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마음 - 내 아이가 어른이 되기 전에 꼭 전하고 싶은 말
최승은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도서관에서 이미 고른 다른 책들을 모두 물리 치고 선택된 책.

자식을 키우는 엄마들은 모두 이런 책 한권 쓰게 되지 않던가.

이런 책이 아니더라도, 일기에, 수첩에, 아니면 마음 한 구석에...

어디 한 권의 분량만 되랴.

제일 좋은 것은 얼굴을 마주 하고, 서로의 말투와 표정을 읽어 가며 나누는 대화이겠지만,

저자처럼 자식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마주 하고는 마음 속 얘기를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 책을 대하기 전부터 나도 한번 해보리라 생각했었다. 나중에 먼저 갈 엄마가 아이에게 남겨 줄 것이 뭐가 있으랴. 아직은 아이가 어리니, 지금의 기록은 간간이 쓰고 있는 제 육아 일기를 보며 엄마 마음을 헤아릴테고, 좀 더 커서 엄마 품을 떠나게 되면 이런식의 편지를 주고 받으리라.

아! 한가지, 편지는 친구처럼 쓸 것. 너무 들려주고 싶은 얘기 중심의, 교훈적인 내용으로 쓰지 말 것을 나 자신에게 당부해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05-11-13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들려주고 싶은 얘기, 교훈적인 얘기보다는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친구처럼... 그래야 되겠군요.
저도 요즘 아들에게 책을 한 권 만들어 주고 있거든요.
좋은 말을 듣고 갑니다. ^^

hnine 2005-11-14 0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시군요. 아이 인생에 그보다 더 좋은 선물을 없을것 같아요. 누군가 자기를 이토록 사랑했다는 것보다 더 든든한 재산이 있을까 싶어요. 궁금해지네요 내용이 ^ ^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샘 2005-11-14 1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일 쓴 것을 제 서재에 자작나무라고 갈무리해 두었습니다.
제가 때때로 쓸 일이 많아서요.
 
네 꿈과 행복은 10대에 결정된다
이민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디서 보고 이 책을 읽게 되었던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진로를 거의 결정했다는 초등학교 6학년 친구 딸에게,

황우석 박사의 나의 생명 이야기와 함께 골라준 책이다.

황우석 박사의 책은 직접 읽고 골랐으나 이 책은 소개글만 보고 골랐기에

얼른 도서관에서 빌려다가 읽었다.

내가 10대도 아니고, 10대 자녀를 둔 부모가 아니어서일까.

처음부터 끝까지 잔소리로만 들리니.

나도 분명 심심치 않은 10대를 거쳐 왔는데

이렇게 아줌마가 다 되어서도 이런 책이 잔소리로 들리면

지금의 10대가 읽었을때 어떨지 모르겠다.

내용은 하나에서 열까지 다 맞는 이야기 이나,

포괄적인 자기 주체성, 자기 목표 설립에 도움을 주는 글이라기 보다는

구체적인 학습 방법들을 조목 조목 제시하고,

단락의 말미에는 여기서 무엇을 느꼈는가 1,2,3 가지를 적어보자 식의 마무리가

나에게는 잔소리 라는 느낌을 받았나보다.

꿈과 행복, 10대 뿐 아니라

살면서 늘 필요하고 바라는게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쪽이네 - 반쪽이 부부의 작은 세상 반쪽이 시리즈 3
변재란 글 최정현 그림 / 한겨레출판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이미 유명인사가 된 온 식구, 반쪽이네.

아빠 최정현, 엄마 변재란, 딸 최 하예린 까지 ( 이들 식구들은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후기에도 언급된 바 있다).

나온지 꽤 되었지만, 이미 무슨 내용일지 다 예상이 된다는 자만심으로 읽는 수고를 안하고 있다가,

지난 주 도서관에서 직접 책을 펼쳐 보고는 빌려 와서 단숨에 읽게 된 책.

단숨에 읽게 된 이유는?

요즘의 나의 일상과 너무나 흡사했고, 내가 하는 생각들이 엄마 변재란 씨의 글로써 풀어 나오는 걸 읽으며 신이 났기 때문이었다.

평등부부 상을 받은 부부에게도 여전히 부부 갈등을 안고 살고,

이 땅의 엄마된 일하는 여자들의 원죄인가...

딸 하예린을 키우는 방식도 우리 집이랑 많이 비슷해서 앞으로의 하예린의 성장 과정을 할수만 있다면 관심있게 지켜보기로 했다.

반쪽이네 가족 모두,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 - 이윤기 산문집
이윤기 지음 / 시공사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신화학자 다운 제목이다.

우리가 어제 죽인 괴물.

미국에서 구입해서 읽다가 한국으로 오는 짐들 속에 묻혀,

한참 후에나 풀게 된 박스에서 발견하고는 "와~"하고 나도 모르게 탄성을 지르고는 바로 그 자리에서 남은 부분을 다 읽어 치운 책.

이 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있는 중이기도 하지만,

정말 우러러 보이는 사람 중의 한 사람이다.

대학 때의 열정만 있어도 아마 지금 쯤 이 작가의 작품은 다 찾아서 읽었을텐데. 이문열, 최영미, 김형석, 김태길, 유안진, 김덕자 의 작품들을 그러했듯이.

어느 한가지 커다란 주제에 대한 깊고도 넑은 탐색적 연구를, 거의 일생에 걸쳐 펼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 관심 주제가 그렇게 오래 지속되기도 흔치 않을 일일뿐더러, 그 관심에 대한 노력을 이 사람 처럼 기울이기란, 소수의 어떤 사람에게나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심심풀이'라는 괴물, '얼렁뚱땅'이라는 괴물. 작가가 말하는 괴물이다.

얼렁뚱땅, 대충대충 이라는 괴물, 내가 지금 싸우고 있는 괴물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꾸뻬 씨의 행복 여행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오유란 옮김, 베아트리체 리 그림 / 오래된미래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꽂이에서 나를 한참이나 기다린 책이었다.

작년 생일 선물로 받은 책이니까, 거의 아홉달을.

요즘 유행하는 가벼운 내용의 그렇고 그런 책일꺼라 선입관을 가지고 별로 관심이 안가다가

진주귀고리 소녀 읽기를 끝낸후, 우연히 손길이 갔다. 책의 부피가 작아서 였을까, 책 속의 삽화가 상쾌했기 때문이었을까.

내가 한때 꿈꾸었던 직업, 정신과 의사 꾸뻬.

남의 이야기 들어주기, 남의 얘기로서가 아니라 내 얘기 처럼 들어 주기, 나의 특기 사항중 하나이다. 꾸뻬씨가 그랬던 것 처럼.

그런 그가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서 '행복'이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의 답을 얻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처음엔 중국으로, 다음엔 마약 밀수, 부정이 판치는 아프리카의 어느 나라로 (국명을 밝히지 않는다), 또 미국으로 (역시 국명을 밝히지 않고, 모든 것이 이세상에서 제일 많은 나라라고만 표현한다)...여러 사람들과의 만남, 그리고 행복에 대한 물음. 나중에 중국에서 고승과의 재회로 여행을 마무리 하고 꾸뻬는 다시 자기 본연의 자리, 본연의 직업으로 돌아온다. 행복에 관한 스무가지가 넘는 메모를 가지고.

행복에 관한 그의 메모는, 하나도 새로울게 없는, 다 한번씩은 들어봤을 내용.

그중 제일 가슴에 남는말은, '행복이 인생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라는 말.

어떤가, 금방 이해가 되는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