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스터디 - 미국대학 교양교육 핵심과정과 한국에서의 인문학 공부안내
마크 C. 헨리 지음, 강유원 외 편역 / 라티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원제는 '학생들을 위한 핵심 커리큘럼 안내'(A Student's Guide to the Core Curriculum)로 원서는 2000년에 출간되었다. 


이 책은 인문학(정확히는 서양의 인문학)이라는 방대한 분야를 일부 소개하고 해당 분야와 관련된 읽을 거리를 제공한다. 본서가 소개하는 분야는 크게 4가지 분야(문학 · 예술/철학 · 정치/역사학/기독교 사상)이며 각 분야 별로 2-4가지 세부 분야를 소개한다. 따라서 책을 읽을 때 원하는 부분부터 골라 읽으면 된다.


한편 이 책은 번역서가 아닌 '편역서'다. 편역자들이 서문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되고자 원서의 내용을 편집, 재배열하고 원서에는 없는 참고도서 목록을 추가하였다.


'인문학 스터디'라는 제목 답게, 이 책은 인문학의 특정 분야에 입문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저자는 각각의 세부 범주(역사학을 예로 들자면 고대 로마, 1865년 이전의 미국, 19세기 유럽 지성사, 과학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저자가 더 읽어보면 좋은 책을 제시한다. 각각의 장 끝에는 편역자들이 추가한 국내에 번역 · 출간된 참고 도서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이 얇은 책자의 핵심은 편역자들이 수록한 참고도서 목록이라 할 수 있다. 각각의 참고 도서 목록은 원전-참고도서 순으로 열거되어 있으며 참고도서 역시 개괄적인 입문서에서 세부적인 전문서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독자들은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어느 참고 도서를 읽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단점은 오래되었다는 것이다. 원서는 2000년에 출간되었고 번역본은 2009년에 출간되었다. 편역자들이 수록한 참고도서 목록의 서적들도 2000년대 초중반 저작들에 멈춰 있다. 또 다른 단점이 있다면, 원서가 2000년에 출간되었으며, 그에 더해 미국 대학 강좌들을 조사, 연구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20세기 말 미국 대학의 커리큘럼에 치우쳐 있다는 태생적 한계가 분명하다.


그럼에도 (서양) 인문학 관련해서 이 책은 여전히 유용한 가이드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립백 코스타리카 라 알퀴미아 - 12g, 5개입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3년 10월
평점 :
품절


산미가 좋네요. 묵직함과 산미가 잘 조화된 느낌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콜드브루 에티오피아 구지 함벨라 (원액) - 500ml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4년 10월
평점 :
품절


레시피대로 해보니 어디든 잘 어울리네요. 마음에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전판 캘빈과 홉스 세트 - 전4권
빌 워터슨 지음, 신소희 옮김 / 북스토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 만화일기, 만화책으로 접하던 캘빈과 홉스를 완전판으로 다시 접하니 감회가 새롭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빠서 책을 별로 읽지 못한 한 달이었다. 당분간 계속 이럴 듯 해서 아쉽다.



하루에 1페이지만 읽어도 적당한 책이다. 저자가 카피라이터 출신이어서 그런지 당연한 문장 하나하나가 그 의미를 곱씹게 만든다.



19세기 말 뉴욕의 빈민촌을 사진과 글로 보여주는 르포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 뉴욕은 이 당시 뉴욕과 많이 다를까?



혹여나 공부에 도움이 될까 해서 읽었던 책을 다시 펼쳐 읽었다. 사람의 두뇌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다루는 뇌과학 책이다. 하지만 제목, 내용과 다르게 알라딘에서 이 책은 자기계발/화술, 인간관계, 성공학으로 분류되어 있다.



아주 오래전 집 근처 서점에서 샀던 책이다. 다만 원서는 2006년에 출간되었다. 그래서 읽다 보면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의 장점은 각 장마다 번역자들이 수록한 추천 도서목록이다. 문제는 이 책에서 2009년에 출간된 책이다. 그러다 보니 이 책에서 번역자들이 추천하는 책들이 지금은 구하기 힘든 책들이 있다는 점. 그리고 그 목록만 봐도 쉽사리 압도당할 수도 있다는 점이 단점.



불과 몇 년 전에 나온 책이다. 하지만 요즘 시대의 흐름에 비춰볼 때,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의 발달을 느낄 수 있다. 이 책의 핵심 내용 중 하나는 우리가 화가에게 흔히 품는 오해, 즉 화가의 그림은 화가가 직접 그려야만 한다는 편견을 깨부수는 데 있다. 그런데 작년 미국에서는 AI로 그림을 생성해 미술 대회에 입상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화가가 AI를 이용해 그림을 생성한다면 화가가 그린 것인가? AI가 생성한 것인가? 시기적으로 따져볼 때 이 책은 AI와 전혀 관련 없지만, 공교롭게도 해당 사건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역시 읽었던 책인데 다시 펼쳐 읽고 있다. 다시 이 책을 펼쳤을 때, 내용이 하나도 기억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시 책을 읽고 나서는 글로 남겨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