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펜실베니아 북부 한 철도 조차장에서 일어난 어이없는 사고. 기관사가 조정실에서 내려 철로변경 레버를 움직이려 하는 순간, 열차의 브레이크가 풀렸고 달리기 시작한다. 설상가상으로 열차에는 폭발성 물질로 가득 찬 탱크가 연결되어 있었다. 열차를 세우거나 차선책으로 탈선시키기 위한 모든 계획들이 수포로 돌아갈 무렵, 강제 퇴직을 앞두고 있던 프랭크와 그에게 일을 배우고 있던 윌이 열차를 세우기 위한 마지막 작전에 돌입한다.

 

 

 

 

 

2. 감상평 。。。。。。。                     

     위험한 물질을 가득 실은 열차를 세우기 위한 영웅들의 이야기라면 처음부터 속도감을 잘 살려내는 게 영화의 관건이었다. 감독과 배우들은 어느 정도 이 미션에 성공을 한 듯하고, 덕분에 영화를 제법 몰입도 있게 즐길 수 있었다. 어차피 인물들 사이의 심각한 내적 갈등이나 복잡한 인간관계 같은 걸 중심으로 삼지 않았기에 머리 아플 일도 없다. 그냥 편하게 즐기면 되는 영화. 1억 달러 이상의 엄청난 자금을 컴퓨터 그래픽이 아닌 현장 제작에 쏟아 부어 만든 영화답게, 요즘 자주 보이는 식의 인위적인 영상과는 다른 아날로그적 향기가 듬뿍 느껴진다.

 

     영화 속 사고의 원인 물론 기관사의 부주의 때문이기도 하지만, 첨단 기술에 대한 과신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열차의 운행과 관련된 모든 통제를 컴퓨터를 이용해 중앙에서 완전히 컨트롤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정작 사고가 나고 나서는 무용지물로 변해버렸다. 자동으로 운행되는 열차 시스템은 인간으로부터 비롯되는 부주의와 실수를 방지해주기도 하지만, 역으로 기계와 기술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를 막아주지는 못하는 거였다. 시스템을 더 정교하게 만들면 되지 않겠느냐는 반론은, 요점을 잘못 짚은 것.

 

     약간 옛날식의 영화긴 하지만, 볼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신에 대해 할 이야기가 별로 없다는 것은

사는 재미가 없다는 뜻이다.

모여 앉으면 누가 아파트 팔아서 돈 번 이야기나

주고받는 삶은 삶이 아니다.

자기가 찾은 작은 즐거움에 관해 가슴 벅차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삶이 진짜다.

 

- 김정운,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죄에 대한 최상의 대처 방법은

자신을 비하하지 않으면서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의 필요성을 깨닫고 치유를 소망하는 것이다.

…………

우리는 죄를 지었기에 저주의 대상이 아니고

죄를 용서하고 해결해 주시는 하나님이 필요한 대상이다.

 

- 마크 맥민, 채규만,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된 기독교 상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줄거리 。。。。。。。           

 

그리 멀지 않은 미래의 어느 날. 자체적인 군대를 보유하고 있는 주식회사인 ‘타마린(Tamerlane)’은 중동의 가상 국가 투라키스탄를 폭격해 초토화를 시킨 후, 재건을 명분으로 박람회를 열어 개발이권을 팔아넘기려 한다. 하지만 여기에 귀찮은 존재가 나타났으니 오마 샤리프라는 이름의 석유재벌이 투라키스탄 전역에 송유 파이프관을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 재주는 자신들이 넘고 돈은 엉뚱한 사람이 가져가는 걸 막기 위해 파견된 전문 킬러 브랜드 하우저. 오마샤리프를 제거하기 위해 파견된 하우저가 좌충우돌 벌이는 약간은 어설픈 활약기.

 

 

2. 감상평 。。。。。。。                  

 

     "악당을 없애기로 계약했는데 병원 노동조합원, 기자, 농업회사, 가톨릭 해방신학자, 몰락한 콜롬비아 커피 농부 이들이 야만인이고 타락한 문명 반대자들이라고? 우린 중앙아메리카를 묘지로 만들었어요."

 

     영화 속에서 브랜드 하우저가 했던 대사 가운데 한 부분인데, 이 영화의 주제를 드러내주는 핵심적인 내용이다. 기존의 가장 큰 준거집단이었던 국가에 대한 소속감이 점차 약화되면서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조직이 바로 기업이다. 다국적 기업이 확산되면서 더 이상 특정 국가에 소속되지 않게 된 그들은 오로지 ‘이익’만을 위해 일하는 조직으로, 당연히 정의나 평화와 같은 가치들은 안중에 없다. 이런 조직들이 권력을 잡을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영화는 여실히 보여준다. 얼마든지 전쟁을 일으키고, 이익을 가로막는 사람들은 암살해버리면 그만이라는 식의 태도. 개인의 자아실현의 기회는 사라지고 오로지 힘과 물질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이 모든 것을 조종하는 세상.

 

 

     다만 이 괜찮은 주제를 가지고 영화를 이렇게 밖에 만들 수 없었나 싶은 생각에 아쉬움이 많이 든다. 일단 영화의 장르 자체가 대단히 모호해져버렸는데, 영화 전체에 걸쳐 등장하는 풍자와 조소(嘲笑)는 너무나 자주 등장하는 어설픈 코미디와 연출 + 연기로 인해 가벼워져버렸다. 영화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실제로도 일어나고 있는 일의 일부분이라는 점을 볼 때 충분히 진지하게 만들어도 될 것 같았는데 말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잘 만든 영화라고는 하기 어려울 듯.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장르의 영화는 아직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령의 열매는
오직 순종의 정원에서만 자란다.


The fruit of the Spirit grows
only in the garden of obedience.
-Terry Full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