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당분간은 한국에서 책을 미국으로 배송받지는 않을 생각인데 갖고 있는 책이 많아서 읽을 책은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 하면 새로운 책을 받는 재미는 못 느끼겠지만 그래도 배송 열 번이면 건당 평균 8-10만원 정도의 DHL비용이니 100만원 정도를 아껴 책을 더 살 수 있을 것이라서 배송지역할을 해주는 친구의 집에 쌓아놓을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어차피 요즘처럼 책을 읽는 속도가 느리게 간다면 새로 책을 많이 받는 의미가 별로 없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시간이 참 빠르게 지나간다고 느끼는데 혹시 내가 전체적으로 느려진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책이 눈에 잘 안 들어온다기보다는 빨라진 시간의 흐름에 대비해서 내 속도가 현격히 느려진 것은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
무엇이든 때가 있다고 경험을 통해 믿게 되었으니 일을 하는 것도 꾸준한 건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active하게 처리하는 건 50대가 마지막일 것이라 생각한다. 나의 큰 그림에 따라 55세까지는 일차 FIRE가 가능해질 것 같은데 일정한 수준까지는 마음가짐의 문제가 될 것이다. 더 일찍은 어렵고 굳이 55세로 잡은 건 이 정도면 이후 5년간 phase out하면서 완전히 practice를 끝낼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market이 그 전에 더 축소되거나 A.I.로 주도권이 넘어가버린다면 어쩔 수 없이 더 빨리 그만두어야 할 지도 모르겠지만 아마 내 시대까지는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기실 요즘 mid level manager들이 점차 정리대상이 되어가는 것 같고 entry level의 경우 훨씬 적은 숫자를 뽑는 것 같은데 SV바닥을 넘어 많은 지역과 산업분야로 이런 트렌드가 확산되어가는 것 같다. coding도 그렇지만 회계나 법률법인의 경우 원래 명문학교출신으로 비싼 초급으로 데려가는 가방모찌 같은 직급의 신입들은 그 숫자가 매년 줄어들 수 밖에 없으니 지금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오는 친구들은 내가 20여년 전에 겪은 것과는 차원이 다른 험난한 미래를 살아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는 케바케로 다르고 막상 또 취직을 잘 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기는 한데 보편적인 경향은 확실히 보다 적은 job숫자로 넘어가는 추세라서 나라마다 여기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본다.
Job sharing을 통해 일은 part-time으로 earning은 full-time으로 가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게 말처럼 쉽지도 않고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이슈를 많이 갖고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풀릴지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그냥 나에게 주어진 환경과 기회에서 최대한 열심히 노력하고 준비하는 것이 답일 것이다.
월요일이라서 역시 무척 바쁘게 지나가고 있는데 이번 주만 잘 버티면 그간 밀린 일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될 것이다. 2주 정도 밀린 것이 4-5주 정도가 되어 겨우 잡히는 것. 메일도 꾸준히 정리하고 간단한 업무는 충분히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 최선이니 FIRE 1차 이전엔 역시 노는 것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