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 끝에 매달린 주앙
로저 멜로 글.그림, 임소라 옮김 / 나미북스(여성신문사)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컴퓨터도 없고, 오락기도 없던 어린 시절엔 지금보다 상상력이 더 풍부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방안에 앉아서도 여러 가지 상상을 했거든요. 예를 들면, 창문의 유리 무늬를 보면서도 상상을 했답니다. 뾰족한 녀석은 성질이 사나운 녀석이죠. 둥글고 넓적한 무늬는 언제나 허허 웃는 마음 좋은 아저씨고요. 이런 식으로 무늬들이 서로 노는 상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자리에 누워 천장을 보면서는 천장 모서리의 작은 홈들이 갑자기 커져 사람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들과 함께 길을 떠나는 상상을 하기도 했고요. 아파 시름할 땐, 그 형상이 괴물이 되어 날 쫓아오기도 하고요.

 

『실 끝에 매달린 주앙』이 정말 이런 상상을 동화로 만든 이야기랍니다. 커다란 티티카카 호수 옆 마을에 사는 주앙이란 아이는 자신이 덮고 자는 손뜨개 이불을 통해, 온갖 상상을 한답니다.

 

혼자 자야 하는 긴 밤의 외로움처럼, 주앙이 덮은 이불도 길어졌네요. 엄마의 입맞춤의 온기가 남아 밤을 이불 속 상상의 무늬 속으로 몰아내고요. 주앙의 발장난엔 이불 세상은 지진이 나네요.

 

손뜨개 이불의 무늬는 커다란 바다가 되기도 하고, 호수가 되기도 한답니다. 커다란 물고기의 무시무시한 벌린 입이 되기도 하고, 그물이 되기도 하네요. 그런데, 물고기가 이불에 구멍을 냈네요. 손뜨개 이불이 풀어져 온갖 낱말이 되기도 하네요.

『실 끝에 매달린 주앙』을 읽곤 처음엔 ‘이게 뭐야?’ 했답니다. 하지만, 문득 어린 시절 상상의 기억이 살아났답니다. ‘아, 주앙이 그런 상상을 하고 있구나.’ 싶었죠. 이 책의 그림 속에 살아나는 여러분만의 상상, 그 세상이 펼쳐질 수 있다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랑 가? 리틀씨앤톡 그림책 12
백미숙 글, 서현 그림 / 리틀씨앤톡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랑 가?』는 처음 학교에 가는 아이의 심리상태를 묘사한 그림책입니다.

 

처음 학교로 가는 그 길은 홀로 걷는 외로운 길이네요. 다른 친구들은 모두 엄마, 아빠, 할아버지, 할머니, 형, 누나 등 누군가와 함께 가는데, 주인공 ‘나’만 혼자 가네요. 그래서 학교 가는 길이 외롭고 심심하답니다. 게다가 낯설기까지 하죠. 그러니 ‘나’의 걸음은 때론 엉금엉금 거북 걸음일수밖에 없고, 때론 구불구불 기어가는 뱀 걸음이기도 하네요.

 

그러다, 점차 학교 가는 길이 익숙해진답니다. 이젠 햇살의 따스함도 느껴져, 학교 가는 길이 예쁜 병아리와 종종종 함께 걷는 길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팔랑팔랑 나비와 함께 가는 길처럼 느껴지기도 하네요. 학교 가는 길이 짧아진 것 같기도 하고요. 비가 오는 날엔 우산을 쓰고 가는 길이 재미있기도 하고요. 마치 박쥐와 함께 가는 길처럼 흥미롭기도 하네요.

 

하지만, 친구가 괴롭히기라도 하면, 학교 가는 길이 싫어지기도 하죠. 때론 학교에 가고 싶지 않아 달팽이가 집을 지고 가는 것처럼 느릿느릿 가기도 한답니다.

 

반대로 친구가 보고 싶을 땐, 얼룩말이 들리듯 학교에 달려가기도 하고요. 게다가 이젠 학교 가는 길에 함께 걸을 친구도 생겼네요.

 

작가는 처음 학교 가는 아이의 심리 상태를 잘 묘사하고 있네요. 또한 그 심리 상태를 동물들과 연관시켜 보여줌으로 아이들에게 동물 공부까지 자연스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네요. 처음엔 낯설고 외롭고 심심한 길이었지만, 점차 흥미로운 길이 되네요. 그 날 그 날의 마음 상태에 따라 학교 가는 길이 다양해진답니다. 여러분들의 학교 가는 길은 어떤가요? 날마다 햇살 가득한 길, 나비와 함께 팔랑팔랑 날아가는 길이 되면 좋겠네요.

 

어린 시절이 생각납니다. 시골에 살던 저는 시내 사립초등학교에 다녔답니다. 4학년 때였는데요, 저희 학교가 여름방학을 하였는데, 당시 시골 초등학교 1학년에 다니던 동생의 학교는 아직 방학을 하지 않았답니다. 그래서 동생을 학교까지 데려다 줬던 기억이 있네요. 동생의 학교 가는 길이 어땠을까요?

 

그날 동생은 학교에 한 시간 가량 늦었답니다. 왜냐하면, 학교 가는 길에 개울에서 물고기도 잡고, 올챙이도 잡고, 그렇게 신나게 놀다 갔거든요. 그날 동생에게 학교 가는 길은 형과 함께 하던 즐거운 날로 기억날까요? 아니면 학교에 늦어 선생님께 야단맞은 기분 나쁜 날로 기억날까요? 물고기와 함께 학교에 가던 즐거운 날로 기억 남았으면 좋겠네요.

 

우리 어린 친구들의 학교 가는 길이 날마다 신나는 길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이름 생각에 대한 생각이야기 3
신혜은 글, 이철민 그림, 유헌식 기획.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이름』은 짧은 그림책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 이름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답니다. 비록 짧은 그림책이지만, 이름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책이네요.

 

우리 모두에게는 자신만의 고유의 이름이 있답니다. 이 이름은 글자 몇 자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자체입니다. 그 사람의 인격 자체이며, 그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조금 다른 말로 표현하면, 내 이름은 나의 얼굴입니다.

 

그래서 좋고, 자랑스러운 일에 이름이 불려 지면, 기분이 으쓱해지죠. 반대로 놀림 당하는 일에 이름이 불려 지면, 슬퍼지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하고요. 또 부끄러운 일에 내 이름이 불려 지면 숨고 싶어진답니다. 내 이름이 곧 나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처럼 나의 얼굴인 이름은 끝까지 남는답니다. 그래서 역사를 보면, 어떤 이름은 부끄러운 이름으로, 어떤 이름은 자랑스러운 이름으로 남기도 한답니다. 오늘 우리들의 이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세월이 흘러,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났을 때에도 나와 가까운 사람들에게 내 이름은 남게 될 겁니다. 그럴 때, 내 이름은 어떤 의미로 기억될지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아무개 그 사람, 참 못된 사람이었지. 아무개 그 사람,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뻔 했어. 이런 소리를 들어서는 안 되겠죠.

 

아무개 그 사람, 참 훌륭하신 분이었어. 아무개 그 분 같은 분이 또 있다면 세상이 더 아름다워졌을 텐데. 아무개 그분과 같은 분이 조금만 더 우리 곁에 계셨더라면 좋았을 것을.

적어도 이런 평가를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렇게 내 이름은 일평생, 아니 죽어서까지도 나를 따라다니는 나의 단짝이랍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이름을 부끄러워하기보다는 자랑스럽게 여기고, 자기 이름을 사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떤 분들은 자신의 이름을 부끄러워하고 감추고 고치려고 하는 분들도 많죠. 물론, 이름이 누가 보더라도 이상한 이름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럼에도 그 이름 안에 담긴 소중한 의미를 생각한다면, 사랑스러운 단짝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모든 이름엔 비밀이 담겨 있답니다. 그 비밀을 저는 이렇게 생각하죠. 날 향한 부모님의 기대, 부모님의 바람, 부모님의 기도가 담겨 있다고 말입니다. 부모님이 여러분의 이름을 지으시고, 정하신 이면에는 여러분의 삶이 그 이름처럼 되길 바라는 마음이 있는 거죠. 그래서 전 제 이름에 담긴 부모님의 기도가 언제나 나의 삶 속에서 이루어지길 바라고 있답니다.

 

우리 모두 자신의 이름에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 수 있다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남은 착한 왕 책가방 속 그림책
이범재 글.그림 / 계수나무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착한 나라’에 ‘착한 왕’이 살고 있었습니다. 이 ‘착한 왕’은 착하지 않은 것들은 모두 나라에서 없애야만 한다고 생각했답니다. 그래야 ‘착한 나라’가 진짜 ‘착한 나라’가 된다고 여겼던 거죠.

 

그런데, 문제는 왕의 입장에서 기분 나쁜 것들은 모두 착하지 않은 것이 되어야 했답니다. 헌 물건들, 못생긴 사람, 지저분한 사람은 ‘나쁜 것’으로 간주되었답니다. 나무 역시 맛난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나쁜’ 나무가 되어야 했구요. 심지어는 흉측한 그림자를 만드는 태양마저 ‘나쁜 것’이 되어 몰아내야 할 대상이 되었답니다.

 

그렇다면, 이제 왕 곁에 누가 남을 수 있을까요?

 

『혼자 남은 착한 왕』은 예쁜 그림책입니다. 그런데, 더 예쁜 건 그 안에 담고 있는 내용이랍니다. 이 책은 우리로 하여금 무엇이 ‘착한’ 것인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준으로 착하고 나쁜 것을 구분한답니다. 그런데, 이 생각이 정말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때로는 자신의 잘못된 생각일 수도 있답니다.

 

뿐 아니라, 아무리 착하게 살기 위한 것이라 할지라도, 그렇지 않은 것들을 모두 없애야 한다는 생각은 대단히 위험한 생각임도 깨닫게 해줍니다. 나와 가치관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고, 살아가는 모습이 다르다고 해서, 그리고 그 모습이 나의 기준으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해서, 그 사람들을 없애야 한다는 생각은 마치 이야기속의 ‘착한 왕’과 같은 생각이랍니다.

 

이야기 속의 ‘착한 왕’은 아무리 자신이 착한 것을 추구한다 할지라도 어쩌면 미치광이와 같은 모습이랍니다. 나와 다른 생각, 나와 다른 모습, 나와 다른 삶의 태도를 인정해주고, 이해할 때, ‘혼자’가 아닌, ‘함께’가 될 수 있답니다. 그리고 설령 ‘함께’ 할 수 없다 할지라도 용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배타적인 것, 그것은 결코 아름답지 못한 모습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바로 진짜 영웅! 세계 작가 그림책 6
존 로코 글.그림, 김서정 옮김 / 다림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로코는 슈퍼영웅이랍니다. 그의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다름 아닌, 그의 멋진 머리카락에서 나온답니다. 마치 삼손 같죠? 로코뿐 아니랍니다. 그의 친구들 역시 모두 한 가닥 하는 친구들인데, 모두 머리가 기네요. 역시 힘은 머리카락에서 나오는 것 맞나 봐요.

 

 

 

그런데, 모험을 떠나려는 순간, 로코는 아버지에게 끌려 이발소에서 머리를 깎고 마네요. 이제 로코의 힘들이 사라져버렸답니다. 그런데, 로코 뿐 아니라, 친구들 역시 같은 신세네요.

 

이제 이들이 영웅으로서의 모험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바로 진짜 영웅!』은 어린이들에게 진짜 영웅이 되는 것은 어떤 외부적인 조건에 의해서가 아님을 보여줍니다. 머리카락이 길다고 해서 슈퍼파워가 나오는 것 아닙니다. 슈퍼파워는 언제나 남을 위하는 마음, 주저하지 않는 용기에서 나온답니다. 이 짧은 그림책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이러한 영웅으로 재탄생되길 소망합니다.

 

아울러 이 책은 이발하기를 싫어하는 아이들을 설득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듯 하네요. 비록 어렸을 때, 책의 주인공 로코처럼 머리를 잔뜩 길렀던 저자 로코가 의도한 바가 아니더라도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