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여우 아저씨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48
민사욱 그림, 송정화 글 / 시공주니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붉은 여우 아저씨’에 대한 이야기를 만났습니다. ‘붉은 여우 아저씨’는 ‘흰 털’을 가진 여우 아저씨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붉은 모자, 붉은 신발, 붉은 가방, 붉은 옷을 입고 있죠. 그러니, 붉은 색이야말로 ‘붉은 여우 아저씨’의 본연의 모습은 아니지만 또 다른 정체성을 드러내는 색일지 모르겠어요.

그런 ‘붉은 여우 아저씨’가 길을 떠나 친구를 만나러 갑니다. 그 과정에서 대머리독수리를 만나고, 버드나무를 만나며, 숭어를 차례대로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붉은 여우 아저씨는 자신의 모자, 신발, 가방을 하나씩 빼앗기게 됩니다. 각자에게 이것들은 절실히 필요한 것이었거든요. 대머리독수리에게는 모자가 필요했고, 버드나무는 움직이기 위해선 신발이 필요했으며, 숭어는 알을 낳기 위해 가방이 필요했죠.

하지만, 여기에서 주목해서 보게 되는 점은 붉은 여우 아저씨가 그들에게 필요한 것을 자발적으로 준 것이 아니라는 점이예요. 붉은 여우 아저씨의 빈틈을 노리고 이 친구들이 빼앗아 간 거예요. 붉은 여우 아저씨의 허락도 받지 않고 말이에요. 그런데, 더욱 인상적인 부분은 그 후의 붉은 여우 아저씨의 반응이었답니다. 붉은 여우 아저씨는 전혀 화를 내지 않아요. 도리어 그것들을 필요한 사람(?)이 가져갔다며 좋아하죠. 그리곤 그들과 친구가 되길 원하고요.

 

바로 이 부분에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는 것 같아요. 우리의 자발적 선행만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한, 상황 때문에 하는 선행 역시 아름다울 수 있다는 메시지가 아닐까 싶어요. 아울러 내가 자발적 선행을 하려 하다가도 상대의 반응에 따라 우리의 기분도 달라짐을 꼬집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제 경우로 예를 들어 볼게요. 꽉 막힌 길에서 옆에서 차가 끼어들려고 해요. 그런데, 아무도 양보를 하지 않죠. 그럴 때, 제가 기쁜 마음으로 양보를 해요. 여기까진 좋아요.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끼어든 차가 고맙다는 표시도 하지 않으면 괜히 기분이 언짢아지기도 하거든요. 바로 이런 모습을 꼬집고 있는 것 아닌가 돌아보게 되네요.

아무튼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 마지막에 가선 붉은 여우 아저씨 스스로 자신의 붉은 옷을 벗어 추위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소년에게 벗어 준답니다. 어쩌면 붉은 여우 아저씨는 처음부터 이처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것을 주려는 마음이 가득했는지도 몰라요. 대머리독수리가, 버드나무가, 그리고 숭어가 자신이 그토록 사랑하는 ‘붉은’ 것들을 가져감에도 화는커녕 오히려 잘됐다고 미소 지었으니 말이에요.

 

우리도 이런 예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런 예쁜 마음씨를 가진 ‘붉은 여우 아저씨’는 이제는 자신이 그토록 사랑하는 붉은 색이 하나도 없음에도 친구들이 생겨 행복하답니다.

 

이 예쁜 그림책, 『붉은 여우 아저씨』는 또한 그동안 우리가 갖고 있던 여우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깨뜨려주는 역할도 하는 것 같아요. 동화 속에 나오는 여우는 언제나 못된 녀석, 영악한 녀석이죠. 게다가 붉은 색에 대한 편견도요. 짧은 이야기이지만, 참 따뜻한 느낌을 주는 동화이며, 아울러 사회적 편견을 깨뜨리는 메시지도 숨어 있는 좋은 동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맨 꼭대기에 꼬마둥이그림책 5
수잔네 슈트라서 글.그림, 서지희 옮김 / 좋은꿈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가 고픈 곰은 높다란 건물 꼭대기에 있는 창문을 통해, 맛나 보이는 케이크가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손을 뻗어 봐도 너무 높이 있어요. 어떻게 하면 좋죠? 곰은 친구들과 힘을 합치게 됩니다. 곰 위에 돼지가 올라가죠. 그래도 손이 닿지 않자, 이번엔 또 그 위에 개가, 개 위에 토끼가, 토끼 위에 암탉이, 암탉 위에 개구리가 올라가죠.

이제 개구리까지 올라간 후에는 어쩜 손이 닿을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이 때 창문에 한 아이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그만 아이가 케이크를 홱 가져가 버리네요. 이를 어쩌죠? 동물 친구들은 케이크를 먹기는커녕 와르르르 무너져 내렸답니다. 과연 동물 친구들은 케이크를 먹을 수 있을까요?

『맨 꼭대기에』란 제목의 이 그림책은 책의 모양도 높다란 건물처럼 길쭉하네요. 그리고 동물 친구들 하나하나가 추가되면서 높이 탑을 쌓아갈 때마다 과연 이번에는 케이크를 먹을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을 고조시킨답니다. 이렇게 친구들이 올라갈 때, 풀쩍, 팔짝, 깡충깡충, 파닥파닥, 폴짝 폴짝. 이렇게 의태어로 표현함으로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는 의태어를 배워보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어요.

 

이 그림책은 무엇보다 함께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혀 가능하지 않을 것 같던 일도 친구들이 하나하나 힘을 합하게 될 때, 점점 손은 케이크 가까이 갈 수 있거든요. 이게 바로 함께 하는 힘, 함께 함의 마법이죠.

 

또 하나 이 책에는 유쾌한 반전이 있답니다. 바로 함께 나눔의 즐거움이죠. 커다란 케이크를 혼자 먹으면 이건 정말 살이 되고 피가 된답니다.^^ 하지만, 함께 나눌 때, 모두가 함께 즐거워하고 행복할 수 있죠.

역시 그림책은 이처럼 명확한 게 좋아요. 너무 추상적인 그림책들은 솔직히 누굴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는 경우도 없지 않거든요. 이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면, 어쩌면 아이들이 까치발을 하고 들을지도 몰라요. 높은 곳의 케이크를 잡기 위해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마스 선물 이순원 그림책 시리즈 4
이순원 글, 김지민 그림 / 북극곰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지네 아빠는 크리스마스이브에도 은지와 함께 있을 수 없답니다. 회사에 출근해야 하거든요. 모두 퇴근한 회사를 밤새 지켜야 하거든요. 크리스마스이브에도 사랑하는 아빠와 함께 할 수 없는 은지의 마음이 얼마나 서운하고 속상할지 상상이 가 안타깝네요. 모두가 즐거워하고 행복해할 크리스마스이지만, 어쩌면 은지에게도 은지 아빠, 엄마에게도 너무나도 춥고 쓸쓸한 날에 불과할지 모르겠어요.

하지만, 그 춥고 쓸쓸한 날이 한 사람의 관심과 배려로 따스하고 밝게 변하게 됩니다. 바로 아빠와 함께 근무하는 건물의 전기 기사님 때문이에요. 마침 은지와 엄마는 아빠가 근무하는 회사 앞으로 왔답니다. 이 때, 전기 기사님이 은지를 축복하는 글씨들을 건물에 띄우거든요.

이순원 작가의 그림책은 처음 만났습니다. 소설로 만나던 작가를 그림책으로 만났는데, 역시 작가만의 따스함이 그대로 묻어나네요. 이순원 작가의 글에서는 포근하고 따스한 향이 나거든요. 이 그림책 역시 그런 따스함이 전해집니다. 그림 역시 예쁘고요.

 

이 그림책을 읽고 나니, 오늘 우리들의 선물이 어떤 모습인지도 돌아보게 되네요. 수백만원짜리 캐릭터 인형이 동이 나서 살 수 없다는 시대에 우린 살고 있어요. 수백만원짜리 인형을 아무렇지 않게 받는 아이들이 장차 자랐을 때, 과연 어떤 선물에 감사함을 느낄 수 있을까 생각해보게 되네요.

 

작가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통해,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선물이 무엇인지를 알려줍니다.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선물은 값비싼 것들만이 아니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누군가의 사정을 알고 배려하는 작은 불빛, 그 불빛이 우리들의 마음을 환하게 비추게 된다는 것을 말입니다. 이 관심과 배려의 불빛이야말로 가장 크리스마스다운 선물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디와 폴리 : 할머니의 생신 잔치 폴디와 폴리
크리스티안 예레미스, 파비안 예레미스 지음, 유진아 옮김 / 미운오리새끼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폴디는 호기심 많은 어린 팽귄입니다. 뭐든 뚝딱뚝딱 만드는 것을 좋아해, 발명가가 되는 것이 꿈이죠. 하지만, 지금 당장은 해야 할 일이 있답니다. 그것은 바로 할머니의 파티복을 찾아야 하는 겁니다. 폴디의 할머니는 사람들(?, 물론 펭귄이죠.^^)이 많이 모여 파티를 벌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 할머니의 90번째 생신을 맞아 파티가 열리게 됩니다. 그런데, 할머니가 좋아하는 알록달록 옷들이 모두 사라졌네요. 범인은 누구일까요? 과연 이 옷들을 찾을 수 있을까요? 우리 함께 찾아봐요.

 

이 책, 『폴디와 폴리, 할머니의 생신 잔치』는 할머니의 옷들을 찾아가는 여정을 통해, 각 그림 속에서 숨은 그림 찾기를 하는 책입니다. 숨은 그림 찾기라고 해서, 흔히 그림과 그림 사이에 숨겨진 또 다른 그림을 찾는 내용은 아니고, 각자의 주인공들을 찾는 거랍니다. 모든 페이지마다 폴디와 폴리, 그리고 할머니, 그리고 폴디의 발명품은 청소 로봇 고블, 찰리 삼촌과 에스메랄다 숙모가 등장합니다. 그러니, 기본적으로 이들을 찾아야 하죠. 여기에 각 페이지마다 찾아야 할 폴디의 친척 팽귄들을 알려줍니다. 이들을 찾아보는 게 이 책의 가장 큰 재미죠.

 

무엇보다 그림들이 참 예쁘고 정성껏 그려졌네요. 잠깐, 할머니의 파티 옷들을 가지고 간 사람은 바로 에스메랄다 숙모랍니다. 그러니, 각 페이지마다 이 숙모를 꼭 찾아야 하죠(물론, 다른 인물들도 찾고요.). 숙모를 찾아보며, 숙모가 가지고 있는 옷들을 하나하나 함께 살피는 재미가 있습니다. 숙모가 할머니의 옷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또 하나의 재미를 선물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찾은 옷은 할머니가 하나하나 입게 됩니다. 그러니,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면, 할머니가 파티 복을 하나하나 갖춰 입음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눈여겨 살펴보는 것 역시 하나의 재미가 될 수 있죠.

 

이런 숨은 그림 찾기가 쉬울 것 같지만, 생각보단 어렵답니다. 너무 어린 아이들이 하기엔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유치원생들 이상이면 적당할 것 같아요(물론, 저희 집 두 살 아들 녀석도 그림이 좋은지 누나가 하는데, 자꾸 달려들며 손가락질을 하네요. 마치 자신도 찾는 것처럼 말이죠.^^). 아이들이 참 좋아하는 책입니다. 어린 조카가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크리스마스 선물로 한 권씩 사주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거 (아니)야 풀빛 그림 아이 54
크리스토퍼 와이엔트 그림, 강소연 글 / 풀빛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넌 (안) 작아』의 강소연 작가의 두 번째 그림책이 나왔네요. 이번엔 『내 거 (아니)야』란 제목의 그림책입니다. 『넌 (안) 작아』에서 나왔던 복실이들(꼭 곰돌이처럼 생겼지만, 그냥 복실이라고 부를게요.)이 이번에도 또 나오네요.

큰 복실이가 의자에 앉아 뜨개질을 하고 있는데, 작은 복실이가 그 의자는 자신의 것이라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큰 복실이가 앉아 있기 전에 자신이 먼저 그 의자에 앉아 있었다는 거죠. 이에 큰 복실이는 지금은 자신이 앉아 있으니 자신의 의자라고 주장합니다. 이에 작은 복실이는 꾀를 내어 큰 복실이가 일어나게 만든 후, 의자에 잽싸게 앉는답니다. 이젠 자신이 앉았으니 자신의 의자라고 말하면서요.

어떻게 될까요? 둘은 결국 서로 의자를 갖겠다고 다투게 됩니다. 어쩌죠? 저러다 큰일 날 텐데 말입니다. 걱정이네요. 게다가 서로 갖겠다고 다투는 녀석들의 얼굴들, 참 밉네요.

다툼의 끝엔 아무도 승자가 될 수 없답니다. 둘 다 넘어졌거든요. 다툼은 둘 모두 지게 만드는 거죠. 저 표정 좀 보세요. 조금 바보 같지 않아요? 모든 것을 잃은 것 같은 표정. 저 표정이 오늘 다툼으로 인한 우리의 표정이 아니면 좋겠어요.

이렇게 둘 다 넘어진 후에야 둘은 정신을 차립니다. 이젠 서로 미안하다고 말하며 상대를 향해 손을 내미네요. 그리고선 언제 다퉜나 싶게 함께 놀러 가고요. 이제 이 빈 의자는 누구의 것이 될까요? 여러분이 앉겠다고요? 네. 앉아도 됩니다. 하지만, 혼자만 앉아야 한다고 주장하진 마세요. 함께 나누면, 함께 누릴 수 있고 반대로 혼자 가지려 하면, 혼자만 누리게 되거든요.

 

이 그림책은 자신만 알고, 모든 것이 자신의 것이라 주장하는 것이 어떤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함께 나눔이 얼마나 큰 즐거움을 선물하는 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나눔의 행복을 아는 아이들이 될 수 있다면 좋겠네요.

 

이런 이야기가 있죠. ‘나’뿐인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고요. 우리 그런 나쁜 사람이 되지 않길 바라요. 내가 더 갖겠다는 마음이 결국 다툼을 가져오게 되고, 다툼이 우리의 삶을 망가뜨리니 말입니다. 우리의 손이 날 향해 움켜쥐려는 인생이 아니라, 남을 향해 펼쳐질 수 있는 인생이 되면 좋겠네요. 그렇게 될 때, 세상은 보다 더 아름다워지고, 보다 더 따스해지며, 보다 더 살 맛 나는 곳이 될 테니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