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4.24

기록을 보니, 2003년 4월 12일 종로에 있는 씨네코아에서 젼이와 상영형과 함께 본 영화군. 어찌했든 얼마 되도 않는 문화생활을 했다는 것을 증거하기 위해, 생각나는대로 몇 자 적도록 한다.

에...이 영화의 줄거리는..(긁적긁적)
촌지를 무진장 밝히고, 수업시간에 걸핏하면 자율학습을 시키는, 촌지에 따라 차별은 물론, 직원회의 때마다 항상 늦는 불성실함을 그야말로 성실하게 보여주는 대한민국의 교사 김봉두가 참교사로 거듭나게 되는 이야기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 김봉두가 근무하던 학교는 물좋고 쏠쏠하기로 이름난 강남. 이곳에서 결국 촌지에 의한 애들 차별로 문제가 불거지자, 저어기 강원도 산골의 폐교되기 직전의 분교로 전근을 가게 된다. 이곳에서 무슨 짓을 해도 "샘 저희는 샘이 참말로 좋아요~"하는 아이들과 이러쿵저러쿵하다가 정이 들고, 결국 정신을 차려서 좋은 선생님 된다는 그야말로 착한 영화다.

이 영화를 보면서 때때로 눈물이 주르르 흘려내렸는데, 이유는... (잘 생각이 안나네.. 그러니까 이유는...) 나쁜 선생 김봉두가 착한 선생 김봉두로 '변화'되는, 그 인간적임 때문이 아닐까.. 게다가 순간순간 김봉두의 어릴적 배경을 보여주는 기억 속의 김봉두에 대한 연민도 한 작용했을 법 하다.(김봉두의 아버지는 학교에서 정원을 가꾸고 허드렛일을 하는 그 모라고 하지? 축사? 아닌데.. 교사? 아닌데.. 무슨 산데.. 기억나면 다시 넣어야 겠다.. 아무튼 같은 학교라는 공간에서조차 천한 직업으로 여겨지는 '그런 아버지' 밑에서 나름대로 열등감을 느끼며 살아왔다. 더군다나 그가 현재에 이르게 되기 까지 그의 선생들이 보여준 문제교습법들도 간간히 나온다.)

아무튼 간간히 웃음도 있고, 또 감동도 있는, 휴먼 드라마인 것 같다. 이 영화를 보고 느낀 점을 한 줄로 표현한다면... "영원히 나쁜 인간은 없다."는 거 아닐까. 어떤 특정한 '계기'만 주어진다면, 누구도 선하게 변할 수 있다는 것, 그게 이 영화가 보여주고자 한 건진 모르겠지만, 난 그렇게 받아들였고, 같은 맥락에서 이 영화는 교육의 필요라고나 할까, 교육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교육 영역에 들어온 '교육 영화'(아.. 왜 이리 '교육'자만 붙으면 모든 것들이 맛없어 보일까..)로 분류될 수 있겠다.. 잘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3.04.23

m.net 을 보다가 건져올린 노래.
바에 들어가 맥주 한 잔 시켜 놓고 머리 쭐래쭐래 흔들어 대며 들으면 너무 좋을 노래.

아직 그들에 대한 아무 정보도 갖고 있진 않다. 단지 블러 탄생 11주년을 기념해 그간의 베스트들을 모아 놓은 앨범에 곁들여 있는 몇 줄을 글을 접할 뿐.
- 1990년대 브릿 팝 장르를 개척한 영국의 4인조 아티스트.(브릿 팝이 몰까.. 지금은 브릿 팝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고 하는군.)
- 현대 사회의 권태와 절망으로부터의 탈출을 꿈꾸는 개인들에 대한 앨범.
- 오만한 태도의 진정성.
- 비틀즈의 수혜자로써 멜로디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오아시스>와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블러는 멜로디 중심의 곡에 대한 사고에서 벗어나는 도전을 감행했다고 한다.(비트 중심이라는 것인 듯 하다. 내가 좋아 하는 song2의 경우 드럼의 기본 비트가 매력적인 곡이다. 뒷 글을 읽다 보니 이런 말도 나온다. '노이즈 친화적', '익스페리멘틀)
-멤버 : 그레이엄 콕슨(기타), 데이브 로운트리(드럼), 알렉스 제임스(베이스 기타), 데이먼 알반(보컬)
- 대표작 <<parklife>, <<blur>>, <<13>>

<song2>가 수록되어 있는 <<blur>> 앨범에 대한 소개는 다음과 같다
: 멤버 간의 불화가 가장 극심했던 시기를 극복하고 만들어진 다섯 번째 앨범은 모두의 말처럼 소닉 유스와 페이브먼트를 참조한 블러의 독특한 행보였다. 노이즈와 일렉트로니카에 대한 부분적인 언급도 돋보이는 이 앨범은 가장 많은 우려를 받았던 앨범이었으나 기대 이상으로 성공을 거둔 작품이 되었다. 익스페리멘틀로부터 크라우트 록과 노이즈의 증폭에 이르기까지 블러의 새로운 음악적 시도가 펼쳐졌다. <song 2>의 세계적 히트는 비평적 찬사 이상으로 블러와 블러의 팬들에게 활력을 선사했고, 블러 사운드는 독자적인 아성을 쌓아가기 시작했다.(딱 반만 알아들을 수 있는 소개였다--;;)

블러의 인터넷 라이오 방송국
www.blur-radio.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12.01

장혁과 조인성이 나오는 영화, 라고만 알고 갔다..
개봉 첫날인데, 어째 상영관이 없다 했다..
메이드 인 홍콩을 만들었던, 아시아의 떠오르는(?) 감독 프루트 챈 감독이 만든 영화인데..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공중 화장실(public toilet)을 통해 감독이 말하려고 한 게 도대체 모인 건지...
얼핏 보면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만든 영화인 듯 하기도 하고.. 각 나라마다의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 듯 하기도 하고.. 똥에 대한 이미지 반전을 시도한 것 같기도 하고..
에휴.. 모르겠다..
예전에 메이드인홍콩도 잘 이해 못했었는데..
암튼간 이 감독의 영화엔 환자들이 많이 나온다.. 질병.. 감독의 주변에 질병으로 죽은 사람이 있나...
화려하고 대중적인 배우들에 비해 영화는 꽤 어렵게 느껴졌다.. 뭔소리였을까..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까.. 흐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11.28

설경구와 차승원이 나오는 영화
감독이 궁금하진 않은 영화
약간 씩이나마 이것저것 페러디한 느낌이 나는데 구체적으로는 잘 모르겠음..
기본 줄기는 쇼생크탈출에서 따온 것 같고.. 도입은 장발장에서.. 따왔고..
그밖에 익숙한 것들이 많이 나왔지..
-고무신 꺼꾸로 신는 애인.. 그 애인이 마침 경찰관과 눈맞은 이야기..
-교도소에서 인권 유린 문제를 배경으로한 폭동 씬
-수감자들에게 밥 주는 것도 아까워하는 교도관..
-알고보면 썩은 내 풀풀나는 정치인들
.....
굉장히 익숙한 장면들이고.. 줄거리도 모.. 딱히 새롭지 않은데.. 그래도 재밌는 이유는 몰까.. 적절한 웃음 타이밍을 잘 맞췄나?

감독은 잘 모르겠고.. 음.. 차승원의 연기는 재밌었다.. 이영화에 대해서는 그닥 남는게 별로 없는 것 같네.. 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11.28

으.. 이게 왠 늦바람이람..
예전에도 한번 빠져들뻔 했었는데..
이번건.. 크다--;;
부산영화제 가서두 날새는 줄 모르고 했는데..
엊그제 또 하다 날새구..
오늘 또 했다..
상영형은 왜 이렇게 잘하는 거야..
졸라 열심히 무기 다 만들어놨는데..
공격두 한번 제대루 못하구..
난 아무래두 공격지향성이 떨어지는 것 같네..
이길 때까지 내 꼭 하고야 만다..
흑흑흑..
핵무기 써 봐야 하는데..
엉엉엉..
근데 넘 재밌다..
중독되었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데... 게임을 하면 왜 시간 가는 줄 모를까..
다들 나 같으려나..
음.. 낼 또 해야지..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_ 2004-03-12 1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게임 안했다가 하다가 또 끊었다가 하다가 요새도 친구들이 하도 바람을 넣어 같이 하곤 한답니다.

찬타 2004-03-12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버드나무님.. 저 지금 집수리 중이에요.. 이제 본격적으루다가 알라딘 폐인의 길루 접어들려구, 서재를 이리뜯고 저리 고치고 하는 중이라네요.. 그 와중에 이리 왕림하여 글을 남겨주시다니... 재밌네요..

_ 2004-03-12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드디어 게으름의 유혹을 물리치고 그렇게 어렵다는 폐인의 길을 발견하셨나 보군요. 부디 득폐(!)하시길 ^^

ceylontea 2004-03-12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득폐~~!!

찬타 2004-03-12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득...폐.... ㅠ.ㅠ. 불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