싹수없는 며느리 VS 파란 눈의 시아버지
전희원 지음, 김해진 그림 / 모티브북 / 2004년 10월
장바구니담기


외출했다 늦게 들어온 우리를 시아버지가 반갑게 맞으시며 너희 주려고 수프 끓여놨다 하시는데 불길한 예감에 얼핏 휴지통을 보니 그냥 라면도 아닌 너구리 봉투가 보였다. 라면을 오래 끓일수록 구수한 맛이 나는 파스타 수프와 같은 거로 생각하신 시아버지께옵서 두 분이 식사하시던 두 시간 전부터 너구를 미리 끓여놓으신 거였다.

해맑게 미소 지으며 냄비 뚜껑을 열어 자랑을 하시는데, 그렇지 않아도 오동통한 너구리가 우둥퉁한 너구리가 되어 냄비 안을 하얗게 채우고 있는 게 보였다. 오, 주여....!
-30-31쪽

친정 식구에게 축복받지 못한 결혼을 하고 낯선 타국에서 새 삶을 꾸려간다는 공통점은 우리를 고부간이라기보다는 같은 아픔을 지닌 동지로 묶어줘서, 우리의 산책길은 집에선 나누지 못했던 이야기 보따리를 푸는 우리만의 야자타임이 되었다.

한.프 양국의 먹거리 자랑을 한참 하다 보면 시아버지에게 부엌을 뺏기고 먹고 싶은 것도 마음껏 해먹지 못하는 팔자 타령으로 이어져 한숨을 내쉬지만, 시아버지가 전 세계 요리를 당신처럼 해내라며 주리를 틀었으면 어쩔 뻔했느내? 그래도 먹여가면서 괴롭히니 다행이다라는 한결같은 결론을 내리고 하산을 하곤 한다.

처음 캐나다에 왔을 땐 우리 부부도 여러 가지 일로 싸움이 잦아서 어머니께 하소연하며 함께 껴안고 울기도 했는데, 그때마다 어머니는 내 귓가에 이렇게 속삭이곤 하셨다. "우리가 비록 지금은 울고 있지만, 그래도 잊어선 안 돼. 'La vie est belle'(인생은 아름다워)"
-94쪽

유럽인들이 시에스타를 즐기는 건 알고 있었지만 시댁에 와서 보니 장난이 아니었다. 의무가 아니라 선택인 줄 알고 까불다가 두 분 낮잠을 깨운 적이 있는데 옛날 스페인에서는 낮잠 깨우는 사람은 죽여도 정당방위로 간주되었다는 무시무시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 후 살해 위협 속에 억지로 낮잠을 청하곤 했는데, 지금은 나도 흉기를 머리맡에 두고 낮잠을 잔다. zzz...
-15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웬즈데이
에단 호크 지음, 우지현 그림, 오득주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4년 11월
품절


내 안 깊은 곳 어딘가에 내가 세상 모든 것과 연결돼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곳이 있다. 그 모든 것이란 단지 나무나 풀, 동물뿐 아니라 빌딩과 계단, 바위와 도로에 이르기까지 그야마로 모든 것을 말한다. 그곳은 죽음처럼 조용하고 그 누구와도 나눠보지 못한, 아마 공유하는 거이 불가능한 그런 장소일 것이다. 그곳이란 내 몸이 술에 취해 비틀거릴지라도 차갑고 맑은 정신으로 남아 있고, 은하계의 다른 지역에 안테나를 맞추고 고요히 기다리는 또 하나의 의식을 말한다. 그러한 나의 일부분을 결혼식에 불러오고 싶다. 나의 혼인 서약이 그런 내면 공간의 중심에서 우러나길 바란다.
.
.
내가 결혼을 하든 안 하든 아무도 나에 대해 완전히 알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나의 가장 진솔한 자아는 항상 소원하게 혼자 남겨질 것이다. 나의 제한적이고 괴팍한 신앙을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설사 표현한다 해도 너무 극적으로 포장해서 오히려 하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망연한 분노로 가득 차오르는 익숙한 느낌이 다시 고개를 내밀었다. -192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리스 2005-09-06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켈리님, 안녕하세요~ ^.^
네, 에단호크 이 남자 지적이면서도 외롭고 좀 불안해보이는 남자죠.
사실, 책 자체가 아주 맘에 드는건 아닙니다만 (번역이라거나 기타 또 사소한 문제가) 그래도 읽어볼만한 책입니다. 종종 놀러오세요~
 
섹스의 진화 - 제러드 다이아몬드가 들려주는 성의 비밀 사이언스 마스터스 1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임지원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6월
장바구니담기


미국의 남편들에게 그 자신과 부인이 자녀 양육 및 가사에 바치는 시간을 각각 어림해 보라고 했을 때 남자들은 대부분 자신이 바치는 시간은 실제보다 부풀려 어림하고, 부인이 바치는 시간은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는 다른 산업화된 나라들, 이를테면 내가 개인적으로 좀 아는 나라들인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폴란드와 같은 곳에서는 자녀 양육과 가사에 대한 남자들의 기여도가 그나마 더 적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남자들이 대체 어디에 쓸모가 있을까 하는 질문이 인류학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내에서도 자주 회자되는 것이 아닐까?-202-203쪽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5-09-04 2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 쓸모있는 구석을 찾아보십시오. ㅠ_ㅠ

이리스 2005-09-04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뒤적뒤적~~

이매지 2005-09-05 0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자가 쓸모 있을 때는, 안 열리는 병뚜껑을 열 때. 쿨럭.

이리스 2005-09-05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하하핫... ㅜ.ㅡ

이네파벨 2005-09-06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아는 남자분은 평생 가사일을 딱 한번 도와주셨는데...
참치캔을 톱날같이 생긴 오프너로 열심히 따서 열어주셨답니다.
원터치캔의 뒷(바닥)부분을 말이죠....^^;;;

병뚜껑 얘기를 보니 떠올라서요...^^

저도 주부인데 나이들수록 느느니 뱃살과 힘이어서...
제가 못여는 병뚜껑은 남편도 몬열더라구요...ㅠ.ㅠ

이리스 2005-09-06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네파벨님, 처음뵙네요. 안녕하세요~ ^^
참치캔 따기가 참 힘들죠. 그래도 요즘엔 따기 편하게 원터치 형식이라 좀 낫죠.
병뚜껑.. 그거 안따지는거 따려다가 얼굴 벌개지고 뒤로 나동그라지던 아픈 기억이... ㅠ.ㅜ
 
새로운 눈으로 보는 독일 생태공동체
국중광 외 지음 / 월인 / 2005년 6월
장바구니담기


대안사회의 형태를 창출하려는 생태공동체의 문제제기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인간답게 살고자하는 내적 필연성(인생의 가치)으로부터 온다. 이런 내재적 요청은 바로 넓은 의미에서 '윤리적 요청'이다. 그래서 윤리적 문제는 인간이기에 인간답게 사는 문제 즉 오이코스의 특징이 알려주듯이 우주 안에서 자기의 본연의 모습을 찾아내고 그것에 따라 영성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생태예숙가들은 미술과 디자인을 통한 창작과정 속에서 그리고 또 일상속에서 실천하고 있음을 살펴봤다. 그러나 그들에게 삶의 의미와 가치는 영성적 실습을 통해 자신의 본래 자리를 지키고 그곳에서 살아감으로써 생기는 내적 경험에 있다. -300쪽

대안을 구축하는 운동은 경제.사회 부문만이 아니라 정치에 있어서도 절실하다. 대안정치는 대안정치의 폐단을 줄이고 완전한 자치로 가기 위한 과정이기도 하다. 유럽의 녹색당, 일본의 가나가와네트워크의 지역정당, 대리인제도 등이 많이 소개되었으나 우리는 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 과정에서 자치의 가치가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다. 초록정치연대 등이 지역과 자치에 근거한 대안정치를 모색하고 있다. -5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로 라이프 - 우리가 꿈꾸는 또 다른 삶
쓰지 신이치 지음, 김향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5년 2월
구판절판


내가 좋아하는 호피족의 격언 가운데 이런 것이 있지. '인생에 있어 가장 긴 야행, 그것은 머리에서부터 마음에 이르는 여행'이라고. 머리만으로 생각하는 빠르고 경박한 사고를 전통문화는 높이 평가하지 않았지. 중요한 것은 충분한 학습 과정인 거야. 예를 들어 예의라든가 관습이라든가 생활 기술을 익히는 방식은 멀리 돌아가고 시간이 걸리고 비효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수백 년, 수천 년 동안 문화가 생생히 이어져 온 것은 그러한 학습 방법 덕분이었다고 생각하네. 거기서는 느림이 바로 키워드인 셈이지.-1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