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합과학 교과서 한 번에 통과하기 1 - 내신부터 수능까지, 단숨에 돌파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반영 ㅣ 해냄 통합교과 시리즈
신영준 외 지음 / 해냄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과학이라는 단어 대신 자연이라는 단어를 써왔다. 자연의 변화,지구와 우주에 대한 진리, 탐구와 관찰을 통해서,내가 사는 곳, 내가 머무는 곳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이 자연 속에 함축되어 있었다. 과학은 때로는 오류가 존재했고,그 오류 안에서, 과학적인 진리를 찾아갔다. 과학적 진리보다 그 시대의 세계관이 더 우선했던 과거는 존재하였다. 지동설이 아닌 천동설이 지배하였던 그 시대의 과학의 진리는 지금과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 책 『통합과학 교과서 한 번에 통과하기 1』 은 자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지,. 인류와 자연의 변화, 환경과 에너지 문제에 대한 대처까지 , 미래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잇는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책이다.
태초의 우주는 어떻게 만들어졌던 것인가? 우주의 나이는 138억년이 맞는 것인가, 초신성 폭발로 인해 .우주 공간으로 흩어진 초신성 잔해는 ,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다시 모여드는지에 대해서, 우주의 비밀를 밝히기 위한 과학자의 여정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우주의 비밀을 밝힌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저 먼 우주의 진실을 알기 위해서, 분광학이 생겨났고, 분광기(프리즘)에 대해서, 스펙트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분광학을 통해 , 태양 대기의 원소를 파악할 수 있었고, 저 먼 우주 끝 성운에 존재하는 원소가 어떤 것인지 알게 된다. 빅뱅 이후 우주와 별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기 시작하였으며,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던 시점이다. 지구의 탄생, 새명체의 출현까지 , 과학의 한 분야인 화학에 대해 , 표준 주기율표를 통해 자연계의 원소의 특징을 알게 되었다.
원소를 이해하면서, 양자와 중성자에 대해 궁금해지기 시작하였다. 원자는 과연 더 쪼개질 수 있는지 탐구하게 된다.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이온 결합과 고유결합에 대해 알아갔으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 이외에 다른 원소에 대한 탐구가 이어졌다. 특히 인간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92개의 원소 이외에, 화학실이나 특수장치를 이용하여,인공원소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물질에 대한 탐구는 지속되고 있다.
지구 시스템은 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 외권, 상호작용으로 구분한다. 지구 시스템을 이해하는 과정은 인간이 우주 밖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는 과정이었다. 특히 지구 탈출 속도 뿐만 아니라, 지구 안에서의 지각활동까지 판구조론에 대한 이해,화산 활동이나, 태풍 그리고 바람의 이동에 대해서, 하나하나 확인할 수 있었고, 지구에 생명이 살아갈 수 있는 자연환경과 조건에 대해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지구 곳곳의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남태평양 피지와 통가와 같은 화산섬이 생겨났고, 호상 열도(island arc) 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