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 - 역사 속 한 끼 식사로 만나는 음식문화사의 모든 것
박현진 지음, 오현숙 그림 / 책들의정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식에 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인들이 즐겨 먹는 음식의 기원과 역사를 설명한 책들이 다수 출간되었다. 대부분의 책이 역사나 문화인류학에 근거한 반면, 이 책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은 과학, 그중에서도 식품공학에 기반을 둔다. 저자 박현진은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품공학과 교수이자 건강기능식품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이 책은 저자가 2015년 겨울부터 조선일보에 연재한 칼럼 <아하! 이 음식> 중에서도 인기 있었던 글을 갈무리한 결과물이다. 


가을이 오고 찬 바람이 불면 생각나는 청국장은 대체 언제부터 어떻게 만들어 먹기 시작했을까? 청국장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중국 한나라 시대 때 메주의 초기적인 형태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 콩을 재배하던 농경인이 여름철 장기 여행을 위해 삶은 콩을 말의 안장 안쪽에 넣어 두었는데 먹기 위해 꺼내보니 끈적거리는 청국장의 형태가 되어 있었고, 먹어보니 제법 먹을 만하지 않았을까 싶다. 청국장을 조리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청국장에 들어 있는 혈전 용해 요소는 끓는점에서 쉽게 파괴되므로 먼저 채소나 고기를 넣고 끓이다가 마지막에 청국장을 넣는 것이 좋다. 


서양 사람들만 와인을 만든 것이 아니다. 우리 조상들도 야생의 산포도로 포도주를 만들었다는 고려 시대 기록이 남아 있다. <양주방>에 의하면 고려 시대의 포도주는 포도즙과 찐 찹쌀, 소맥가루를 섞어 만들었다고 한다. 이는 쌀막걸리를 만들 때 포도즙을 혼합하여 만드는 방식으로 만든 쌀포도주와 유사하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쓴 <임원십육지>에도 포도주 만드는 법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쌀포도주는 드라이한 맛의 서양 와인과 달리 당도가 높다. 


막걸리에는 건강 증진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과 식이섬유, 당질은 물론, 다량의 효모와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고, 막걸리를 빚는 전통 누룩에는 급성 및 만성 위궤양 억제, 혈소판 응집에 의한 혈전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염증 매개체 생성 억제, 암세포 전이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부의 주름을 제거하고 피부를 희게 하는 효과도 있다(아 막걸리 마시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은 왜 빵빵 할까? 질문하는 사회 5
조지욱 지음, 김혜령 그림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는 정말 살아있을까? 간척을 하면 영해는 넓어질까? 남극 대륙의 주인은 누구일까? 궁금하다면 이 책 <유럽은 왜 빵빵 할까?>를 읽어보길 권한다. 저자 조지욱은 부천의 한 고등학교에서 한국 지리와 세계 지리를 가르치고 있다. 이 책은 지리학의 주요 이슈와 최근 이슈를 중심으로 땅, 기후, 재해, 갈등, 한국, 세계라는 6개의 주제를 알차고 흥미롭게 풀어낸다. 


이 책은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쓰였지만 성인 독자도 모를 법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인 평창은 과거에도 고원이었을까? 지리학을 배우면 이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있다. 평창은 현재 태백산맥의 중앙에 위치하며 평균 고도 700미터의 고원 지대다. 하지만 고생대 때는 바닷속이었고 중생대 때는 높고 험한 산지였다가 중생대 말에 평야가 되었고 신생대에 들어서 동해가 생기면서 지금과 같은 고원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평창이 고생대 때 바다였다는 증거는 그 주변 지역에 많이 있는 시멘트 공장이다. 시멘트의 원료는 석회암이고, 석회암은 고생대 때 만들어진 암석이다. 


프랑스 하면 바게트, 독일 하면 브레첼, 영국 하면 잉글리시 머핀, 덴마크 하면 데니시 페이스트리다. 이들 북서 유럽의 나라들은 왜 전부 빵을 주식으로 삼았을까? 지리학을 배우면 이 질문에도 쉽게 답할 수 있다. 북서 유럽은 대부분 중위도에 속하며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에 있고,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편서풍은 온도가 높지 않아 서늘하고 건조해도 잘 자라는 밀을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밀은 그냥 먹으면 까칠하고 텁텁하니 빵이나 면으로 만들어 먹었다. 이 밖에도 재해, 갈등과 분쟁, 한국, 세계와 관련된 문제들에 관한 지리학적 답변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 전2권 - 직업상담직렬 공무원 시험대비
김형준 지음 / 배움 / 201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직업상담사를 꿈꾸는 수험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만한 교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회화 핵심패턴 233> 9주차 학습을 마쳤습니다. 교재 구입하고 학습을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한 주차 학습만을 남겨두고 있다니 감개무량합니다 ^^ 


이번 주에는 추석 연휴를 이용해 진도를 많이 나갔습니다. 그동안 팟캐스트 업로드 속도에 맞추어 하루에 한 패턴씩만 학습했는데, 10월 첫째주까지 책 한 권을 마치려면 진도를 더 많이 빼야겠더군요. 그래서 하루에 6~7패턴씩 학습했습니다. 학습은 예전처럼 QR 코드를 이용해 음성 파일을 청취하고 노트에 문장을 받아쓰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이번 9주차에는 what, who, which, where, when, why, how 등 의문사를 이용한 패턴과 should, have to, had better 등을 이용한 패턴을 학습했습니다. 패턴 자체는 어렵지 않았지만 여행, 출장, 비즈니스 등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사용되어 있어서 가능한 한 꼼꼼하게 학습했습니다. 학습한 내용이 모두 제 머릿속에 고스란히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힘 있는 여성 - 페미니즘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스베냐 플라스푈러 지음, 장혜경 옮김 / 나무생각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0페이지에 불과한, 책이라기보다 책자에 가까워 보이는 이 책은 보기보다 큰 주제와 논의를 담고 있다. 저자 스베냐 플라스푈러는 1975년 독일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철학 잡지>의 편집장이다. 저자는 오랫동안 여성 문제에 관심이 있었고, 20대 중반에는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읽고 크게 심취했다. <젠더 트러블>에서 주디스 버틀러는 '흔히들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 이성애적인 성 정체성을 고착화함으로써 우리 모두가 추종하고 있는 "이성애 매트릭스"를 비판하며, 그 정체성을 부수자고 말했다. 


저자는 이에 크게 공감했고, 자신의 이성애 성향에 의문을 품기까지 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해체주의적 페미니즘'은 생물학적 성을 부정함으로써 여성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걸 인식했다. 사회가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하고 '남성성'을 '여성성'보다 높이 평가하는 것은 분명한 잘못이다. 하지만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차이를 부정할 수는 없으며("페니스를 가진 인간은 질과 음핵의 오르가슴이 어떤 것이며, 생리와 임신, 출산과 수유가 어떤 기분인지 절대 알 수 없다."), 여성주의 또한 결국에는 여성의 신체, 즉 여성의 몸을 탐구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이 책에서 저자는 오늘날 전 세계에 퍼지고 있는 미투 운동이 여성의 몸을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종래의 남성 중심적인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한다. 물론 여성의 몸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고 성폭행을 저지르고도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큰 잘못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저항의 방식이 '#NoMeansNo', '#YesMeansYes' 같은 해시태그를 다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여성은 여성 자신이 원하는 바를 보다 똑똑하고 분명하게 말해야 하며, 남성들이 이런 목소리에 귀 기울여 줄 것을 그저 '기다리고' 있어서는 안 된다. 완벽하게 공감하지는 않지만 일리 있는 주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