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심수봉이 나훈아와의 추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ㅎㅎ 심수봉이 나훈아의 어떤 군대 이야기를 들었는지 모르지만 실제 나훈아는 공군 직할부대 군악대에서 군복무 병장만기 제대를 했다고 하는군요.

진짜 위험한 곳에 간 것은 해병대 청룡부대출신으로 베트남전에 직접 참전한 남진이지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판사가 책이 안팔려서 어렵다고 할때마다 우리는 도서관이 책을 매입하지 않아서 출판사가 힘들다는 말을 하면서 도서관이 국민을 위해서 책을 많이 구매해야 한다고 말하지요.

하지만 간행되지 얼마 안되는 책들도 헌책방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 과연 도서관에서 얼마나 책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한가하는 의구심을 가지게 됩니다.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매년 6만 5000종 이상의 새 책이 출판되고 있고, 그에 못지않게 많은 책들이 폐지로 버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전국 1238개 공공도서관에 비치된 책은 약 1억 2356만권이며, 매년 새로 구입하는 책은 약 450만권, 한 해 폐기되는 책은 약 540만권이라고 하니 새삼 놀랍기 그지 없습니다.생각보다 도서관들이 책을 많이 구입하고 그러다보니 공간부족으로 기존 책들을 파기하나 봅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전국 대학 도서관이 소장한 도서는 1억 7500만여 권이며, 한 해 동안 폐기된 책은 164만권입니다. 전국의 대학도서관은 2021년 한 해 430만권의 책을 구입하였고 구입비용은 2380여억원이었습니다. 추산해보면 전국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 매년 지출하는 도서 구입 비용만 해도 4000억원 이상입니다.


맨날 타박만 하던 도서관이 책 구매를 위해 매년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을 보면 더 이상 책사라고 도서관을 윽박지를 수 없을 것 같습니다.결국은 국민들이 매년 책 한 두권을 꼭 사는 습관을 가져야 될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주 어릴 때부터 많이 들어온 이야기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른 선진국 국민들에 비하여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실제로도 2017년 OECD 자료를 봐도 우리나라 성인 독서량은 평균 0.8권으로 세계 166위로 조사되었습니다. 미국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을 비롯하여 독일, 영국 등 이른바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크게 뒤처지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2018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월평균 도서구매비는 4,960원으로 연간 6만원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높은 교육열에 비하여 독서량은 세계 최저 수준이 된 것은 세계 최고 수준의 입시교육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처럼 책을 읽지 않으니 대한민국의 출판계가 매우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책을 구입하는데 알라디너 여러분들이 많은 기여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자만 일반인들도 제발 스타벅스 커피 한잔 두잔하는 값을 아껴서 마음을 향기롭게 만드는 책을 구입했으면 좋겠습니다^^

by c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라나라에서 평균적으로 책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직업은 어떤 직업일까요? 그건 아마도 대학교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대학교수는 대학생을 지나 대학원에서 조교생활을 하며 석박사를 딴뒤 시간강사,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등 몇십년에 걸쳐 연구를 하면서 자신의 전문분야의 수많은 책들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대학교수들도 세월이 흘러 어느샌가 정년 퇴임의 순간이 오면 가장 큰 문제가 자신이 수십년간 연구하며 모우고 수집한 각종 자료와 전문서적을 어디다 둘데가 없단 것입니다.교수실에 두자니 새로운 사람이 쓸 공간이 부족해서 안되고 도서관에 기증하자니 역시 공간이 부족하고 자신의 집으로 가져가지나 이 역시도 둘 공간이 부족합니다.이처럼 기증할 곳을 찾지 못하면 결국 헌책방이나 파지상을 부를 수 밖에 없고 몇십년에 걸친 모운 전문서적들은 이렇게 사라지고 말지요.물론 교수님에 따라 학생들이 가져가게 공고를 내기고 하지만 오래된 책을 가져가는 착한 제자들은 매우 드뭅니다.


교육부 통계를 보면 한해에 천명의 교수가 퇴임한다고 합니다.한명의 교수가 대략 2천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면 매년 약 이백만권의 전문도서들이 기증받을 곳을 찾지 못해 헌책방이나 파지상으로 흘러들어간다는 말이죠.

물론 헌책방에 흘러간 책들중 일부는 새로운 주인을 만가기도 하지만 대부분 전문도서다 보니 헌책방에서 오랜기간 진열되도 찾는이가 없으면 결국 파기처분 되고 말지요.

이에 일부 교수님들과 사회단체들은 교수들의 전문도서를 기증받을 공공헌책방을 설립을 제안했지만 일반 도서들도 잘 읽지 않는 판에 전문도서를 읽을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되며 이를 위해 세금으로 공공헌책방을 설립하는 것도 타당치 않아서인지 실행되지 않고 있는것 같습니다.


교수님들이 연구하신 전문 서적들은 일반적인 헌책이 아니라 후세를 위해 남겨둘 책입니다만 역시나 책을 보관할 공간이 개인적으로도 대학도서관에서도 공공도서관에서도 부족하다는 것이 제일 큰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교수님들의 연구를 위해 보관했던 전문 서적들은 후학들을 위해서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단 생각이 듭니다.디지털 작업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후학들이 쉽게 접할수 있게 해주기 떄문이죠.하지만 역시나 머니머니해도 머니가 문제라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해결하지 않으면 답이 없을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주에서만 판다는 간식 계란밥입니다.

ㅎㅎ 처음 보는데 한벅 먹어보고 싶네요^^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oonnight 2024-06-10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맛있겠는데요 밥이 든 계란말이 느낌이네요^^

카스피 2024-06-10 21:35   좋아요 1 | URL
ㅎㅎ 저도 첨 보는데 무척 신기해서 한번 먹어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