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 지역인 길음역부터 수유역까지 지하철 노선을 따라가는 곳에 몇군데의 헌책방이 있었습니다.
길음역부근의 문화서점,성신여대역의 그리북스,이오서점,미아 삼거리역 부근의 송천 헌책방,책의 향기,미아역 부근의 서울서점,대흥서점,안흥 책서점,수유역 부근 수유리 가람서적등등이 있었는데 이제는 다 폐점하고 미아역 부근의 대흥서점과 이름이 잘 기억나질 않는데 아무튼 할아버지 쥔장님이 운영하시는 헌책방(아마 서울 서점이 아닐 듯 싶군요) 2군데만 남아있게 됬더군요.
며칠전에 미아 대흥 서점을 방문했는데 이곳은 매장 반은 헌책을 나머지 반은 일종의 생활 골동품을 판매하는 곳입니다.이곳에 책을 찾고 있는데 쥔장 아저씨와 나까마(헌책방에 책을 공급하는 중계상)로 추정되는 할아버지 한분이 도란 도란 이야기를 나누시더군요.

책을 고르면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어디인지 모르지만 한 30년 헌책방을 운영하신 분이 문을 닫았다고 나까마 할아버지가 이야기를 하시더군요.쥔장도 ㅎㅎ 30년이면 그 사람도 청춘을 다 바쳤군 하시면서 씁스레하게 웃으시더군요.아마 대흥 서점 쥔장님도 상당히 오래 하신 것 같더군요.
그러면서 일본의 경우 정부 및 지방 정부차원에서 국민들에게 독서를 권장하기 위해 매 월 지역 광장을 무료로 개방하여 출판사들을 일반인들에게 책을 전시하고 판매토록 하는데 우리는 그런 정책이 너무 없어 아쉽다고 하십니다.듣고보니 우리 국민이 책을 안 읽는다 안읽는다 하면서도 책과 쉽게 접할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그간 아무것도 없었다는 생각이 들면서 일견 수긍이 가네요.

아무튼 이젠 동네 곳곳에 있던 헌책방이 알게 모르게 하나 둘씩 사라지는 것이 어찌보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앞서 알라디너 된장님의 자료(2002년)에 있던 100군데가 넘는 헌책방이 10년이 흐른 지금 대략 1/3수준 정도로 떨어지지 않았나 싶군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분이 알리디너 된장님께 서울의 헌책방을 좀 알려달라고 댓글을 달아놓으셨더군요.된장님께선 차후에 정리해서(지금은 이사중이시므로….)올리시겠다고 했는데 혹 필요하신 분이 계실까봐 예전에 된장님께서 인터넷에 올린 서울지역 헌책방명과 전화번호를 다시 올립니다.
상당히 많았지만 지금은 거의 많은 헌책방이 폐점을 했는데 제가 확실히 폐점을 알고 있는 헌책방은 붉은 형광펜으로 오랫동안 찾지않아 지금도 운영하는지 여부를 잘 모르는 헌책방은 녹색 형광펜으로 표기했습니다.(개인적으론 녹색 형광펜으로 칠한 헌책방의 다수가 이미 폐점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파란 글씨의 헌책방은 제가 요 근래 다닌곳이므로 아마도 특별한 일이 없다면 계속 운영중일 겁니다. 

가람서점(수유리) 02-902-9391,011-302-4523
간판없는헌책방(성북구청) 02-923-9960 →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신광서점으로 간판을 담
간판없는헌책방(방화동-방신시장)
간판없는헌책방(송파네거리 일신여상옆) 02-421-6961
간판없는헌책방(응암동-명지전문대) 02-302-4537
강동 헌책방(천호역) 02-471-0272, 02-485-8660
강전서림(대치동) 02-557-1694, 011-9860-1762
경북서점(장위동) 02-918-1625

경훈서점(사가정)
고구마(금호동) 02-2232-0406,011-222-7281
고려서점(우장산역) 02-663-3181
골목책방(독립문) 02-313-5066,011-713-5066
공동서점(불광동 동명여고) 02-355-7158
공씨책방(신촌) 02-336-3058,011-9914-3058
광서당(삼선교) 02-742-6155, 011-792-6155
광주서점(광진-자양네거리) 02-444-8726
교양서점(미아 삼거리) 02-981-1005
굴다리서점(공덕동) 02-706-2338
글천지(암사동) 02-487-1377
길바닥 헌책방(노점-목동역) 011-762-9501
그린북스(성신여대역) 02-921-0592
남영서점(중앙대)
대명서점(성남 중동) 031-731-7020

대성서점(잠실대교-구의역) 02-453-9850
대양서점(홍제동) 02-394-2511,011-9993-7901
대흥서점(미아역) 02-981-3214, 019-259-6009
동양서점(봉천동) 02-888-6263,018-215-1054
들머리헌책방(서교동-망원역) 02-324-6353
리화도서(중화역) 02-433-1929
마포서점(애오개) 02-312-3165
명문서점(중화동-중랑교) 02-435-0162
문우당(명지대) 02-372-9145,017-229-5745
문화당서점(연신내) 02-384-3038,011-9756-3038
문화당서점(장승백이) 02-823-5204
문화서점(길음역) 02-917-6874
문화서점(모래내) 02-374-3383, 011-665-3383
문화책방(애오개) 02-392-4641
미림서적
북스토어(이태원) 02-793-8249
뿌리서점(용산) 02-797-4459
사당문고(사당역) 02-3472-5555
삼선서림(한성대입구) 02-747-3444, 016-9292-3698
삼우서적(봉천동) 02-889-8823
상계책문고(노원역) 02-931-9453
상문서점(태릉입구역) 02-977-3857
새한서점(고려대) 02-929-0648,922-3793 →지방으로 이전
서대문도서(서대문역) 02-392-8180
서문서점(강서도서관)
서울북마트(서울역) 02-701-8327,017-365-3432 →인터넷 헌책방으로 변신
서울서점(미아역) 02-983-4501
서적백화점(개포동-도곡역) 02-577-9876
송가책방(돌곶이역) 02-965-5965
송천헌책방(미아세거리역) 02-982-0886, 011-272-7471
송파도서(석촌역) 02-421-6961,016-313-4402
수현헌책방(목동역) 02-2607-5223, 019-209-5223
숨어있는 책(노고산동) 02-333-1041
신고서점(외국어대) 02-960-6423
신동아서점(대림역) 02-864-7729, 011-0449-7729
신영서점(개농역) 02-404-3375, 016-299-3374
신일서점(수유역-화계사) 02-908-9552
신진서점(종로6가) 02-2275-1831
안흥책서점(미아삼거리) 02-911-8211
알뜰서점(신림역-신림고 네거리,신대방역) 02-865-2442
애비북스(이태원역) 02-795-4253
연구서원(서대문) 02-738-0174, 019-694-0602
연남서점(북가좌동) 02-302-8407
영광서점(망원역) 02-337-6064 →동묘앞으로 이전
영지서점(태평백화점) 02-595-1471
오거서(홍익대 뒤) 02-333-3282, 011-9946-3282
온고당(홍익대) 02-335-4414,322-9313 →외국 디자인 전문서점으로 변신
우리글방(숭인동) 02-923-4129
우리서점(중곡동)
우일서점(등촌동-발산역) 02-691-4491
원천서점(신촌) 02-715-9151
이오서점(성신여대) 02-926-6368
작은우리(불광동) 02-383-6263
정은서점(연세대) 02-323-3085
조은책방(왕십리-한양여고) 02-2296-8185, 017-290-0886
중앙서점(신길-대신시장) 02-847-8434, 016-327-8434
중앙서점(외국어대)
진양서점(방학동) 02-3491-4865
진호서점(노량진) 02-815-9363
쪽 책방(인사동-비어플러스 술집 들어가는 들머리에)
창동서점(수유역) 02-906-2286
책나라(경희대) 02-960-7484,011-304-6048
책방 책사랑(애오개) 02-365-5842
책백화점(상계역) 02-932-8233
책벌레(암사역) 02-428-6781,019-227-1377
책상은책상이다 (서울대) 02-886-1958
책의향기(미아삼거리역) 02-919-3583,016-761-2982
책읽는마을(증산동) 02-373-6564,7803 →동묘앞으로 이전
책창고(대치동) 02-557-1616 →사당역부근으로 이전
책창고(분당-초림역) 031-719-2939
책창고(서울대) 02-886-3737
천지서점(성수역) 02-469-2107, 011-702-2407
충남서점(방화동) 02-664-1475
통문관(인사동-옛책방) 02-734-4092,011-709-7761
평화서점(전농동) 02-2243-3684
한고서점(배명고-석촌역) 02-419-6802, 019-224-3700 →일반 서점으로 전환
한솔서점(대치동 도곡시장) 02-5625-234
합서점(가회동-중앙고 옆)
헌책방(방배역) 02-584-1480
헌책백화점(구산역) 02-355-7158
헌책백화점(상계동)
헌책백화점(연신내-옛 글방) 02-355-7158
헌책백화점(청구역) 02-2252-3554
헌책음반사고팔고(보라매역) 02-824-8033
현대서점(신림동) 02-877-7561
형제서점(개화산역) 02-663-4385
혜림문고(미아역)
혜성서점(혜화여고) 02-741-0143, 011-253-0143
홍문관(청계천) 02-2265-3356
황룡서점(대청역-대청공원) 02-2226-9414,018-321-0587

흙서점(낙성대) 02-884-8454 


위의 헌책방들을 거의 대부분 방문해 본적이 있는데 지금 다시 보니 상담히 많은 헌책방이 문을 닫았네요.책 한권 보기 힘들만큼 세상살이가 몇년 사이에 많이 힘들어졌나 봅니다ㅜ.ㅜ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님 2011-10-09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잡지류가 많이 있는 곳은 어디어디인가요??

카스피 2011-10-10 20:16   좋아요 0 | URL
글쎄요.잡지류는 보통 양념격이어서 헌책방마다 그다지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어떤 종류의 잡지를 원하시는지요?
 

이미 몇몇 블로거들의 서재글을 읽고 알라딘 헌책방이 생겼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온라인 인터넷 서점이 알라딘이 특이하게도 오프 라인에서 헌책방을 제일 먼저 open했다는 사실이 좀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알라딘 헌책방은 9월 11일 open했다고 하는데 이와 관련된 뉴스는 아쉽게도 16일에 나왔네요.뭐 헌책방 관련 기사다보니 아무래도 비중이 좀 작아서 그런가 봅니다.
알라딘 마법처럼…나이트클럽의 헌책방 변신

저도 여러 알라디너분들의 글을 보고 지난주에 알라딘 헌책방을 다녀왔습니다.유명 의류 브랜드 지하에 있어 찾기 쉬운데다 오렌지색으로 알란딘 헌책방이라고 입구에 일종의 아치기 있어 더욱 찾기 쉬었습니다.오전에 갔음에도 불구하고 종로 2가 한복판에 있다보니 넥타이를 맨 직장인들과 젊은층들이 상당히 많은 것 같아 좀 성급한 생각이지만 성공 가능성이 보이더군요.
알라딘 헌책방은 예전에 나이트 클럽 자리라고 해서 그런지 몰라도 상당히 큰 규모의 헌책방이기에 우리가 아는 일반 헌책방과는 달리 상당히 쾌적하게 책을 고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책을 계속 입고되는 것 같지만 아직까지 open초기다 보니 서가가 아직 빈곳이 상당수 있지만 아마도 조만가 꽉꽉 채워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책도 거의 새책과 같은 수준이기에 조만간 종로 2가의 명물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며 인근의 리브로나 영풍문고도 상당히 긴장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ㅎㅎ 내심 이 두 서점도 자체적으로 매장내에 헌책방 코너를 만들지 않을까 여겨집니다.

알라딘 헌책방은 일반 헌책방과 견주어서 대단한 경쟁력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저도 서울시내 헌책방을 거진 다 돌아다녀 봤지만 알라딘 헌책방만큼 지형적으로 유리하고(보통 헌책방들은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어 일반인들이 찾기 힘든 편입니다),쾌적하게 책을 고를수 있는 매장은 없다(동대문 헌책방은 보통 3평내외,가장 큰 매장들도 30~50평을 넘기 힘듭니다)는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시간이 바쁜 현대인에 생활에 발 맞추어 모든 헌책의 검색이 가능한데,이건 정말 대단한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뭐 워낙 매장이 커서 다른 헌책방에 비해 책 찾기가 대단히 수월하지만 컴퓨터로 단말기만 두들기면 바로 책을 찾을수 있지요.뭐 온라인 판매를 겸하는 대형 헌책방에서도 도서를 DB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건 보통 책방주인이 인터넷에 책을 올리기 때문에 손님들이 매장에서 이용할수 없지요.
이런점에서 몇몇 헌책방을 사랑하는 블로거들은 기존 헌책방의 생존권을 걱정하기도 하는데 좀 걱정이 되긴 하더군요.

사실 대형 헌책방이 이른바 노란자위 땅에 생긴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2~3년 전인가 강남역 부근 지하에 있던 강남 리브로가 강남 교보에 밀려서 헌책방으로 변신한 적이 있었지요.저도 몇번 가보았고 알라딘 헌책방 못지않게 쾌적하게 책을 찾을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헌책들이 전산화 되어 있진 않았습니다.
손님들도 꽤 많았었는데 결국 강남 리브로 헌책방은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가장 큰 이유는 역시 헌책 판매 금액만으로 직원 봉급과 매장 임대료를 내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결국 폐점하지 않았나 여겨집니다.게다가 강남 리브로 헌책방은 알라딘과는 달리 헌책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루트가 없어서 그러지 않았나 추축되는군요.
강남 리브로 헌책방에 비해 알라딘 헌책방은 지속적으로 알라디너로부터 헌책들을 구매하고 각 출판사의 재고도서를 받아서 운영할 것으로 예상되어 헌책 및 재고도서 문제는 없이 않을까 생각됩니다.
역시 가장 큰 문제는 헌책 판매로 매장 임대료 및 직원 봉급을 제대로 줄수 있는가 하는 점이겠지요.일반 헌책방들이 매장과 인터넷 판매를 겸업하다가 매장을 없애고 인터넷 판매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임대료 때문인데 알라딘은 인터넷에서 헌책을 판매하다가 거꾸로 오프라인 헌책방을 open하는데 과연 어떤 결과를 낳을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아무튼 좋은 책들이 상당히 많이 그리고 저렴하게 나와 있어 많은 분들이 애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사족인데 알리딘 헌책방에 관해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알고 있는데 제가 알던 분이 알라딘 헌책방이 나이트 클럽을 하던 시절에 바로 위 1층 매장에서 의류 매장 인테리어를 하셨다고 합니다.낮에는 시끄러워서 밤에 공사를 했는데 아래가 나이트 클럽이다 보니 공사가 매우 시끄럽다 보니 결국 깍두기 형님들이 올라오셨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깍두기 형님들한테 잡혀가 보스한테 무릎꿇고 손들고 서있었다고 하더군요.그때 정말 산속에 파묻히는 줄 알았다고 하던데 그런 장소가 이제 문화의 공간으로 바뀌었다고 하니 참 재미있습니당^^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ti 2011-09-25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스피님도 다녀오셨네요. 알라딘헌책방 개점에 대한 페이퍼들이 속속 올라오는 것을 보니 알라디너들이 알라딘에 갖는 애정은 좀 남다른 것 같아요.

카스피 2011-09-25 20:25   좋아요 0 | URL
뭐 저야 헌책방을 자주 돌아다녀서 그런데...아무튼 일반 헌책방보다 접근성과 편리성이 훨 낫더군요^^
 

어제 갑작스런 정전이 일어나 다들 놀라셨지죠.ㅎㅎ 저도 잘못했으면 큰일 날뻔 했지요^^;;
어제 친구를 만나러 시내로 갔다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렸는데 내린 직후에 엘리베이터가
갑작스레 멈추더군요.그러면서 건물내 불도 모두 나가 어두워지네요.
어라 정전인가하면 일단 계단으로 내려와 경비실에 엘리베이터가 멈춘 것 같으니 확인해 보시라고 말해주고 나왔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집으로 돌아와서 인터넷을 보니 전력량이 급증해서 한전에서 강제적으로 순환 단전을 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제가 몇차례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험이 있었는데 119구조대나 혹은 엘리베이터 정비 기사들이 오면 무사히 구출될수 있어 그리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더군요.폐쇄 공포증만 없다면 엘리베이터에 갇혔다고 패닉 현상에 빠질일은 없는데 엘리베이터는 2중의 안전 장치가 있어 가끔 영화에서 보듯이 바닥으로 급적 직하하는 일은 없다고 합니다.
제가 엘리베이터에 갇혀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그 안에 많은 사람들이 타고 있어 구조 시간(아마 한 30분 정도였던 것 같네요)내내 마치 러시아워 지하철속 모양 사람들과 부디끼며 서 있었던것이지요.
하지만 기사를 보니 이번 경우는 정전으로 인해서 엘리베이터내의 등까지 꺼져 완전 암흑천지가 된데다가 서울 곳곳에서 엘리베이터에 갇힌 사람들이 많아 119구조대들의 손이 딸려 구조 시간이 상당히 길어졌다고 하는군요.

이런 기사를 보니 비록 엘리베이터에 몇번 갇힌 경험이 있다고 하지만 이번같이 등도 꺼지고 구조 시간도 길어진다면 저역시도 무척 당황했을 거란 생각이 들면서 모골이 송현해 집니다.정말 간발의 차이로 죽다 살아났네요ㅜ.ㅜ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스탕 2011-09-16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카스피님도 피해를 볼 뻔 하셨군요.
다행히 저희 동네는 정전되지 않고 잘 넘겼어요. 옆 아파트 단지는 정전이 됐다던데 말이에요.
어제 뉴스 보면서 저른 웃기지도 않는 넘들을 봤나.. 한참 욕을 해 줬었죠 -_-++

카스피 2011-09-19 08:34   좋아요 0 | URL
넵,큰일날뻔 했지요.정말 넘넘 한심합니다ㅜ.ㅜ

후애(厚愛) 2011-09-19 0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인터넷 뉴스를 보고 알았어요.
엘리베이터에 몇 시간을 갖혀 있었다고 생각하면... 생각도 하고 싶지가 않네요.

카스피 2011-09-19 08:34   좋아요 0 | URL
제 경험상 보통 30분안에 구조되는데 이번처럼 대규모 정전일 경우는 몇시간동안 갇힐수 있으니 참.....저도 생각하기 싫어용 ㅜ.ㅜ
 

우리 고유의 명절 추석이 벌써 내일이네요.많은 분들이 고향에 이미 다들 가셨겠네요^^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답니다.올해 꼭 이루고 싶은 소망있으시죠?..
올핸 달님이 모든 알라디너 여러분들의 소원을 꼭 들어주실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행복은 마음먹기 나름이라고 하는데 작은 기쁨들이 모여 큰 행복이 된다고하니 사는게 바쁘고 힘드시겠지만, 살면서 느낄 수 있는 작은기쁨 놓치지 마시고, 즐기시면서 즐거운 추석 명절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 ▶◀ //\\*
* (*^^)(^^*) *
┏○━♡♡━○┓
┃추석잘보내^^┃


.*"'"*. 보름달
* ^o^ * 처럼~
'*.,.*'   /)/)
예쁘고행복(^-^)
한추석되세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jy 2011-09-15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석 명절은 예쁘고 행복하게 잘 보내셨나요? 연휴동안 미뤄둔 회사 일은 정신없이 바쁘긴 하네요^^;

카스피 2011-09-16 08:28   좋아요 0 | URL
ㅎㅎ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