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규칙
숀 탠 글.그림, 김경연 옮김 / 풀빛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참 난해한 그림책이다. 왠지 조금 음산하게 느껴지는 마을 거리에서 두 아이가 뭔가 말을 주고받고 있다. 한 아이는 크고, 또 한 아이는 작은 아이인데, 이들은 친구일수도 있겠고, 형제일 수도 있겠다. 지난 여름 이 둘 간에 있었던 일들을 통해, 한 아이가 배운 것이 있다고 한다. 아마도 작은 아이가 배운 여름의 규칙이 아닐까 여겨진다.

 

그렇다면 이제 그 여름의 규칙이 무엇일지 함께 떠나보자.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소개한 말처럼, 이 규칙에 대한 해석은 독자의 상상에 맡겨져 있다. 작가가 잘 정제한 음식을 떠 먹여주는 것이 아니라, 거친 음식을 제공해주면, 독자 스스로 요리하길 작가는 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기본적으로 이 둘 간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라고 전한다.

 

짧은 글귀와 한 편의 그림이 짝을 이루고 있다. 그 그림이 대단히 환상적이기도 하며, 때론 엉뚱하고 괴기스럽기도 하다. 커다란 매들이 양복을 입고 등장하기도 하고, 커다란 붉은 토끼가 등장하기도 한다. 공룡모양의 깡통 로봇들이 등장하기도 하며, 사람보다 커다란 고양이가 소파에 함께 앉아 과자를 먹으며 tv를 보기도 한다. 앞에서 등장한 모든 캐릭터들이 둘러 싼 가운데, 두 아이가 서로 싸우기도 한다. 한 아이가 화로 속에 갇히기도 한다. 사실, 이 그림은 엽기적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마지막은 둘 간의 화해와 함께 함으로 끝을 맺는다. 작가는 어쩌면 끔찍한 장면들을 통해, 이 따스한 결말을 극대화하려던 것은 아닐까? 결국 여름의 규칙은 함께 함이다. 서로 싸우기도 하고, 하나 남은 올리브를 먹어치워 상대를 미워하기도 하며, 상대를 아프고 큰 곤경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결국엔 상대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애쓰며, 함께 집으로 돌아가고 상대의 손을 잡아주는, 그래서 마지막엔 함께 소파에 앉아 평화롭게 tv를 보게 되는 결말.

 

지난 여름 둘은 진짜 아름다운 관계로 나아가기 위해 혹독한 신고식을 치렀나 보다. 결론은 “얘들은 싸우며 큰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와 청설모의 친구 만들기
루스 오히 글, 장미란 옮김 / JEI재능교육(재능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여 친구가 된 여우와 청설모. 이번엔 그들 사이에 또 다른 친구가 끼어드네요. 바로 작은 노란 새랍니다. 청설모와 여우는 함께 나무 위에 올라가 놀려 하지만, 여우는 나무 위에 올라갈 수 없답니다. 그런데, 노란 새 한 마리가 나무위에 있네요. 청설모는 함께 나무 위에서 놀 수 있는 노란 새에게 급 관심을 보인답니다.

 

물론, 나무 밑에서 여우 역시 자신에게 관심을 보여주길 바라지만 청설모는 여우에겐 관심을 기울이지도 않네요. 여우는 나무 위에 올라갈 수 없고, 청설모와 노란 새는 나무 위에서 자유자재로 놀 수 있답니다. 이에 자신만 소외된 여우는 시무룩해져서 자신에게 관심이 없는 청설모에게 서운한 마음을 품고 집으로 돌아간답니다.

 

하지만, 청설모는 여우를 잊은 게 아니랍니다. 도리어 새로 생긴 친구 노란 새에게 여우에 대해 자랑하며 이야기하네요. 그리고 이젠 노란 새를 데리고 와 여우에게 소개한답니다. 이제 셋은 함께 친구가 되네요.

 

 

 

이 이야기 『여우와 청설모의 친구 만들기』는 아이들이 차츰 사회활동 영역을 넓혀가며 생길 수 있는 갈등과 고민을 담고 있네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처음엔 한 친구를 사귀게 되겠죠. 하지만, 그 친구와만 사귀는 건 아니겠죠. 다음날에 또 다른 친구를 사귈 수 있고, 그로 인해, 혹 여우처럼 서운한 마음을 품는 친구가 있을 수 있답니다. 자칫 새로운 친구가 생겼을 때, 그전부터 사귀었던 친구가 소외될 수도 있죠.

 

하지만, 청설모는 지혜롭게 행동하네요. 오히려 노란 새를 여우에게 소개한답니다. 그리곤 함께 뛰놀게 되죠. 우리 친구들도 이렇게 친구를 사귀어가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와 청설모
루스 오히 글.그림, 장미란 옮김 / JEI재능교육(재능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우와 청설모』는 다름을 넘어 친구가 되어가는 모습을 그려낸 예쁜 그림책이랍니다. 청설모는 여우에게 “우린 너무 달라” 말하는데, 여우는 청설모에게 이렇게 말하네요. “그리 다르진 않은데.”

 

여우는 자신과 다른 청솔모의 모습 속에서 다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점을 찾아낸 답니다. 예를 들면, 청설모는 자신은 나무 위 둥지에서 살지만, 여우는 땅 속 굴에서 산다고 그 차이를 부각시킵니다. 하지만, 여우는 말하네요. “둥지도 굴도 안전하고 따뜻한 건 같아.” 참 예쁜 눈, 생각이네요. 다름에도 그 안엔 유사점이 있음을 찾아내는 이 눈이야말로 예쁜 눈이랍니다.

 

청설모에겐 여전히 다른 점이 더 보이나 봅니다. “난 낮을 좋아하는데, 넌 밤을 좋아하지?” 그러자, 여우는 또 말하네요. “해 질 녘은 우리 둘 다 좋아해.” 이처럼 어떤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지가 중요하답니다. 서로 다른 점을 찾아 자꾸 차별화시키기보다는 서로 같은 점을 찾아 동일화시킴이 하나 됨의 비결이죠.

 

물론, 여우가 무작정 동일화만을 추구하진 않는답니다. 여우는 자신과 다른 청솔모의 장점을 그대로 인정하기도 합니다. 청설모가 여우를 향해, “난 나무에 잘 오르지만, 넌 못하잖아.”라고 말할 때, 여우는 쿨하게 이렇게 인정하네요. “넌 정말 나무를 잘 타는구나.”

 

참 멋지네요. 그렇습니다. 다른 친구의 장점을 시기하고 질투할 때, 도리어 자신의 부족함이 드러나게 되고 상대적으로 패배감을 느끼게 된답니다. 하지만, 상대의 장점을 진심으로 인정하고 축하해 주면, 함께 기뻐할 수 있답니다.

 

이런 여우의 모습 때문인지. 이젠 청설모도 서로 간에 비슷한 점들이 보이기 시작하네요. 둘은 모두 노는 것을 좋아하고, 쉬는 것도 좋아한답니다. 둘은 모두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말입니다. 참 흐뭇한 친구사이네요.

 

『여우와 청설모』, 우리 아이들에게 친구가 무엇인지를 잘 알려 줄 수 있는 좋은 그림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쪽에서 세계 작가 그림책 8
로랑스 퓌지에 글, 이자벨 카리에 그림, 김주열 옮김 / 다림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세상에는 누군가를 향해 결코 넘을 수 없는 담을 만들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참 많답니다. 이 담은 눈에 보이는 담일 수도 있고, 보이진 않지만 결코 넘을 수 없는 담일 수도 있습니다.

 

이스라엘에 가면 눈에 보이는 담들이 많이 있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신들과 팔레스틴 사람들이 사는 지역 간에 높은 담을 쌓고 살고 있답니다. 그리고 그곳을 통과할 때는 철저한 검색을 거치게 되죠. 서로간의 안전을 위한다는 명목이지만, 자신들은 저 팔레스틴 사람들과는 결코 소통할 수 없다는 교만한 마음의 발로겠죠.

 

인도라는 나라는 여전히 카스트라는 신분제도가 있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그 사람의 신분이 정해지는 거죠. 도합 4개의 계층이 있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가장 많은 수의 사람들은 이 네 개의 계층에도 들지 못하는 불가촉천민계층이 있답니다. “불가촉”이란 말은 이들은 부정한 존재들이어서 이들과 혹 접촉하는 일이 있게 된다면, 상위 계층의 사람이 오염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이들은 혹 돈이 있어도 들어가지 못하는 가게들이 많답니다. 신분이라는 넘을 수 없는 담을 쌓고 살아가는 거죠.

 

하지만, 그네들뿐이겠습니까? 우리 역시 살아가며 많은 담을 쌓고 살아가고 있답니다. 무엇보다 우린 같은 민족끼리 왕래할 수 없는 철조망이 가로막혀 있죠. 우리나라는 섬나라가 아니랍니다. 하지만, 가로막힌 철조망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섬나라가 되어 버렸답니다.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배를 타거나 비행기를 타야만 하죠. 결코 육지로는 갈 수 없답니다. 섬 아닌 섬나라가 되어버린 거죠. 이것 역시 서로 담을 쌓고 있기 때문이죠.

 

그 뿐 아니랍니다. 우리는 나와 경제적 수준이 다르다고 담을 쌓기도 하고, 나와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해서 담을 쌓기도 하죠. 특히, 서로 다른 사상,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 때는 심한 경우 부모 자식 간에도 담을 쌓기도 한답니다.

 

어쩌면 오늘 우리 사회가 그렇죠. 진보와 보수 간에, 세대 간에, 지역 간에, 우린 수많은 넘을 수 없는 담들을 쌓고 살아가고 있답니다.

『다른 쪽에서』는 바로 이러한 담들을 무너뜨려야 할 것을 말하는 그림책이랍니다. 높은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두 아이(언어가 다르다는 것은 둘 사이에는 소통할 수 없음을 상징하죠). 이 두 아이는 처음에는 우연히 넘어가게 된 공을 서로 넘겨주며, 소통이 시작된답니다. 이 아이들이 공을 던져 올리는 행위는 누군가는 결코 해서는 안 되는 행위라고 생각한답니다. 하지만, 그렇게 소통의 공을 쏘아 올릴 때, 비로소 막힌 담이 허물어지게 된답니다.

 

그렇죠. 아무리 높은 담이 가로막고 있다 할지라도, 소통이 시작된다면, 결국에는 담이 무너지게 마련이죠. 우리 역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자리에서 수많은 소통의 공을 쏘아 올릴 수 있길 소망합니다.

 

[다림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동네 만화방 이야기 별사탕 1
송언 글, 강화경 그림 / 키다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에는 만화로 공부도 하고, 부모님이 일부러 사다주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만화에 대한 이미지가 별로 좋지 못하였답니다. 만화는 공부 못하는 아이들이나 보는 것이며, 만화방은 문제아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이미지가 없지 않았답니다.

 

그래도 만화를 빌려 보며, 만화가 주는 재미, 특히 만화만의 독특한 그 상상의 세계 속에서 행복해 하던 기억이 있네요. 물론 조금 커서는 무협지의 세계에 빠져들게 되었지만 말입니다.

 

동네마다 있던 그 허름한 만화방, 허름하지만 그 안에 꿈과 상상력이 가득하던 공간으로서의 만화방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네요. 바로 송언 선생님의 『우리 동네 만화방』이 그것입니다.

 

만화는 보고 싶은데 돈이 없어 친구들이 빌려보는 어깨너머로 만화를 봐야 하던 그 시대, 이발 비용을 아껴 만화를 빌려본 후에 머리를 이발비용이 싼 빡빡머리로 밀어야만 했던 우스운 추억담, 하지만, 만화를 통해 상상력을 기를 수 있었음을 고백하는 이 이야기는 바로 작가 선생님의 이야기네요.

이제는 추억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60-70년대의 서민 마을 풍경 그림은 아련한 옛 추억에 빠져들게 하네요. 물론, 요즘 어린이들에게는 생경한 풍경이겠지만 말이죠. 그림 속에서 살짝 살짝 보이는 간첩신고, 산불조심, 새마을운동 등의 포스터는 당시에는 빠질 수 없던 캠페인이었죠. 이런 풍경을 보여주는 추억박물관들을 가보면, 어느 추억박물관에서도 빠지지 않고 전시해 놓은 공간 중 하나가 만화방인 것을 보면, 당시 만화방이야말로 서민들에게 있어 빠질 수 없는 추억의 공간임에 분명한가 보네요.

 

왠지 이 동화는 어린이들보다는 어른들로 하여금 추억에 빠져들게 하는 힘이 있는 동화처럼 여겨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