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 고등교육 지식인의 출현뿐만 아니라 미국대학의 근대화 역시 미국에서 산업혁명과 동시에 일어났다. 자본주의 발전과 연관된 구조적 유형은 미국대학과 그 노동과정에 혁명을 일으켰던 일련의 매우 유사한 사건들 안에서 다시 나타난다. 전통적인 미국 대학의 현대 대학으로의 변형은 정신적 생산수단의 집중, 경영통제의 중앙화와 관료화, 전국적 고등교육 시장의 건설 그리고 경쟁을 벌이는 교육기관들 간의 시장관계 합리화와 같은 제도적 변화와 동일한 유형의 뒤를 따랐다. - P65

현대 대학교들이 산업민주주의의 요구에 반응함으로써 어떻게 그들의 변화하는 역사적 임무를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격심한 정치적 논쟁들이 있었다. 미국 사회의 여러 집단들에게 그 변화들의 함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던 이러한변화들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논쟁들이 있었다. 이 논쟁의 참여자들이 이러한논쟁의 가능한 결과를 정신적 생산의 물질적 수단 그리고 그것과 함께 지식인노동과정을 통제하려는 투쟁의 결과물로 이해하였다는 것이 나의 논점이다. 미국에서 현대 대학과 대학교의 출현은 이데올로기 권력을 위한 계급투쟁이었다. 따라서 논쟁의 중심적이며 의식적으로 분명히 표명된 요점은 항상 누가 대학교를 소유했는가?라는 질문이었다. - P67

이러한 면에서, 이사회에 기업가들이 출현한 것은 바인스타인 Weinstein이 기업의 이상으로 표현하는 사회제도의 (특히 대학기관의 합리화를 향한 정치운동을 위해 미국 대학교의 문을 완전히 개방했다는 것을 뜻한다. 미국 대학교의 합리화는 기업과 대학 지식인들 간의 계급갈등도 불러일으켰다. 이 갈등의 결과로서 기업과 지식인 간에 확립되어 왔던 교육기관 권력의 구체적 균형이 내가 주장하는 이데올로기 장치 건설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고 작은 소원, 또는 시기적으로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 소원을 실현하는 방법은 장애물에 대한 생각을 피하고 그 소원에만 집중하는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소원과 장애를 잘 인식하고 그것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처음엔 소원, 그다음엔 현실인 것이다. 당신이 그렇게 해나간다면 분명 멋진 일이 생길 것이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상하는 행동은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현실에서 뭔가가 벌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이 현실 속에서 벌어지는 것을 막아버린다. 특히 상상은 두뇌를 속여 이미 성공했다고 생각하게 만들어. 실제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동기 부여와 기운을 잃게 한다. -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을 꾸면 그 꿈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허약해진다. 몽상을 하면 일시적으로 더없이 행복하고 평온한 상태가 되지만, 곧바로 무기력이 따라온다.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서 현대사상의 위대한 재발견 중 하나를 직접 소개하고자 한다. 그것은 인간을 움직이는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죽음의 공포라는 사실이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