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반디지치

첫눈맞춤하는 식물은 내가 찾았다기 보다는 자신을 보여주기 위해 나를 불렀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올해 두 곳에서 생각치도 않은 만남을 했다. 이런 만남이 있기에 길을 나서는 마음은 늘 설렘이 따른다.

밝은 청색의 꽃이 녹색의 풀숲에서 환하게 빛나고 있다. 사진으로 눈에 익혀둔 것이 있어 첫만남에서도 반갑게 이름부르며 눈맞춤 할 수 있다.

반디지치는 '반디'와 '지치'의 합성어다. '반디'는 '반딧불이풀'의 준말, '지치'는 뿌리가 지치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비슷한 식물로 지치, 개지치, 당개지치 등이 있다. 수년 전 당개지치를 만났고 올해 반디지치를 봤으니 언젠가 기회가 되면 다른 식물들도 만날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광대수염

매년 같은 곳을 같은 시기에 찾으면 늘 숨어피는 식물들의 안부가 궁금하여 여기저기 기웃거리기 마련이지만 어떤 식물은 길가에 나보란듯이 피어서 발걸음을 환영한다. 그중에 하나가 이름도 독특한 이 식물이다.

광대수염, 꽃잎 밑에 달린 꽃받침 끝이 수염처럼 뾰족하게 나왔는데, 이것이 꼭 광대의 수염 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꽃 하나로 본다면 자주색으로 피는 광대나물과 비슷한 모습이다.

들풀이나 나무의 꽃이나 독특한 생김새를 보면 이름부터 알고 싶다. 이름이 그 식물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이름을 불러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통하는 무엇이 있기 때문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그 자리에서 반겨주는 꽃을 만나는 호사를 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벌깨덩굴
쌍쌍이 핀 꽃이 눈을 부아리고 한쪽 방향을 노려보는 듯하다. 한번 보면 잊지 않게하는 강렬한 인상이다. 크기도 작지 않아 금방 눈에 띈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숲 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벌들이 좋아하고 잎이 들깻잎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왜 덩굴이라고 할까 싶었다.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덩굴이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꽃줄기가 된다니 비로소 알겠다.

5월에 자줏빛으로 피는 꽃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서 한쪽으로 달린다. 꽃의 모양이 길고 입구가 갑자기 굵어진다. 아래쪽 꽃잎의 가운데갈래조각은 특히 크고 옆갈래조각과 함께 짙은 자주색 점이 있으며 긴 흰색 털이 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하는 벌깨덩굴은 '순결', '존엄'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치기완두
잠깐의 짬이 나 길가 풀숲에 눈길을 둔다. 보일듯 말듯 작디작은 꽃이 보인다. 자세히 봐야 겨우 보이는 크기라 지나치기 일쑤다.

작다지만 갖출건 다 갖추었다. 앙증맞은 모습에 선명한 줄무늬가 눈길을 사라잡는다. 무엇인가를 유심히 바라보는 것 같기도 하고, 눈맞춤하는 낯선 이와 같은 흥미로움으로 호기심 천국을 그대로 담았다.

얼치기완두, 미소가 절로 나는 이름이다.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기 때문에 '얼치기완두'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얼치기란 '똑똑하지 못하여 탐탁하지 않은'이라는 뜻이니 식물에게는 억울할 일이지만 또 이 덕분에 확실히 기억되기도 하기에 그다지 손해보는 것은 아닌듯 싶다.

가냘픈 몸에 걸맞는 앙증맞은 모습이 독특한 이 얼치기완두의 수줍음이 다양한 이야기를 품고 있는듯 하다. '나를 사랑해주세요' 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낭화
환경에 따라 흔한 꽃도 쉽사리 볼 수 없다. 이렇게 때를 놓치거나 장소가 어긋나 만나지 못한 것이 꽃 뿐이 아니다는 것을 세삼스럽게 느낀다. 어쩌면 내일 내일 그렇게 미루다 놓치고 마는 것을 줄이는 일이 행복의 조건은 아닐까 꽃을 보는 과정에서 배운다.

과하지 않은 색으로 정갈하고 곱게도 단장을 했다. 하트 모양에 하얀 속살이 빼꼼히 보인는 것이 이 꽃 특유의 매력 포인트 중 으뜸이다. 하나로도 충분한데 줄줄이 매달아 아름다움을 자꾸만 더해가니 그 수고로움에 담긴 향기가 가득한 이유가 되리라.

금낭화라錦囊花라는 이름은 세뱃돈을 받아 넣던 비단 복주머니 모양과 비슷하고, 꽃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 있어 금주머니꽃이라는 뜻으로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꽃의 생김새가 옛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니던 주머니와 비슷하여 며느리주머니, 며늘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소곳이 고개숙이고 줄지어 피어나는 모습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는 '당신을 따르겠습니다'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