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굴까?
정지태 글, 김소라 그림 / 더드림주니어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아기 고양이 보미는 봄이 오자, 파릇파릇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 아름다운 꽃들이 피는 모습에 밤마다 누가 이렇게 예쁜 요술을 부리는지 알고 싶답니다. 그래서 친구들에게 물어보러 다닌답니다. 수탉에게도, 멍멍이에게도, 송아지에게도, 거북이 할아버지에게도, 곰 아주머니에게도, 까마귀에게도, 고래아저씨에게도 물어본답니다. 과연 보미는 누가 이렇게 예쁜 봄을 오게 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누굴까?』는 아름다운 자연 뒤에 누가 계신지를 알게 하는 동화랍니다. 내 마음 속에 살고 계신 분이라는 데 누구일까요? 여러분은 그분이 누구인지 알고 계시죠?

 

또 이 동화의 두드러진 점은 만나는 친구들에게서 그 이름이나 또는 울음소리를 재미난 내용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랍니다.

 

수탉이 “꼬끼오!”하는 건, 너무 졸린 수탉이 자면서 “꼭 깨워!”라는 말이라고 하고요. 화가 난 멍멍이가 ‘멍멍’ 짖자, 보미의 귀가 ‘멍멍’해졌고요. 송아지는 엄마를 ‘음매음매’ 부른답니다. 마치 ‘엄마엄마’하듯이 말이예요. 곰 아주머니는 생각을 ‘곰곰’ 하고요. 거북이 할아버지는 보미와의 대화가 거북하네요. 까마귀는 잘 까먹고요. 보미는 고래 아저씨를 향해 ‘고래고래’ 소리 지르고요.

 

참 재미난 접근이죠? 아이들에게는 이런 언어유희가 즐거운 공부가 될 수 있겠죠. 뿐 아니라, 왠지 신앙공부까지 염두에 둔 것 같네요.

 

[더드림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어의 사과
유준 글, 양은빈 그림 / 더드림주니어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숲 속에 사는 새끼악어 꾸지는 사과를 좋아한답니다. 물론 친구들도 좋아하고요. 그런데, 그만 사과를 먹겠다고 친구들과 싸우고 말았네요. 이 일로 꾸지는 후회가 되고요. 이제 친구들에게 사과를 해야겠다고 마음먹는 답니다.

 

그런데, 친구들에게 사과하는 게 쉽지만은 않네요.

플라밍고는 멋진 춤을 추고 있어, 혹 춤 순서를 까먹을까 사과하지 못한답니다. 코뿔소는 맛난 사과파이를 굽고 있어, 말을 걸다 음식을 태울까 사과하지 못하고요. 이런 다양한 이유들로 다른 친구들에게도 꾸지는 사과하지 못하고요.

 

사과도 친구도 좋아하는 꾸지는 과연 맛난 사과도 먹으며, 친구들에게 사과할 수는 있을까요?

 

예쁜 그림책 『악어의 사과』는 우선 언어유희가 돋보이네요. 먹는 ‘사과’를 좋아하는 꾸지가 친구들에게 ‘사과’하고 화해해야 하거든요. 이제 막 말을 배워가는 아이들에게는 멋진 접근이네요.

 

그리고 자신이 잘못한 일에 대해 즉각 뉘우치고 사과하려는 멋진 모습이 돋보이기도 하고요. 우리 친구들도 사과할 줄 아는 것이야말로 진짜 용기임을 알면 좋겠네요. 진짜 용기는 고개를 숙이고 낮아지는 거랍니다.

 

[더드림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쑥쑥 자라는 나무
손태웅 글, 오둘 그림 / 더드림주니어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유니는 동생 와니가 태어나면서부터 불행한 아이가 되었답니다. 와니가 말썽쟁이거든요. 게다가 엄마의 사랑을 빼앗아간 나쁜 녀석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언제나 유니는 와니로 인해 화가 난답니다.

 

어느 날 아빠가 나무 한 그루를 사오셨네요. 그리곤 유니에게 화가날 때마다 나무에게 물을 주라고 하네요. 이제 유니는 와니로 인해 화가 날 때마다 화내기보다는 나무에 물을 준답니다. 그리고 얼마나 물을 많이 줬던지, 나무는 쑥쑥 자라고요. 그만큼 유니는 와니로 인해 화가 난 거겠죠?

 

그런데, 어느 날 마을에 엄청난 바람이 불었답니다. 집들이 상할 정도로 말이죠. 하지만, 유니네 집은 이 나무로 인해 안전했답니다. 나무에게 고마운 가족은 나무에게 이름을 붙여주자고 하네요. 유니는 망설이지 않고, ‘와니나무’라고 붙여준답니다.

 

이 나무로 인해, 유니도 이젠 와니가 그리 밉지마는 않고요.

 

참 예쁜 동화네요. 화나는 마음은 분명 부정적 마음이죠. 하지만, 그 부정적 마음이 모여 멋진 나무라는 긍정적 결과물을 낳고 있네요. 화라는 부정적 에너지를 긍정적 에너지로 전환한 아름다운 경우죠. 동화 속에서만이 아닌, 삶 속에서도 우리의 화라는 부정적 에너지가 이처럼 긍정적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면 좋겠네요.

 

마음이 예뻐지는 좋은 그림책이네요.

 

[더드림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이별 마음을 나누는 연탄길 그림책
이철환 글, 흩날린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베스트셀러 연탄길 시리즈에 실려 있던 이야기 중 <아름다운 이별>이란 내용만을 따로 그림책으로 출판한 것이 이 책, 『아름다운 이별』입니다. 예쁜 그림을 덧붙인 그림책입니다. 물론 내용 역시 예쁘고요.

 

할머니가 불치병에 걸려 겨울을 나기 힘들 것이라는 판명을 받게 된답니다. 이때부터 할머니가 조금이라도 더 사실 수 있도록 가족들은 모두 할머니께 문안인사를 드릴 때는 언제나 두꺼운 겨울옷을 입곤 했답니다. 날씨가 더워져도 여전히 아직 겨울이 끝나지 않은 양 겨울옷에 목도리까지 두르고 말이죠.

 

이런 아름다운 마음들 덕분일까요? 할머니는 겨울을 나고, 봄을 지나 6월 어느 화창한 날씨에 생을 마감하게 된답니다. 아마 할머니를 사랑하는 가족들의 그 마음, 그 정성에 하늘이 시간을 더 허락했나 봅니다. 물론, 설령 더 오래 살지 못하셨다 할지라도, 할머니를 위해 언제까지나 두꺼운 겨울옷을 벗지 않은 가족들의 마음만으로도 참 아름답고요.

 

어찌 생각하면 아무것도 아니라 치부해 버릴 수도 있겠지만, 이런 작은 마음 씀씀이야말로 진정성이 있죠. 우리가 누군가를 대할 때, 이런 아름다운 마음들로 대할 수 있다면, 세상은 더욱 아름답고 따스해질 텐데 말입니다. 바로 우리부터 시작하는 건 어떨까요? 작은 배려, 작은 마음씀씀이 말입니다.

 

책표지에 “마음을 나누는 연탄길 그림책”이라는 꼭지가 붙어 있네요. 혹시 앞으로도 계속하여 연탄길 책 내용 가운데 아름다운 것들을 선별하여 그림책으로 만들려는 계획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요. 앞으로도 아름다운 그림책을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 먹을래! 알맹이 그림책 34
이경혜 글, 최윤정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 먹을래!』바람의 아이들에서 출간되는 알맹이 그림책 34번째 책이랍니다. “알맹이 그림책”은 아이들이 처음 만나는 책이랍니다. 물론, 같은 “알맹이 그림책” 중에서도 이 책은 더 어린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읽어주면 좋을 듯싶네요.

 

아이들은 자라면서 인형들을 잔뜩 늘어놓고, 인형을 아이라고 부르며 가르치기도 하고, 자신이 정성껏 먹을 것을 준비하여(물론 소꼽 먹이죠) 먹이곤 하죠. 이 책, 『안 먹을래!』는 바로 그런 모습을 연상시키네요.

 

아기가 멍멍이 인형에게 밥을 먹이려 하네요. 그런데, 만화를 보겠다고 안 먹겠다고 하네요. 그래도 조금만 먹자고 먹여주네요. 호랑이 인형 탕탕은 고기가 아니라고 안 먹겠다고 하네요. 콕콕이 인형은 먹는 것보다는 어부바를 해달라고 조르고요. 퐁퐁이는 물에 들어가겠다고 안 먹겠다고 하네요. 아가는 그럼 잠깐만 물에 들어갔다가 먹자고 하고요. 토토는 졸려서 못 먹겠다 하네요. 쿠쿠는 입맛이 없어 못 먹겠다 하고요.

 

이처럼 인형들이 밥을 안 먹는 이유도 가지가지네요. 이 이유들에도 불구하고 아기는 인형들에게 밥을 먹이고자 한답니다. 왜요? 이게 사실 아기를 대하는 엄마의 모습, 마음이거든요. 아기도 그걸 잘 알죠. 인형들이 밥 안 먹겠다는 이유들은 사실 아가가 엄마에게 핑계 대던 것들이고요.

 

이처럼, 아가는 자신이 엄마에게 밥 안 먹겠다며, 이런 저런 핑계를 대던 그 모습을 반추해보고 있네요. 아가들이 그런 답니다. 엄마에게 이런 저런 핑계로 밥을 안 먹으려 하지만, 속은 빤하답니다. 자신들도 그래서는 안 되는 것 잘 알고 있죠. 작가는 이처럼 아가의 입장에서 말함으로 먹기 싫은 다양한 이유를 가진 아기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고 있네요. 바로 엄마와 아가의 관계를 아가와 인형의 관계에 대입해서 말입니다.

 

우리 친구들은 먹는 것 싫어하진 않겠죠? 먹지 않으면 크지 않는답니다. 잘 먹고 튼튼하게 자라는 것 큰 축복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