this attitude in its utmost when he says, before asking what's the meaning of the universe, you should ask in what historical context is it even possible to ask this question. So direct truth questions become questions about the concrete historical conditions in which one can raise such a question. I think this was a deadlock.

Today's big theory is no longer a na븎e big theory. It's not saying "let's forget about historical context and again ask, does god exist, or are we free." No, the point is that concrete theory - the idea that we cannot ask metaphysical questions, only historical questions - had a skeleton in the closet: it has its own big theory presuppositions. Usually, even some rather primitive historicist, relativist ideas, for example, everything depends on historical circumstances or interactions, there are no universalities, and so on. So for me, it's about not forgetting from where one speaks. It's about including into reflection, into historical reflection, the very historicism, which was unquestioned in this eternal, Foucauldian model. I find it so boring. It's so boring to say, "no, you shouldn't ask are we free, the only question is what does it mean in our society to ask the question are we free."

Chance: The presence of cognitive science is increasingly felt in anthropology. What particular problems does cognitive science pose for social sciences?

Zizek: Big theory brings us nicely to cognitive science because what it so tickling about them is precisely this question of freedom - does it mean we are not free? It's interesting that all the debates about cognitive sciences - the image of the human being emerging from all these interactions, from the brain sciences or more abstract mind sciences - is about are we free.

I don't know about social sciences, but I know about my field, psychoanalysis. I dealt with cognitive sciences extensively in my last book (See The Parallax View, MIT Press 2006). I think firstly, they should be taken seriously. They should not be dismissed as just another na븎e, naturalizing, positivist approach. The question should be seriously asked, how do they compel us to redefine the most basic notions of human dignity, freedom? That is to say, what we experience as dignity and freedom is it all just an illusion, as they put it in computer user terms, a user's illusion. Meaning, for example, when you write a text on a computer, you have this user's illusion scrolling up or down that there is text above or below. There is no text there. Is our freedom the same as a user's illusion or is there a freedom?

The thing to do - and I'm not saying I did it, I'm saying I am trying to do it - is to take these sciences very seriously, and find a point in them whe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rvention of concepts developed by psychoanalysis. I think - I hope - that I isolated one such point. I noticed how, when they tried to account for consciousness, they all have to resort to almost always the same metaphor of this autopoesis, self-reflexive move, some kind of self-relating, self-referring closed circuit. They are only able to describe it metaphorically. What I claim is that this is what Freud meant by death drive and so on.

But it's not that we psychoanalysts know it and can teach the idiots. I think this is also good for us - and by us I mean, my gang of psychoanalytically oriented people. It compels us also to formulate our terminology, to purify our technology as it were.

IV.

Chance: What, if anything, is neoliberalism?

Zizek: You must know, and it has often been noted, that the big shift in the study of the human mind from traditional approaches to modern cognitivism mirrors perfectly the shift from bureaucratic capitalism to neoliberal capitalism with its flexibility and plasticity. It's so interesting to notice how many cognitivists that I've read even say this openly. They say that traditional science of mind was production oriented, organizing up and down, like traditional bureaucratic capitalism. Today, it's like this digital, flexible capitalism - you don't have one central deciding point, you have free interaction, nomadic plasticity and so on. I found this very interesting.

Catherine Malabou wrote a wonderful book called What to Do With the Human Brain. She develops, in a very nice way, that plasticity can have two meanings. One meaning is this neoliberal plasticity. Basically, it's an accommodating plasticity: how to succeed on the market, how to adopt new identity. But there is a more radical plasticity, where the point is not just an adaptive plasticity. It's a plasticity that not only adapts itself to existing circumstances but also tries to form a margin of freedom to intervene, to change the circumstances.

The same would go for me for neoliberalism. My point would be first, there obviously exists something like neoliberalism. That is to say, it is a fact that at the level of relations between the states, within singular economies new rules of capitalism are emerging today.

But my first doubt would be about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fact that something new is emerging. I don't think it is adequately described by the way neoliberalism describes itself. For example, saying "the rule is no longer state intervention, but free interaction, flexibility, the diminishing role of the state." But wait a minute, is this really going on? I mean, take Reagan's presidency and Bush's presidency today. While bombasting against big spending Democrats - that is to say, big state - the state has never been as strong as it is today and there is an incredible explosion of state apparatuses. State control today is stronger than ever. That would be my automatic reaction: yes, there is something new but, when covered by the label neoliberalism, it is not adequately described. The self-perception of today's era as neoliberal is a wrong self-perception.

Even leftist critics all too often accept this self-description on its own terms and then proceed to criticize it, saying, "no, we can't leave everything to the market." Wait a minute, who is leaving everything to the market? If we look at today's American economy, how much support there is for American farmers, how much intervention, military contracts, where is there any free market? I mean, sorry, but I don't see much free market here.

Just look at this paradox, which I think is the nicest icon of what goes on today. You know the problem of cotton in the state of Mali I think, which is the producer of cheap cotton far better than the United States' cotton. The country is going to ruin because, as you know, the American cotton producers get more state support than the entire Gross Domestic Product of the state of Mali. And they say there, we don't want American help, what we want is just when you preach about corrupt state intervention and the free market, you play by your own rules. You know, there's so much cheating going on here.

So that would be the kind of anthropological study that's needed: what neoliberalism really means. That's what we have to do.

Zizek Picks

Most important book published in the last six months: On Creaturely Life by Eric Santner

It will sound hypocritical but really, I would say On Creaturely Life. If you go further back to 2005, it would be The Persistence of Subjectivity by Robert Pippin.

Most important film released in the last six months: Manderlay directed by Lars Von Trier

My god, this is a tough question. My problem is, as much as I love even commercial Hollywood, I really don't remember one in particular. It's a weird film but I like it, the last Lars Von Trier, Manderlay. Need I add that I haven't seen it, but a priori I don't deal with empirical things.

Favorite obscure text: Sex and Character by Otto Weininger

Sex and Character. It's obscure today but remember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in 1903 and was reprinted like fifty times. Then, it was a megabook. It's vicious - radically anti-feminist, anti-Semitic, anti-whatever-you-want but I think it's shattering.

Most underrated philosopher: Hegel

It will sound crazy because he is one of the most overrated philosophers, but I think, Hegel. Because for the last two hundred years, every philosopher defines himself as somehow wanting to go over Hegel. He's this universal punching bag. Known as he is, he is still the most underrated.

Favorite politician of all time? Lenin and Cromwell

My answer is so boring. It's boring, it's stupid, it's provocative, I'm ashamed to pronounce it: Lenin. You know, many naive leftists, who want to maintain their democratic credentials, would say some tragic victim like Allende. I think there is no perspective there. I have a cynical idea that Pinochet's coup d'etat came at the right point. Imagine what would have happened if someone like Clinton and not that stupid Nixon-Kissinger gang were in power. Someone like Clinton would have gotten the formula: annoy him economically, wait for the true economic crisis to explode and then Allende would either have to opt for a three-way neoliberalism and play all those emancipatory welfare games. Or, he would have to turn Castro, get really tough and lose. Don't you think they struck at the right point to redeem him? So I don't respect this kind of person.

I would love to have somebody else - I have such traditional tastes. Okay, again, it's traditional but if you go back further, Freud loved him: Oliver Cromwell. I like it the way he ruthlessly went from first using the Parliament to cut off the head of the king, to then disbanding Parliament.

What surprises me is this myth that Cromwell was this cruel Puritan. Not only did he have personal integrity, but contrary to royalist myth, he was not revengeful. To put it naively, he was even personally kind. It may also come as a surprise how religiously tolerant he was. This is a myth, you know, this pale-lips Puritan just killing all the Catholics and everybody else. No, he was striving very much, for his vision was a kind of secular plurality of religions. He was a genuine tragic, tragic figure, I think.

06. 12.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라보예 지젝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지젝!>(2005)이 충무로 역내에 있는 재미동 극장에서 상영된다. 오늘은 벌써 상영이 끝났고, 내일 오후 3시에 두번째 상영이 있다. 어쩌다가 이 영화의 자막 번역과 간단한 해설강의를 맡게 되어 저녁시간을 충무로에서 보냈다. 내일은 강연 없이 영화상영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음놓고(?) 광고를 해둔다(영화의 서두부분은 http://www.youtube.com/watch?v=DhDuYfZa5dE 참조).  

지젝 Zizek!

감독_아스트라 테일러_Astra Taylor
다큐멘터리, 71분

12월 재미동 극장에서는 우리 시대 가장 대중적인 철학자로 꼽히는 슬라보예 지젝에 대한 흥미로운 다큐멘터리 <지젝!>을 상영합니다. 정신분석학에 기대어 우리 시대의 정치적 문화적 사건에 접근하는 지젝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내밀한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 입니다.

충무로영상센터 오!재미동 극장
12월 15(금) 오후 7시, 강연 후 상영
12월 16(토) 오후 3시
문의: 02-2273-2392



<지젝!>은 우리시대의 ‘괴물’ 철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이며 문화이론의 엘비스, 슬라보예 지젝과의 만남을 제안한다. 유럽의 변방 슬로베니아 출신의 이 걸출한 철학자는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1989)을 통해서 영미의 이론시장에 등장한 지 15년 만에 ‘우리 시대의 거장’이 되었다. <지젝!>은 이 거장에 관한 흥미진진한 다큐멘터리이자 다면적 초상화이다. 지젝의 애독자들에게 이 영화는 그의 개인적인 취향과 사생활까지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지젝이 누구인가?’를 묻는 이들에게는 이데올로기와 믿음, 혁명과 유토피아, 그리고 사랑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선사할 것이다. 한 인터뷰에서 지젝은 그의 지적 원천이기도 한 라캉이 난해하다는 주장은 ‘계급적 프로파간다’라고 말한다.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지젝이 난해하다는 주장은 ‘적들의 프로파간다’일 따름이다. 이 영화는 그걸 증명해준다.(로쟈)

아래는 강의자료인데, 20-30분 분량으로 지젝과 이 영화에 대해서 짤막하게 소개하는 것이기에 대략적인 내용만 추렸다. 토니 마이어스의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에 대한 서평을 약간 변형시킨, 지젝 소개는 생략하고 영화의 대략적인 아웃라인만을 옮겨놓도록 한다.

<지젝!> 리허설 

 #1. 불균형(실수)의 산물로서의 우주와 사랑

#2. 부에노스 아이레스 강연: “지구의 종말을 상상하는 게 손쉬워진 만큼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변화는 점점 더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것이 우리시대의 패러독스이며, 우리는 유토피아를 다시 발명해내야 한다. 유토피아는 가장 긴급한 요구의 문제이다.”(+파시즘과 스탈린이즘)


#3. “슬라보예 지젝은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에서 온 라캉주의-맑시스트 철학자이다. 그는 히치콕, 레닌, 오페라, 9.11 테러 등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서 많은 책들을 썼다. 그의 저작에서 지젝의 목표는 자본주의에 대한 맑스주의적 비판과, 자본주의가 대중의 상상력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 방식에 대한 정신분석적 폭로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4. “난 인간이 아닙니다. 난 괴물입니다.” - 지젝의 부엌과 서재.


#5. 슬로베니아 대선토론회에서의 지젝. “우리는 당신의 아이큐가 여기 모인 후보들의 두 배는 된다는 걸 압니다.”


#6. 지젝의 이데올로기론: “이데올로기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정의는 맑스의 <자본론>의 유명한 문구일 것이다. ‘그들은 그것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을 한다.’(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의 근본적인 차원은 사태의 진상을 가려주는 환영(illusion)이 아니라 우리의 사회적 현실을 구조화해주는 (무의식적) 환상(fantasy)이다.”(<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영미와 독일, 프랑스의 화장실 이야기.  


#7. 컬럼비아대학 강연. 냉소주의 시대의 믿음. “아무것도 믿지는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어느 시대보다도 더 많이 믿는다.”


#8. 파란 잉크, 빨간 잉크 이야기. 편지 검열에 대한 약속: 파란 잉크로 쓰면 진실이고, 빨간 잉크로 쓰면 거짓말이다. 파란 잉크로 씌어진 편지: “모든 게 만족스러워. 빨간 잉크가 없다는 것만 빼면.” ->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모든 자유를 갖고 있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거기에 이것만 덧붙이면 된다. 유일하게 없는 것이 ‘빨간 잉크’라는 사실. 우리는 우리의 부자유를 말할 수 있는 언어를 갖고 있지 못하기에 ‘자유롭다고 느낀다.’


#9. 지젝의 학창시절(영어와 러시아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한 까닭)과 백수시절(반체제 관리대상자).


#10. 프랑스의 정신분석가 자크 라캉(1901-1980)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자료화면(1974년 국영TV). “나는 언제나 진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진리의 전체는 아닙니다. 전체를 말한다는 것은 물질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전체를 말할 수 있는 충분한 말이 없습니다. 이 불가능성은 진리를 ‘실재’에 가까운 것으로 만듭니다.”(라캉) -> “라캉의 텅빈 제스처는 사기이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그의 스타일이 아니라 주장/논리이다. 나는 철저한 계몽주의자이다. 나의 작업은 라캉을 명료한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다.”(지젝)


#11. CN8 방송의 ‘나이트비트’ 초대석. 전제적 아버지와 관용적 아버지.


#12. 아버지 지젝. “나는 걔를 사랑하지만 문제는 시간이죠. 이거 아주 절박합니다.”

 

 

 

#13. 철학. “철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재정의하는 것이다 철학은 아주 겸손한 학문이다. 철학은 단지 ‘네가 이것이 참이라고 할 때 의미하는 게 뭐냐?’라는 식으로 질문할 따름이다. 그런 겸손함이 역설적이지만 철학의 위대성이다.”


#14. 오늘날의 쾌락주의는 절제의 쾌락주의와 결합돼 있다. 카페인 없는 커피나 섹스 없는 섹스(사이버섹스) 같은. “만약에 신이 없으면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생각과는 반대로 법의 부재는 금지를 일반화한다. “만약에 신이 없으면 모든 것이 금지된다.”(라캉) 오늘날의 문제는 금지들을 금지시키는 게 아니라 ‘즐기라는 명령’(외설적 초자아의 명령)을 제거하는 것이다.


#15. 지젝의 신경증. 정신분석 비난에 대하여. <문명 속의 불안>이 의미하는 것. 왜 라캉과 맑스를 결합시키느냐? (나보다) 라캉이 먼저 그랬다.


#16. 맑스의 잉여가치, 라캉의 잉여향락으로서의 대상a, 초자아의 패러독스: “더 많이 먹고 마실수록 더 많은 갈증을 느끼게 될 것이다. 초자아에 더 많이 복종할 수록 더 많은 죄의식을 갖게 될 것이다.”


#17. 지젝의 식사. “그들은 채식주의자이던데요.” “타락(퇴행)이야. 다시 원숭이가 될 거요.”(지젝) “나는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처럼 겸손하게 아무말도 안하는 책을 좋아합니다.”


#18. 지젝의 집에 걸려 있는 스탈린 초상화. “사람들에게 겁주려고 걸어놓았죠.” 파시즘/스탈린이즘에 대한 지젝의 생각.


#19. 비행기 이동과 뉴욕에서의 강연. 새로운 대답을 찾는 좌파의 함정. “우리는 혁명 없는 혁명을 원한다.”


#20. 지젝의 쇼핑. 지젝의 베스트무비 3.


#21. 버소출판사에서의 지젝. 대표작 네 권과 신작 <시차적 관점>의 내용.


#22. 지젝의 ‘글쓰기 없는 글쓰기.’ “나는 아이디어를 적어놓는다. 그리고 편집한다.”


#23. 보스턴에서의 강연.  “나는 교조주의적 라캉주의자인가? 나는 머리에 써붙이고 다니는 라캉주의자이다. 나는 코미디언인가? 나를 유명하게 만든 건 나를 진지하게 간주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었다. 그래서 일종의 공개적인 자살을 감행하는 것이 나의 의무이다.”


#24. 지젝의 자살?..


#25.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06. 12. 15.


댓글(1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시차적 관점이 요구하는 것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09-04-13 23:50 
    이번주 한겨레21의 출판면 기사를 옮겨놓는다. 지젝의 <시차적 관점>(마티, 2009)에 대한 간략한 리뷰이다. 아스트라 테일러의 <지젝!>에 대한 페이퍼와 <지젝이 만난 레닌>(교양인, 2008)을 다룬 '레닌주의와 대중유토피아'를 같이 참고할 수 있다.    한겨레21(09. 04, 20) 정치 경제, 두 겹의 싸움이 필요하다 아스트라 테일러의 다큐멘터리 영화 <지젝!>(2005)에서
 
 
자꾸때리다 2006-12-15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금요일 가고 잡다. 근데 스케쥴이 겹치네염. (근데 로쟈 님 본명이 노 총각 가수하고 같군요.ㅋ)

로쟈 2006-12-15 2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쟈'가 오히려 고유명사처럼 돼 버렸습니다(글구, 어느 금요일은 말씀하시는지?)...

자꾸때리다 2006-12-15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오늘이 금요일이었군요. 헐. 그럼 내일 3시에는 갈 수 있을 듯. 근데 여기 공짜예요? 제가 동국대 자주 드나드는데 공짜면 꼭 가보고 싶은.....................

로쟈 2006-12-15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무료입니다...

nada 2006-12-16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버지 지젝 너무 웃기시다.. 아, 다음주면 좋을 텐데.. 나중에 볼 수 있는 기회나 경로가 있을까요?

로쟈 2006-12-16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영화라서 찾으시면 구해보실 수 있을 겁니다...

다크아이즈 2006-12-16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쟈가 해설하는 지젝의 자살? 구미가 당기지만 그림의 떡이네요. 저 그림 속 지젝을 둘러싼 군중들이 부럽네요. 열심히 찾는 자에게 '떠도는 영화'가 접수될까요?

로쟈 2006-12-17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젯밤부터 컴퓨터가 먹통이어서 발빠른 댓글을 달지 못했습니다. '지젝의 자살'은 그가 연출한 자살입니다. 히치콕의 '버티고'를 흉내낸, (대중이 기대하는) '코미디언' 지젝의 자살. 영화는 저도 한 사이트에서 다운받은 적이 있습니다. 뜻이 있으면 길이 있으실 겁니다.^^

어부 2006-12-20 0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덕분에 매우 유익한 감상이었습니다.. 감사를.. 그런데 한가지. 자막 작업의 기준이 궁금하긴 했습니다. 영어 코맨트를 제외한 화면에 삽입된 영문 캡션들이나 불어대화들에 대한 영문자막들은 번역을 생략하셨더라구요.. 저같은 잉글리쉬 페이션트들에겐 약간의 열등, 소외감을 느끼게 하긴 했다는... ^^

로쟈 2006-12-21 0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사전에 언급되었으면 좋았는데, 자막파일에 인서트 화면들은 들어있지 않아서 자막으로 집어넣지 못했습니다(그러니까 자막을 처넣을 공간이 파일에는 없었거든요). 시간이 좀 넉넉했다면 기술적으로 알아보고 마저 번역할 수도 있었을 텐데, 제가 거기까지 주문받은 건 아니었고요, 오타/오역들도 없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또 기회가 있다면 보완할까 생각중입니다. 혼자서..
 

'인터넷 폭력'에 대한 한겨레의 사설과 댓글들을 읽다가 지난번에 쓴 페이퍼 '패리스 힐튼과 카트린 밀레'에 이어지는 고리가 될 듯싶어서 다시 페이퍼를 쓴다. 지젝의 <혁명이 다가온다>(길, 2006)의 제5장 '레닌은 자신의 이웃을 사랑했는가'의 106-8쪽까지 읽어보는 게 1차적인 목표이고 좀 무리하면 진도는 더 나아갈 수도 있겠다. 먼저, 관련기사와 사설부터 인용해놓는다(아래는 청와대의 문화일보 절독 파문을 불러일으켰던 연재소설 '강안남자'의 삽화).

한국일보(06. 12. 02) '포르노배우 영어강사' 얼굴공개 파장

캐나다 유학 시절 포르노물에 출연한 한 여성 영어강사의 신원이 인터넷에 공개돼 파장이 일고 있다. 서울의 한 영어학원 강사로 재직한 A(33·여)씨가 포르노 동영상을 찍은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일부 네티즌이 해당 여교사가 출연한 포르노를 편집해 인터넷 사이트 이곳저곳에 올리고 있는 것.

문제의 여강사는 캐나다 유학시절인 2005년 2월부터 9월까지 캐나다에 서버를 둔 한 포르노사이트에서 한 편당 200∼300 달러를 받고 모두 30여편의 포르노를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에 따르면 그는 자신이 다니는 영어학원의 여강사가 해외 포르노 사이트의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는 한 네티즌의 제보에 의해 포르노 배우 경력이 들통났다.

경찰은 최근 A씨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조사에서 A씨는 "포르노를 찍는 것이 한국에서는 불법인지 알았지만 캐나다에서는 합법이었다"며 "한국사람들이 캐나다 포르노 사이트까지 들어가서 볼 줄은 몰랐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속인주의 원칙에 따라 국내법으로 처벌이 가능하다.

A씨가 경찰에 입건됐다는 소식이 알려진 후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는 "캐나다 영어강사가 누구냐", "캐나다 영어강사의 싸이월드 주소를 알려달라"는 글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그러자 일부 네티즌이 A씨의 얼굴이 그대로 등장하는 포르노 편집 동영상과 사진을 인터넷에 올렸고 이로 인해 그의 얼굴은 만천하에 공개됐다. 일부 포털사이트가 A씨 관련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없도록 조치를 취했지만 이미 늦은 상태였다. 포털사이트 검색어 순위 수위에 오른 것은 물론 실명과 개인 블로그 주소도 함께 공개돼 파장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한편, 일부 네티즌들은 언론에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보도는 자제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한겨레(06. 12. 02) 인터넷 폭력, 더는 두고볼 수 없다

“마녀사냥이 또 시작됐다.” 이른바 ‘포르노 찍은 영어강사’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댓글 폭력을 개탄하는 이들이 하는 말이다. 캐나다 유학 시절 포르노를 찍은 사실이 드러나 처벌을 받게 된 이 영어강사는 사회에서 매장될 처지에 놓였다. 얼굴 사진은 물론이고 본명과 일하는 학원, 출신 학교 따위가 속속들이 파헤쳐지고 있다. 공인도 아닌 개인의 사생활을 이렇게까지 침해하는 건 야만적인 폭력일 뿐이다.

일방적인 매도가 쏟아진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이른바 ‘개똥녀’ 사건을 연상시킨다. 이 여성은 단지 포르노를 찍었다는 이유만으로 인간 쓰레기쯤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런 비난에는 여성 비하 심리도 개입되어 있는 듯하다. 인터넷을 통해 일본의 음란물을 공급하다가 적발된 이른바 ‘김본좌’가 인터넷에서 영웅처럼 취급되던 걸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여성이기에 더 쉽게 사생활을 까발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떨치기 어렵다.

물론 책임을 온통 ‘몰지각한 네티즌’들에게만 돌릴 수는 없다. 개인 정보가 유출될 여지를 철저히 봉쇄했어야 할 경찰과 언론도 일정한 책임이 있다. 경찰은 경찰청 제보 게시판에 올라온 글 때문에 수사를 시작할 수 있었다는 따위의 세세한 내용까지 공개했고, 대부분의 언론은 이걸 그대로 보도했다. 이렇게 지나치리만큼 상세한 사건 공개는 그 자체로 문제다. 그런데 한 블로그 이용자가 정리해 놓은 사건 경위를 보면, 사소한 듯한 이 사실이 개인 정보 유출의 실마리였다고 한다.

내용인즉, 인터넷 이용자들이 제보 게시판을 샅샅이 뒤져 제보 내용을 확인했고, 제보에 언급된 영문 닉네임을 근거로 개인 정보를 찾아냈다는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개인 정보 유출의 책임은 제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경찰에 있다고 할 것이다. 경찰은 제보 내용이 정말 유출됐는지 분명히 확인해서 사실이라면 책임자를 문책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이번 사건을 인터넷 실명제를 정당화하는 사례로 활용하는 건 철저히 경계해야 한다. 언어 폭력과 개인정보 유출의 주된 무대는, 회원 가입 때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실명을 확인하는 포털들이다. 실명제가 폭력적 댓글을 막는 대책이 되지 못한다는 말이다. 인터넷 폭력은 이용자의 자발적 노력과 사회적 여론 형성, 인터넷 사이트들의 협력 따위를 통해서만 뿌리뽑을 수 있다.

 

 

 

 

"후기 자본주의의 조건에서 우리의 감성적 삶은 이처럼 완전히 분리되었다. 한편에는 사적 영역, 즉 감정적 진지함과 밀도 깊은 개입으로 이루어진 내밀한 섬이 존재하고, 이는 엄밀히 말해 우리를 더 큰 고통의 형식으로부터 눈멀게 하는 장애물로 기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은유적이고 문학적인) 장막이 존재해, 이를 통해 더 큰 고통을 인지한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인종청소, 강간, 고문, 자연재해에 대한 TV보도는 우리에게 깊이 공감하고 가끔은 휴머니즘적인 행동에 참여하도록 감동을 준다."(106-7쪽)

'(은유적이고 문학적인) 장막'은 'the (metaphorical and literal) screen'의 번역인데, 'literal'은 '문학적인'이란 뜻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의' 혹은 '축어적인'이란 뜻이다. 해서, "(은유적이면서 동시에 축어적인 의미에서의) 스크린"이 존재한다는 것. 축어적인 의미의 스크린이란 영화나 TV 등의 스크린을 말한다. '장막' 같은 거 말고 진짜 '스크린' 말이다. 거기서 우리가 매일같이 접하는 것들이 인종청소니 강간이니 고문이니 자연재해니 하는 것들 아닌가? 이번에 '포르노 영어강사에 대한 사이버폭력'이 추가됐을 뿐이다. 이러한 스크린상의 '더 방대한 고통(wider forms of suffering)'에 대해서 우리는 간혹 휴머니즘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사생활 침해를 자제하라!' '인터넷 폭력, 더는 두고볼 수 없다!'는 식의 참여.

"심지어 이같은 참여가 (우리가 정기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돕는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온 사진과 편지 형식으로) 거의 '개인화'되었을 때도, 궁극적으로 이곳에 지출하는 것은 정신분석과 관련없는 근본적인 주체기능을 유지한다."

페이퍼가 너무 지체되고 있어서 여기부터는 다음에 따로 다루기로 한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2-03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에게 권총을 맡겨 놓은 기분이 이런 기분일까요? 실제로 언론 기관도 아니고 언론이라면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 할 윤리의식도 결여한체로 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네이버 같은 포털 싸이트를 보고 있노라면.

다크아이즈 2006-12-03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죄 없는 개인이 길들여진 전체에 보호받는 사회가 정녕 오기나 하는 것일까요? 개념없는 네티즌은 그렇다치더라도 언론이 앞장서니 그저 답답할 뿐. 여성에게 언제나 더 가혹한 잣대를 들이댄다는 자체도 인식하지 못하는...

질문 - 책을 안 읽어서 모르지만(하기야 번역서 읽어봐도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지만) 인용문만 봤을 때, '개인(사적영역)'에 대한 고려가 다른 더 큰 사회적 고통 때문에 장애물로 간주된다는 안타까움 정도로 읽히는데 제가 잘못 읽은 건가요? 제게는 번역문을 독해하는 자체가 이렇게 어렵네요. 로쟈님 해설은 '개인'에 대한 부분 자체를 '더 큰 사회적 고통'의 범주로 넣으신 것 같아서요. 아무래도 책을 읽어봐야 확실한 흐름을 알겠지만 번역문 자체가 제겐 미로찾기네요.

로쟈 2006-12-03 2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젝!>이란 영화에서 지젝은 자신이 두려워하는 게 "거부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되는 것"이라는 얘기를 하는데, 이후에 개진되는 지젝의 생각은 사실 '상식'적으로는 수용하기가 버거운 내용입니다. 내일밤까지는 완결될 수 있을 겁니다...

biosculp 2006-12-04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강사는 인터넷포르노에 정통한 분들에게는 유명하더군요.
오늘 댓글들 보니 캐나다 남편과 함께 지금도 업데이트 시키고 있으면 부업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캐나다인 남편도 어학과 유학관련해서 한국과 관현 사업도 하고요.
사생활 침해문제가 여전히 남지만 오히려 사이트홍보에 더 득이 된다는 애기도 있는데. 세상복잡해지네요.

로쟈 2006-12-05 0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 요즘은 누가 '피해자'인지 점점 모호해지는 세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