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 고등교육 지식인의 출현뿐만 아니라 미국대학의 근대화 역시 미국에서 산업혁명과 동시에 일어났다. 자본주의 발전과 연관된 구조적 유형은 미국대학과 그 노동과정에 혁명을 일으켰던 일련의 매우 유사한 사건들 안에서 다시 나타난다. 전통적인 미국 대학의 현대 대학으로의 변형은 정신적 생산수단의 집중, 경영통제의 중앙화와 관료화, 전국적 고등교육 시장의 건설 그리고 경쟁을 벌이는 교육기관들 간의 시장관계 합리화와 같은 제도적 변화와 동일한 유형의 뒤를 따랐다. - P65
현대 대학교들이 산업민주주의의 요구에 반응함으로써 어떻게 그들의 변화하는 역사적 임무를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격심한 정치적 논쟁들이 있었다. 미국 사회의 여러 집단들에게 그 변화들의 함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던 이러한변화들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논쟁들이 있었다. 이 논쟁의 참여자들이 이러한논쟁의 가능한 결과를 정신적 생산의 물질적 수단 그리고 그것과 함께 지식인노동과정을 통제하려는 투쟁의 결과물로 이해하였다는 것이 나의 논점이다. 미국에서 현대 대학과 대학교의 출현은 이데올로기 권력을 위한 계급투쟁이었다. 따라서 논쟁의 중심적이며 의식적으로 분명히 표명된 요점은 항상 누가 대학교를 소유했는가?라는 질문이었다. - P67
이러한 면에서, 이사회에 기업가들이 출현한 것은 바인스타인 Weinstein이 기업의 이상으로 표현하는 사회제도의 (특히 대학기관의 합리화를 향한 정치운동을 위해 미국 대학교의 문을 완전히 개방했다는 것을 뜻한다. 미국 대학교의 합리화는 기업과 대학 지식인들 간의 계급갈등도 불러일으켰다. 이 갈등의 결과로서 기업과 지식인 간에 확립되어 왔던 교육기관 권력의 구체적 균형이 내가 주장하는 이데올로기 장치 건설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 P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